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대사용이 위암 환자의 수술 후 폐환기능 회복율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김용순 | - |
dc.contributor.author | 이혜경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39:59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39:59Z | - |
dc.date.issued | 2005-08 | - |
dc.identifier.other | 635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6747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대학원 교육대학원 :보건교육,2005.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위암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 복대를 사용하여 수술 후 폐환기능의 회복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임상에서 간호중재로 사용하고 있는 복대 사용의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 총 40명의 위암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복대를 사용하여 수술 후 24시간, 48시간에 폐환기능을 측정하여 수술 전의 폐환기능과 비교하여 수술 후의 폐환기능 회복율을 비교하였다. 폐환기능은 일회 호흡량, 노력성 폐활량, 흡기용량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Wrigth Spirometer과 Inspirometer를 사용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이용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χ²-test, t-test 등의 통계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과 절차에 의해 얻어진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동질성 검증결과 성별, 연령, 체중, 신장, 직업, 교육수준, 종교, 과거력, 마취제, 수술명, 수술시간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단, 흡연유무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 '복대를 사용한 실험군은 복대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시간 경과별 일회호흡량의 회복율이 높을 것이다.'는 유의수준 에서 지지되었다(24시간: p=0.014, 48시간: p=0.02). 2) 제2가설: ‘복대를 사용한 실험군은 복대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시간 경과별 노력성 폐활량의 회복율이 높을 것이다.'는 유의수준에서 기각되었다(24시간: p=0.645, 48시간: p=0.214). 3) 제3가설: ‘복대를 사용한 실험군은 복대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시간 경과별 흡기용량의 회복율이 높을 것이다.'는 유의수준에서 일부지지 일부 기각 되었다(24시간: p=0.056, 48시간: p=0.029).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위암 수술환자의 복대의 사용은 수술 후 폐환기능의 회복율에 일부분 효과적임을 알 수 있고, 걷기 시작하면서 복대가 복부를 지지하는 48시간 이후의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차 목차 = ⅰ 표 목차 = ⅲ 그림 목차 = ⅲ 국문 초록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가설 = 3 D. 용어의 정의 = 3 E. 연구의 제한점 = 6 Ⅱ. 연구 배경 = 7 A. 폐환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7 B. 수술 후 폐환기능 증진과 방법 = 13 C. 폐환기능 확인 지표 = 16 Ⅲ. 연구 방법 = 18 A. 연구설계 = 18 B. 연구대상 = 18 C. 연구 도구 = 19 D. 자료수집절차 = 20 E. 자료분석방법 = 21 Ⅳ. 연구결과 = 22 A.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 22 B. 수술 전 실험군, 대조군간의 폐환기능 동질성 확인 = 24 C. 가설 검증 = 25 Ⅴ. 논의 = 31 A 복대를 사용한 환자의 폐환기능에 대한 논의 = 31 Ⅵ. 제언 및 결론 = 33 A 결론 = 33 B 제언 = 35 참고문헌 = 36 부록 = 42 ABSTRACT = 45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복대사용이 위암 환자의 수술 후 폐환기능 회복율에 미치는 영향 | - |
dc.title.alternative | The effect of abdomen band on the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recovery in gastrectomy patients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HyeKyou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보건교육 | - |
dc.date.awarded | 2005.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4906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35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 the effect of abdomen band on the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in gastrectomy patients according to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and to provide demonstration data for using abdomen band as an intervention for pulmonary function. Fourty patients were enrolled to this study. twenty patients were assigned tod the abdomen abnd group and another twenty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Wrigth Spirometer and Inspirometer were used to measure the pulmonary functio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general properties including gender, age, weight, height, occupation, education level, religion, past history, operation name, operation time. but smoking history was more frequent in the control group. 2. Results: 1) Hypothesis 1: Post-operative tidal volum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experimental roup using abdomen ban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24 hours and 48hours (24 hours; p=0.014, 48 hours; p=0.02). 2) Hypothesis 2: Post-operative forced vital capac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24 hours; p=0.645, 48 hours; p=0.214). 3) Hypothesis 3; Post-operative inspiration volume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24 hours. Post-operative inspiration volume was significantly largerin experimental group using abdomen ban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48 hours (24 hours; p=0.056, 48 hours; p=0.029). In conclusion, the abdomen band might be useful for improvement of postoperative of pulmonary function in gastrectomy patients. Follow-up study will be needed.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