인지-체험적 꿈 해석 집단상담의 효과: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신희천 | - |
dc.contributor.author | 최진아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40:12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40:12Z | - |
dc.date.issued | 2008-08 | - |
dc.identifier.other | 9269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6825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2008.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Hill의 인지-체험적 꿈 해석 모델을 사용하여 집단 상담에 참가한 사람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잘 된 요인과 그렇지 않은 요인은 무엇인지,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Ⅰ에서는, 우선 꿈에 대한 태도 척도(ATD-R)의 한국 버전을 대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타당화하였다. 그리고 아주대학교에 재학 중이며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14명의 대학생이 총 6회기의 집단 상담에 참가한 후 인터뷰를 받았으며, 이 자료를 근거로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가자들은 꿈에 대한 태도가 꿈 해석 집단 참가 이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통찰을 얻었고, 정서 및 행동 변화 등을 보고하였다. 꿈 작업이 잘 된 요인은 집단의 적극적이며 지지적인 분위기, 다양한 시각 제공 등이었으며, 잘 안 된 요인은 시간의 제한, 단정적 해석 등이었다. 집단상담자의 도움을 준 요인은 꿈 해석의 맥락과 방향 제시, 새로운 관점, 적절한 해석, 공감, 지지 제공 및 탐색 촉진을 위한 질문 및 피드백이었다. 꿈 사용의 이점은 수월한 자기 개방과, 문제에 깊이 있는 접근을 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연구Ⅱ에서는 연구Ⅰ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꿈 해석 집단에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20명의 아주대학교 대학생들에 대해, 실험 집단에 10명, 통제 집단에 10명을 배치하여 양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하여 ‘꿈에 대한 태도(ATD-R)’, ‘대인관계 지지 평가(ISEL)’, ‘대인관계 패턴에서의 자기이해(SUIP)’에서 사전-사후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며, 자존감과 정신건강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Hill 모델을 국내의 대학생 집단 상담에 적용한 최초의 연구로서, Hill 모델을 통해 상담자들이 쉽게 꿈 해석에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발적이고 꿈 해석에 동기화되어 있는 대학생들에게 유용한 상담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과에 대한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국문초록 = ⅰ 목차 = ⅱ 표목차 = ⅲ 그림목차 = ⅲ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6 II. 이론적 배경 = 7 1. Hill의 인지-체험적 꿈 해석 모델 = 7 2. 합의적 질적 연구 = 14 III. 연구 Ⅰ = 16 1. 연구 방법 = 16 2. 연구 결과 = 22 3. 논의 = 39 IV. 연구 Ⅱ = 46 1. 연구 방법 = 46 2. 연구 결과 = 50 3. 논의 = 57 V. 종합 논의 = 60 참고문헌 = 63 부록 = 69 ABSTRACT = 86|< 표 목차 > 표 1. ATD-R의 평균과 표준편차 - 22 표 2. ATD-R의 1요인 모델 적합도 - 22 표 3. ATD-R에 대한 집단 내 사전-사후 차이 검증 - 23 표 4. 인지-체험적 꿈 해석 집단상담 참가자들의 경험에 대한 영역과 범주 - 24 표 5. 참가동기 및 평소 자신의 심리적 어려움이나 문제에 대한 관심 정도 - 26 표 6. 꿈 작업 후의 소감, 통찰, 배운 점 - 28 표 7. 꿈 작업 이후의 변화 - 31 표 8. 꿈 집단 과정 평가 및 꿈 사용의 이점 - 35 표 9.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의 동질성 검증 - 50 표 10. ATD-R에 대한 집단 내 사전-사후 차이 검증 - 51 표 11. 자존감과 간이 정신 건강에 대한 집단 내 사전-사후 차이 검증 - 52 표 12. 대인관계 지지 평가에 대한 집단 내 사전-사후 차이 검증 - 52 표 13. 대인관계 패턴의 자기이해에 관한 집단 내 사전-사후 차이 검증 - 53 표 14.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 간 사후 검사 차이 검증 - 54 표 15. 치료 요인 결과표 - 56|< 그림 목차 > 그림 1. 대인관계 지지 평가 점수의 집단 간 비교 - 54 그림 2. 대인관계 패턴의 자기이해 점수의 집단 간 비교 - 55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인지-체험적 꿈 해석 집단상담의 효과: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 - |
dc.title.alternative | Choi, Jin-ah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Jin-ah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 |
dc.date.awarded | 2008.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7275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269 | - |
dc.subject.keyword | 꿈 해석 | - |
dc.subject.keyword | 꿈에 대한 태도(ATD-R) | - |
dc.subject.keyword | 질적 분석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are participants' experiences', 'what factors are well-performed and unsuccessful' and 'what are changes' in group sessions using the Hill's cognitive-experiential dream interpretation model. In studyⅠ, first of all, Korean version of the Attitudes Toward Dreams-Revised(ATD-R) was validated(college students; N=240). In addition, 14 volunteer college students from Ajou University had attended 6 group sessions and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As a result, participa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dreams after they participated in dream interpretation group sessions, gained insights, and reported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The well-performed factors of dream work were active and supportive group's atmosphere and offer various views, on the other hand, the unsuccessful factors were time restriction and conclusive interpretation. The helpful factor of counselor were indication of context and direction about dream interpretation, providing new viewpoint, appropriate interpretation, empathy and support, and question and feedback for promotion of exploration. The advantages of using dream were toilless self-exposure and deep acceptability about problems. StudyⅡ,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Ⅰ,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is with 20 college students who volunteered in dream interpretation group sessions from Ajou University. 10 students were assigned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0 students were assigned wait list control group. The outcome of analysis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on attitudes toward dreams(ATD-R),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ISEL) and self-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patterns(SUIP), whereas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No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2 conditions o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in Korea using Hill model with college students in group sessions and suggests that Hill model not only helps counselors approach dream interpretation easily, but also can be useful method of counseling with college students who volunteer and motivated by dream interpretation. Limitations of the result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