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기 산수시가의 교육적 의의 및 지도 방법론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조광국 | - |
dc.contributor.author | 김봉오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38:41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38:41Z | - |
dc.date.issued | 2006-08 | - |
dc.identifier.other | 1508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6305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2006. 8 | - |
dc.description.abstract | 국문초록 자연은 인류의 영원한 고향이자 생명의 원천이며 예술의 존재 근거이다. 이런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야 하는 것이 인류의 영원한 과제라고 할 때, 조선중기 산수시가의 교육적 의의와 지도 방법론에 대한 고찰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사회가 급속히 서구화․근대화 되면서 한국적인 사고방식과 삶의 모습에 일대 변화가 일어났으며 그 변화로 인해 물질적인 풍요와 편리함을 누리게 되었지만 상대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이 평가절하 되고 있으며 자연의 소중함을 망각한 채 속도와 효율 위주의 패러다임이 급속히 퍼져감으로써 많은 병리현상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맥락 아래 놓여 있는 청소년들의 가치관과 생활태도에서도 부정적인 모습이 발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조선중기 산수시가에 초점을 맞춰 그 교육적 의의를 먼저 살피고 이러한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도 방법론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조선중기 산수시가의 교육적 의의로 네 가지를 지적했다. 첫째, 전통문화 계승 자료로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 성리학의 수용과 주체적 발전은 조선 선비들에게 자부심과 세계관을 세우는 데 한 중심이 되었다. 퇴계의 ‘온유돈후’함과 율곡의 ‘충담소산’, ‘한미청적’, ‘청신쇄락’ 그리고 ‘풍류’를 우리가 계승해야 할 전통적 정신문화로 설정해 보았다. 또한 ‘이일분수’와 ‘호중천지’의 미학 역시 현대사회에 수용할 만한 전통적 미의식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아울러 지적했다. 둘째는 바람직한 인간상에 대한 귀감으로서 산수시가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의 선비들의 유학적 일상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들의 가치관과 생활태도는 세속적 욕망의 실현을 위한 경쟁적 삶을 치열하게 치러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피폐해진 정신세계와 삶을 회복하는 길이 될 수 있다는 데 초점을 맞추고 논의를 전개해 보았다. 셋째, 속도 위주의 현대물질문명의 대안으로서 산수시가의 효용성에 관심을 가지고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넷째, 산수시가를 감상한다는 것은 산수시가 속에 담겨 있는 조선조 선비들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이해하는 일인데 그것은 구체적인 작품 속에 언어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 형상화 방식은 표현론에서 다루는 대상이다. 여기에 초점을 두는 까닭은 그들의 삶에 대한 총체적 인식을 문면에 드러난 표현 속에서 읽어내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위의 네 가지 교육적 의미는 실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 이를 종합하면 작가가 살았던 세계의 현실에 대한 치열한 모색의 결과가 자연과의 관계를 통해 드러난 것이 산수시가이다. 이러한 산수시가의 이해를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물질문명의 세계를 극복할 수 있는 지혜로운 방법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산수시가의 교육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몇 가지를 설정해 보았다. 첫째 ‘산수화(山水畵)’를 보조 텍스트로 삼아 지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동양의 전통 가운데 ‘시화일률(詩畵一律)’의 전통이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들의 특성상 문자언어보다 시각적 이미지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또한 ‘산수화’를 통한 지도는 산수시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다른 예술 장르에 대한 교육도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학습자들에게 문화적 배경과 관련한 소양을 제고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고 본다. 둘째, 조선조 선비들의 시조 외에 또 하나의 중요한 자기표현 수단인 ‘한시’에 대한 상호 텍스트성을 통해 산수시가에 대한 또 다른 문화적 배경을 이해시킬 수 있도록 시도해 보았다. 한시는 내용과 형식면에서 훌륭하면서도 풍부한 문학적 자산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그런 맥락에서 ‘한시 미학’을 통해 산수시가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려는 시도를 해 보았다. 셋째, 산수시가 간의 상호 텍스트성을 통해 당대의 문화적 맥락을 학습자가 이해하도록 하는 노력을 해 보았다. 표현론과 관계지어 생각하면 유형적 문체를 발견하게 하여 이를 통해 당대의 삶의 태도와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다는 발상을 가지고 방법론으로 채택해 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역사적 거리를 초월해서도 가능한 시도라는 생각도 가능하다고 본다. 넷째, 그런 차원에서 현대시조․시와의 연관성 속에서 산수시가를 지도하고자 하였다. 문학과목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상동성을 발견하게 하는 것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한 지적이라고 생각하며 이에 동의한다. 