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동규 서정시의 미학적 특성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조창환 | - |
dc.contributor.author | 박순예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38:44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38:44Z | - |
dc.date.issued | 2007-02 | - |
dc.identifier.other | 2134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6319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2007. 2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상으로 본고는 황동규 시에서 초기시 이후 지속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서정시인 사랑 노래와 중기 이후 도입하여 점차 확대해 온 극서정시들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이 두 시의 양식은 시적 대상에서 명백한 구별을 보이나, 시의 방법론에서 긴장을 유발하는 이원론적·대립적 세계가 있고 이의 합일을 도출해내는 독특한 기법이 공통성을 보인다. 그러나 애초에 시적 화자가 바라보는 대상이 다르므로 시적으로 형상화된 세계가 서로 다른 것이 당연한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먼저 Ⅱ장 1절에서는 사랑 노래 대상에 대하여 살펴본 바 있다. 황동규 사랑 노래에서 초기의 ‘그대’에 머물렀던 화자는 점차 ‘그대’ 뿐만 아니라 ‘나’와 타인을 구분하지 않는 사랑이 출현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황동규의 사랑 노래는 남녀간의 사랑에서부터 인간이 갖게 되는 사물과 세계에 대한 보편적인 사랑까지 그 시적 대상을 확대하여 인간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폭을 넓히고 있다. Ⅱ장 2절에서는 전통적 서정의 계승과 극복의 문제를 주제로 하여 접근하여 보았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전통적인 ‘임’을 ‘그대’로 불러내는 시적화자의 태도이다. 그러나 황동규는 서구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한 현대적인 정감을 형상화함으로써 ‘임’의 답습을 거부한다. 또한 사랑 노래의 방법적 특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는데, 황동규 사랑 노래 시어들의 특색은 함축적으로 ‘절제와 긴장’이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다. 그 특징은 우선 시어들이 지극히 일상적인 언어들이라는 점이며 그 다음으로는 시적 구조에 있어 모순된 의미망의 연결을 들 수 있다. 황동규는 위와 같이 시적 언어의 사용을 통해 긴장감을 주어 의식을 깨어있게 하는 등 나름대로의 많은 미덕을 발휘하지만, 다른 면에서는 부정적 측면을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그의 대립적·이원론적인 시적 구조는 모순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 결과는 도식화의 위험을 안고 있다. 그것은 시의 표현 방법으로 효용이 있는 것이었다 하더라도, 지금까지 그의 시를 살펴보았을 때 제거하기 어려운 관습적인 틀이 되어버린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남는다. 틀로서 작용할 때 그것은 시의 긴장을 완화시켜 도리어 조화로운 세계의 구축을 방해할 수 있다. Ⅱ장 3절에서는 황동규 사랑 노래의 내용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그의 시에서 화자의 정서는 초기로부터 후기에 이르는 동안 깊은 변모를 거듭하는데, 일정하지는 않지만 기다림, 외로움, 쓸쓸함, 그리움, 우수에서 기쁨, 환희 쪽으로 감정 이동의 흐름이 있다. 황동규의 사랑 노래에 있어 시어들이 표상하는 세계 또한 개인적 세계에서 보편성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기의 시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사랑의 정서들이 후기에 이르러서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후기 쪽으로 넘어오면서 시인의 표정은 여유가 있고 적극적이며 따뜻해진다. 어둠으로부터 빛의 세계, 혹은 조화로의 이동이라고 할 수 있다. Ⅲ장 1절에서는 극서정시의 도입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황동규에 있어 극서정시는 인간의 변화를 전제로 하며 그 어떤 절정의 순간을 살아내려는 자발적이 태도를 보장하는 미적 장치이다. 