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대 고소설의 대중화 실현 양상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송현호 | - |
dc.contributor.author | 최명자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39:57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39:57Z | - |
dc.date.issued | 2005 | - |
dc.identifier.other | 240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6737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2005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의 목적은 장르 혼효 현상과 표현 기법을 중심으로 1910년대 고소설에 나타난 대중화 실현 양상을 살펴 보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역사·사회학적 방법과 여성 중심의 인식론으로 1910년대의 사회·경제적 의미와 여성의식 변모를 고찰하였다. 1910년대는 일제(日帝)에 의한 대중사회로의 진입(進入) 시기로, 당시 상업적으로 유통되던 고소설은 대중문화의 속성을 갖고 있었다. 이 시기의 고소설에는 도시 문화의 통속적 유행 양식이 수용되어 다양한 장르 혼효 현상과 표현 기법의 대중화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부용상사곡>, <채봉감별곡>, <청년회심곡>, <꼭두각시전>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상사별곡>과 <층시>를 수용한 <부용상사곡>, <추풍감별곡>을 수용한 <채봉감별곡>, <만언사>를 수용한 <청년회심곡>에는 시가(詩歌)와 소설 사이의 장르 교섭이 나타났다. <꼭두각시전>은 <노처녀가>, <판소리>, <꼭두각시 놀음>, <꼬댁각시 노래>와 관련성을 보이며, 다양한 양식과의 장르 혼효 현상을 보여주었다. 1910년대 고소설의 장르 혼효(混淆)는 작가가 대중화 실현을 위해 전통 유행 양식을 수용함으로써 일어난 것이다. 위의 작품들은 전고(典故)의 활용, 삼각 구도의 통속화, 전범의 계승과 변용이라는 표현 기법으로 대중화를 실현하였다. 작가는 중국의 고금곡(古琴曲)과 경국지색(傾國之色) 전고(典故)로 여성인물의 성격을 창조하였으며, 여성주도의 삼각 구도로 오락성을 추구하였다. 또한 작가는 향촌 여성의 전범 계승, 가장의 비하(卑下), 여성 능력 우위를 표현함으로써 평·천민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부각시켜 참신성(斬新性)을 드러낸다. 위의 작품에는 평·천민 여성의 근대적 자아의식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부용상사곡>, <청년회심곡>, <채봉감별곡>에서는 서도 기생이 애정을 지키기 위해 겪는 시련과 애정을 성취한 뒤에 이룬 신분 상승 과정이 서술되었다. 이들 작품에서는 남녀 주인공이 자유 연애 결혼에 성공함으로써 독자들의 흥미를 끌어 대중성을 획득하였다. <꼭두각시전>은 여성 주도의 남녀 결연을 통해 여성 독자들이 꿈꾸던 ‘여성 능력 우위에 대한 환상(幻想)’을 심어 주었다. ‘고아 출신의 노처녀’라는 소재(素材)의 참신성(斬新性)은 대중의 호응을 얻어, 12종(種)의 <꼭두각시전> 이본(異本)을 파생(派生)시켰다. 고소설의 상업성은 유통과정에서 파생(派生)된 이본의 고찰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이행기(移行期) 문학의 특징인 장르 혼효 현상과 소설 창작을 위해 활용된 다양한 표현 기법을 살펴 보았다. 이로써 1910년대 고소설은 당대 유행 양식의 유통과 출판의 상업성(商業性), 놀이와 연희의 오락성(娛樂性), 표현 기법의 도식성(圖式性)과 참신성(斬新性), 자유연애(自由戀愛)의 통속성(通俗性)을 추구하며 대중화를 실현하였다고 본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차 국문초록 = ⅰ 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선행 연구 검토 = 3 3. 연구 방법과 자료 = 10 Ⅱ. 대중성의 개념과 장르 혼효 = 13 1. 근대 사회와 대중성 = 13 가. 대중성의 개념 = 14 나. 1910년대 도시의 발달 = 19 다. 1910년대 문학의 근대성 = 21 2. 장르의 혼효(混淆)와 대중성(大衆性) = 26 가. 장르의 혼효(混淆) 현상(現象) = 26 나. 고소설 유통의 상업성(商業性) = 28 다. 1910년대 고소설의 대중성(大衆性) = 47 Ⅲ. 1910년대 고소설의 장르 혼효 양상 = 50 1. 유행 시가의 수용 = 50 가. 이별곡(離別曲)과 형태시(形態詩)의 수용 = 50 나. 서도(西道) 송서(誦書)의 수용과 전파 = 66 다. 규방가사(閨房歌詞)의 수용 = 74 2. 저변 문화의 수용 = 84 가. 노처녀 설화(說話)의 수용 = 84 나. 민속극(民俗劇)의 수용 = 91 다. 여성 유희(遊戱)의 수용 = 97 3. 가사와 판소리의 수용 = 101 가. 가창(歌唱) 가사의 수용 = 101 나. 판소리의 수용 = 104 다. 유배 가사(流配 歌詞)의 수용 = 107 Ⅳ. 표현 기법의 대중화 = 112 1. 전고(典故)의 활용 = 112 가. 고금곡(古琴曲) 전고(典故)의 활용 = 113 나. 경국지색(傾國之色) 전고(典故)의 활용 = 132 2. 여성 주도의 통속적 삼각 구도 = 148 가. 애정의 성취와 신분 상승 = 148 나. 물신 숭배와 사랑의 대비 = 161 다. 혼약(婚約) 준수(遵守)와 인간성 회복 = 166 3. 전범(典範)의 계승과 변용 = 170 가. 규방 여성의 전범(典範) 계승(繼承) = 171 나. 가장의 권위 하락(下落)과 희화화(戱畵化) = 177 다. 여성 능력 우위(優位)의 환상 = 183 Ⅴ. 결론 = 197 참고 문헌 = 201 Abstract = 221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1910년대 고소설의 대중화 실현 양상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 Novels in 1910's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Myoung-Ja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인문사회계열 | - |