문학적 전통의 확인을 통해 학습자의 민족적 정체성 확립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창작활동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문학사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어 전통문화의 계승과 창조라는 교육목표의 실현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섯째, 문학교육은 어떻게 보면 작가들이 만들어낸 다양한 의미망들의 공통점을 추출해낸 것, 즉 문학적 상징체계에 대한 교육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상징체계를 이해한다는 것은 문화적 맥락과 전통을 이해한다는 말과 동격임을 알 수 있다. 그 상징체계가 지금도 여전히 작용하고 있음을 이해하는 것은 자기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제고시켜 주는 교육적 효과도 발생한다고 보기에 매우 중요한 지도 방법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지적해 보았다. 여섯째, 문화적 배경에 대한 소양을 쌓게 함으로써 산수시가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러한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자 하였다. 삶의 속도를 조절하여 삶의 내용을 바꾸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상당한 힘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 차원에서 숲과 자연의 소중함과 의미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아주 좋은 도서가 많이 나오고 있으며 매스미디어를 통해서도 훌륭한 텍스트가 될만한 영상물들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잘 활용하면 자연의 순화하는 조화로운 질에서 삶의 원리와 교훈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된다. 일곱째, 산수시가 속 인물의 심미적 체험과 같은 산수체험을 학습자가 경험해 봄으로써 산수시가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작가들의 심미적 체험을 추체험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자연을 보는 눈과 태도에 있어 변화와 성숙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이것은 선순환으로 작용하여 자연친화적 삶의 회복이라는 소중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이를 계승하려는 태도를 학습자가 갖도록 해 줄 것이다. 여덟째, 가치관 교육의 관점에서 토의․토론 수업을 활성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산수시가가 창작되었던 당시의 문화적 규범과 다른 역사적 거리를 가지고 있는 학습자에게 무리하게 그 가치를 주입하려고 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의견을 심지어 부정적 의견까지 개진하여 충분한 논의를 해 보게 하는 것이 오히려 산수시가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문학담당 교사는 학습자들의 논의를 지켜본 후 상황에 맞는 조언과 평가를 하면서 이런 논의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문화적 맥락을 짚어준다면 더욱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산수시가의 교육적 가치를 내재화한다는 차원에서 가능한 산수시가를 암송할 수 있도록 하여 산수시가의 교육적 가치를 충분히 달성하고자 방법론으로 설정해 보았다. 위에서 제시한 방법 가운데 학습자들의 수준과 관심에 따라 방법의 선택은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자유롭게 응용할 수 있는 문학담당 교사의 성실한 연구 자세가 전제된다면 산수시가에 대한 교육적 성과는 훨씬 더 커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의 필요성․․․․․․․․․․․․․․․․․․․․․․․․․․․․․․․․․․․․․․․․ 7 3. 연구사 개관․․․․․․․․․․․․․․․․․․․․․․․․․․․․․․․․․․․․․․․․․ 18 4. 연구방법․범위․․․․․․․․․․․․․․․․․․․․․․․․․․․․․․․․․․․․․․․ 24 Ⅱ. 조선중기 산수시가의 교육적 의의․․․․․․․․․․․․․․․․․․․․․․․․ 28 1. 전통 문화 계승 자료로서 산수시가․․․․․․․․․․․․․․․․․․․․․․․․ 32 2. 바람직한 인간상 제시로서 산수시가․․․․․․․․․․․․․․․․․․․․․․․․ 63 3.속도 위주 문명의 대안으로서 산수시가․․․․․․․․․․․․․․․․․․․․․․ 70 4. 표현 교육론 자료로서 산수시가․․․․․․․․․․․․․․․․․․․․․․․․․․․ 80 Ⅲ. 조선중기 산수시가 지도 방법론․․․․․․․․․․․․․․․․․․․․․․․․․ 94 1. 山水畵를 활용한 수업․․․․․․․․․․․․․․․․․․․․․․․․․․․․․․․․․ 95 2. 漢詩를 활용한 수업․․․․․․․․․․․․․․․․․․․․․․․․․․․․․․․․․․․114 3. 산수시가간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수업․․․․․․․․․․․․․․․․․․․․123 4. 문학적 상징체계의 이해를 통한 수업․․․․․․․․․․․․․․․․․․․․․․․ 134 5. 현대시조․시와의 연관성을 활용한 수업․․․․․․․․․․․․․․․․․․․․․ 154 6. 자연친화적 내용의 배경 지식을 활용하는 수업․․․․․․․․․․․․․․․․․176 7. 심미적 체험을 활용한 수업․․․․․․․․․․․․․․․․․․․․․․․․․․․․ 181 8. 토의․토론을 활성화하는 수업․․․․․․․․․․․․․․․․․․․․․․․․․․ 188 9. 암송을 통해 태도를 기르는 수업․․․․․․․․․․․․․․․․․․․․․․․․․190 Ⅳ. 결론․․․․․․․․․․․․․․․․․․․․․․․․․․․․․․․․․․․․․․․․․․․․․192 * 참고문헌․․․․․․․․․․․․․․․․․․․․․․․․․․․․․․․․․․․․․․․․․․․195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조선중기 산수시가의 교육적 의의 및 지도 방법론 연구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 |
dc.date.awarded | 2006.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5481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08 | - |
dc.subject.keyword | 산수시가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