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 주상복합건축물 공용공간이 거주자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Lee, Jae-Hyuk
Author(s)
이재혁
Alternative Author(s)
Lee, Jae-Hyuk
Advisor
제해성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07-08
Language
kor
Keyword
초고층 주상복합컴팩트시티개인적 웰빙라이프스타일공용공간
Abstract
초고층 주거의 수요증대와 고급화로 인한 초고층 주상복합의 확산 현상은 도시적 측면과 삶의 질 측면에서 사회적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초고층 주상복합은 국내 주택시장에서 대안적 주택상품으로 자리잡았으며, 주택시장의 다양성 확보에 큰 역할을 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초고층 주상복합의 고급화는 세계적인 추세이며, 도심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초고층 주상복합에 대한 다양한 논란과 사회적 논의를 바탕으로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에 관심을 갖고, 초고층 주상복합의 대표적인 차별화 공간인 공용공간에 주목하였다. 초고층 주상복합은 입지적으로나 건축적으로 일반공동주택과 큰 차이가 있다. 그 대표적인 차이는 복합용도개발에 의한 저층부 공용공간의 대형화와 고급화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용공간의 범위를 환경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반공적 공간으로 정의하고, 단지내 저층부 근린공용공간과 주거공용공간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본 연구는 초고층 주상복합의 대표적 차별화 공간인 공용공간의 물리적 질과 거주자 개인적 웰빙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초고층 주상복합 공용공간의 거주자만족도와 개인적 웰빙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셋째, 초고층 주상복합과 일반공동주택의 거주자 웰빙을 비교하여 공용공간의 물리적 차이와 거주자 웰빙에 대한 상관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선행연구 문헌 고찰 단계로써 초고층 주상복합 거주자의 주거환경에 적합한 웰빙지표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둘째, 초고층 주상복합 단지에 대한 도면분석으로 초고층 주상복합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실시한다. 셋째, 도면분석을 실행한 단지 중 4개 단지를 선정하고 일반공동주택의 비교단지를 선정하여 거주자 의식 및 만족도 조사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넷째, 웰빙성능모델을 구축하여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의 웰빙성능에 대한 평가와 계획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웰빙성능모델은 개인적 웰빙지표와 공용공간의 물리적 특성, 공용공간의 만족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표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용공간을 물리적 특성과 공용공간의 만족도가 거주자의 웰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개인적 웰빙지표는 Raphael의 기본 구조를 바탕으로 Mitchell의 구성요소를 적용하여, 건강과 이웃교류, 여가활용, 안전 및 보안, 친환경으로 선정하였다. 공용공간의 물리적 특성은 시설다양성과 시설면적, 시설쾌적성, 접근용이성으로 정의하였으며, 공용공간의 만족도 항목은 건강과 이웃교류, 여가활용, 안전 및 보안, 친환경에 관련된 15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용공간의 물리적 특성이 거주자 웰빙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자들은 공용공간에서의 육체적 운동보다는 쾌적한 환경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과 건강함을 느끼고 있으며, 가정지향적인 여가활동을 즐기는 현대인에게 공용공간의 접근용이성이 여가활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용공간의 특성과 안전 및 보안의 상관관계를 통해 초고층 주상복합 공용공간이 방어적 성능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공용공간의 만족도와 거주자 웰빙의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성립하였다. 초고층 주상복합 거주자들은 건강을 위해 공용공간에서의 심리적인 안정과 쾌적성을 추구하며, 물리적 운동과 건강관련 만족을 통해 이웃들과 자연스럽게 교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운동이 거주자의 여가활용에 주요한 행위이며, 공용공간의 범죄보안 만족도와 심리적 안정, 외부쾌적성 만족도가 거주자의 안전/보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에, 이웃이름을 많이 아는 것에 대해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초고층 주상복합 거주자들이 이웃교류보다는 프라이버시를 중시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초고층 주상복합과 일반공동주택의 비교를 통한 공용공간의 웰빙성능을 검증한 결과, 공용공간의 만족도 분석에서 건강과 여가활용, 안전보안 관련 항목에서 초고층 주상복합이 우위에 있었으나, 거주자 웰빙의 비교는 조사대상지 선정의 문제점과 한계로 인해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하지만, 평형대와 입주시기를 통제한 비교분석에서 초고층 주상복합 거주자들은 여가활용과 안전보안의 주거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일반공동주택 거주자들은 이웃교류와 친환경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초고층 주상복합과 일반공동주택의 거주자의식의 차이와 만족도의 차이가 존재함을 입증하였다. 넷째, 초고층 주상복합의 컴팩트 시티의 성능은 거주자의 야간 안전 보안 에 대한 만족도를 제외하면 일반공동주택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공용시설의 이용도 분석결과, 운동시설이 건강과 이웃교류, 여가활용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운동시설 이외의 시설에서는 1층 로비가 이웃교류에 자주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초고층 주상복합의 대표적인 차별화 공간인 공용공간의 물리적 특성과 만족도를 통해 거주자 웰빙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자 하였다. 연구결과 초고층 주상복합의 공용공간이 거주자의 웰빙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초고층 주상복합과 일반공동주택의 비교에서 거주자 웰빙의 지표에 따라, 평형대에 따라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결론에 도달하여 초고층 주상복합 공용공간의 웰빙성능을 입증하였다.
Alternative Abstract