dc.date.awarded | 2005.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4289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40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popularization of classical novels in the 1910's, centering on the mixture of genres and expression techniques. This study analyzed social-economical meanings and changes in women's consciousness in the 1910's based on historical-sociological methodology and women-centered epistemology. The 1910's was a time of entering into a mass society under the direction of Japanese imperialism. During the period, commercially circulated classical novels bore the nature of popular culture. Accommodating popular styles in urban culture, classical novels in these days showed the popularization of various genres mixed with one another and expression techniques. The present study analyzed Buyongsangsagok, Chaebonggambyeolgok, Cheongnyeonhoesimgok and Kkokdugaksijeon. In Buyongsangsagok adopting Sangsabyeolgok and Cheungsi, and Cheongnyeonhoesimgok adopting Maneonsa was found association between poems and novels. Kkokdugaksijeon showed relations with Nocheonyeoga, Pansori, Kkokdugaksi Noreum and Kkodaekgaksi Norae, suggesting the mixture with various genres. The mixture of genres in classical novels in the 1910's happened as writers accommodated traditional styles in order to attain popularization. Works mentioned above realized popularization through utilizing authentic precedents, popularizing triangular love affairs, and inheriting and modifying models. The writers created female characters based on authentic precedents such as Gogeumgok and Gyeonggukjisaek in China, and pursued entertainment with triangular love affairs led by women. Moreover, they exposed originality by describing rural women's inheritance of models, disparaging the heads of families and expressing women's superiority in abilities and, by doing so, enhancing the social standing of common and low women. In the novels listed above, common-low women's growth of modern self-consciousness is remarkable. Buyongsangsagok, Cheongnyeonhoesimgok and Chaebonggambyeolgok described the elevation of social standing of Seodo Gisaengs after their trials to keep and obtain their love. These stories achieved popularity by drawing readers' attention the free love and success in marriage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Kkokdugaksijeon spread illusions on women's superiority in abilities' through association between man and woman, as dreamed of by female readers. The originality of the material of an old maid grown up as an orphan was ardently responded by the public and, as a result, 12 kinds of different versions of Kkokdugaksijeon were produced. The commerciality of classical novels was confirmed by different version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irculation. As stated above, this study examined the mixture of genres and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used in creating novel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transitional perio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lassical novels in the 1910's pursued entertainment with popular styles in those days, creativity of expression techniques, popularity of free love, originality of women's superiority and commerciality of circulation and publication, and these factors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 novel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