우리는 극서정시의 필요성에 대한 그의 인식과 노력에 대해 몇 가지 사실을 정리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하나는, 극서정시는 일반적인 서정시의 양식에서 벗어난 것은 아니지만 사랑 노래의 서정시와는 다른 표현 양식으로서, 삶의 체험을 ‘극화’하기 위한 극의 구조적 ‘장치’를 지닌 시 형식으로써 도입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극서정시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이 이미 있었고 그 체험적 방법론으로써 여행과 여행시가 쓰여졌다는 것이다. 그것은 일상을 떠나는 여행을 계기로 해서 이룩되는 삶에 대한 깨달음과 깨달음이 낳는 조그만 거듭남을 담아내고 있다. Ⅲ장 2절에서는 황동규의 극서정시의 시적 구조적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사랑 노래에서와 마찬가지로 그의 극서정시에 있어서도 전환을 위해서는 계기가 필요하고 그 계기는 이전의 시적 상황을 탈피하는 공식적인 시적 구조를 보인다. 극서정시에서 시의 요소들 간의 힘의 충돌을 도모할 때 그 핵심은 바로 긴장이며 그 긴장 뒤에는 반드시 언어의 의미 전복, 또는 경계 지우기인 정화의 상태가 올 것이다. 다시 말해 그것은 생성과 소멸이 공존하는 정적인 풍경으로 출발한 시행이 서로를 넘나들면서 극적 긴장을 팽창시키고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보이는 것들을 기이하고 동적인 상황으로 전환시킨다. 그것은 세속적이고 현상적인 자아가 근원적인 자아를 대면하는 순간과 같다. 극서정시의 초기에는 이 극적인 전환이 이루어진 ‘순간’을 얻는 것이었으나, 후기로 이행되면서 그 극적인 전환은 보다 지속성이 긴 어떤 ‘환희의 상태나 상황’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 극적 긴장을 시에 부여하는 방식은 대부분 비슷한 양상으로 황동규 시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후기로 넘어올수록 전형화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Ⅲ장 3절에서는 극서정시의 내면세계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황동규의 극서정시가 시인의 주관적인 시선에서 출발하여 외부에서 극적인 계기를 만나 현재의 자신의 감정이나 정서를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서정시의 범주 안에 드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의 극서정시는 대부분 시인의 감정이나 정서로부터 나아가 의식적·종교적 인식의 영역에 근접하는 정신활동까지 넘나든다. 서정시의 감정이나 정서는 ‘전이되거나 바뀔’ 것이며, 정신과 영혼은 ‘초월한다’고 할 것인데, 후기의 시들은 바로 정신적 세계의 변화나 전환, ‘선적인 경지’, ‘영원한 이데아의 세계’ 등으로 불리는 것들까지 담고 있다. 극서정시는 넓은 의미에서 서정시의 범주에 속하겠으나, 좁은 의미의 서정시, 즉 사랑 노래의 범주 안에서 보기는 어렵다. 이런 점에서 극서정시는 사랑 노래에서 그리 멀지 않은 독특한 시적 양식의 위치에 놓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황동규의 사랑 노래는 전통적인 서정시의 계보를 이어가면서도 나름의 극복을 위한 모색을 통해 그 시적 대상을 확대하여 다양한 정서나 의식 활동을 담아내고 있다. 또 그의 극서정시도 그가 말한 대로 전통적인 서정시가 다할 수 없는 세계를, 그 세계와의 교감의 순간을 전하고자 하는 방법론으로써 일정한 역할을 수행해왔음을 밝혀볼 수 있었다. 다만 황동규의 사랑 노래와 극서정시에서 공통적이고 일관된 시적 방법론으로 쓰이고 있는 구조 - 대립적이고 이원론적인 세계의 배치와 그 모순의 합일을 도모하는 시의 구조적 장치는, 시인이 그토록 변화를 염두에 두어왔음에도 불구하고 도리어 일정한 틀로서 작동되는 감이 있음은 큰 아쉬움이라 하겠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사 검토 = 2 3. 연구 방법 = 9 Ⅱ. 사랑 노래의 미학적 특성 = 11 1. 사랑 노래 대상의 확대 = 11 2. 사랑 노래의 시적 기법 = 23 3. 사랑노래의 형상화 - 개인에서 보편으로 = 34 Ⅲ. 극서정시의 미학적 특성 = 45 1. 극서정시의 도입 = 46 2. 극서정시의 시적 기법 = 50 3. 극서정시의 내면세계 = 55 Ⅳ. 황동규의 서정시 영역의 확대와 그 의미 = 66 Ⅴ. 결론 = 70 참고 문헌 = 74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황동규 서정시의 미학적 특성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 |
dc.date.awarded | 2007.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5994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34 | - |
dc.subject.keyword | 서정시 극서정시 | - |
dc.title.subtitle | 사랑 노래와 극서정시를 중심으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