There has been much debate about the aspect of the urban publicity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growth of the super high-rise dwelling created by the increas-ing demand in the housing market. The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has been criticized for a long time. Nevertheless, the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has been completely absorbed in the Korean housing market as the alternative housing product and played a large role in increasing diversity in the market. Fur-thermore, luxury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has become the global trend and is known to be effective with urban revitalization. This study is focused to improve residents’ well-being in semi-public space based on the various arguments and social debates of the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The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apartment in amenities and in architectural design. An example of variance is the larger semi-public space located in the lower floors. This study aimed: 1)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mi-public space and residential individual well-being and 2)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semi-public space and the residential individual well-being in the semi-public space, the differential space against tradi-tional apartment, 3)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mi-public space and the individual well-being when comparing well-being of the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with that of traditional apartment housing. The procedures used in the research consisted of four phases. First, the indi-vidual well-being indicators are deduced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study. Sec-ond, quantitative analysis is performed for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super high-rise mixed use housing by analyzing documents. Third, a survey is per-formed on four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and four traditional apartment housing to research the resident’s individual well-being. And lastly, the fourth phase is to build and evaluate the well-being performance model for the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In this study, well-being performance model consists of individual well-being indicator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mi-public space,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he semi-public space. The performance model aim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mi-public space and the individual well-being. Based on Raphael and Mitchell’s index, the individual well-being indicators are identified as health, community sense, leisure, safety and outdoor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s of semi-public space are defined as diversity, size, amenity and proximity.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he semi-public space consists of 15 elements for health community, leisure, safety and outdoor environments.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semi-public space are directly correlated to the indi-vidual well-being. The comfortable environment influences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ealth felt by the residents more than to just perform physical exercise in the semi-public space. The proximity of the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semi-public space has a positive impact on modern people who enjoy a family-oriented leisure, and the interrelation of characteristics of semi-public space and individual safety means including the defensible performance of semi public space. 2)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he semi-public space is directly correlated to the individual well-being. The residents in the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seek psychological safety and comfort in the semi-public space, and interact with the neighbors by participating in exercises and leisure activities. Exercising is the main activity of leisure. 3) When comparing between the super high-rise mixed use housing and the traditional apartment housing, the residents of the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are found to be generally more satisfied in health, leisure, and safety in the semi-public space, but the problem with the case sampling makes this finding unre-liable. The result identifies the difference in residential value. 4) The performance of compact city for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is not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apartment housing, except the satisfaction of safe-ty concerning pedestrian environment at night. Sport facilities in the semi-public space are the most used facility for health, community, and leisu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the interrelation for characteristics in semi-public space, the differential space in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and indi-vidual well-being.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semi-public space is cor-relative to individual well-being, and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differs from well-being indicator, residential unit size, and housing type.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6355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Architectur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