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내 복합단지 통행수요 예측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유정훈 | - |
dc.contributor.author | 김기성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38:18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38:18Z | - |
dc.date.issued | 2009-02 | - |
dc.identifier.other | 9865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6201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ITS대학원 :교통공학과,2009. 2 | - |
dc.description.abstract | 요약 기술혁신과 교통수단 및 통행행태의 변화는 신도시의 입지조건을 변화시켰고, 이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지닌 신도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 내 복합단지 통행 특성을 바탕으로 한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통행발생수요의 예측을 통한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방법론과 비교·분석을 통해 합리성을 검증하였다. 경기도 화성 동탄 신도시를 대상으로 복합단지 통행발생 모형방법론을 비교·분석한 결과 카테고리 분석법의 경우 인구 증가율이 고려되지 않으면 정확한 통행수요 예측이 어렵다고 분석되었고, 회귀분석법의 경우 신도시의 특성적인 면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는 분석이 나타났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시한 성장률법의 경우 인구 성장률과 자동차 증가율을 함께 고려함으로 인해 동탄 신도시의 현황과 자체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제1장 서 론-------------------------------------------------1 제1절 연구 목적---------------------------------------------------------1 제2절 연구 내용---------------------------------------------------------2 1. 연구 범위-----------------------------------------------------------2 2. 연구 방법-----------------------------------------------------------2 제2장 이론 및 선행연구고찰----------------------------------4 제1절 도시계획 일반-----------------------------------------------------4 1. 우리나라의 도시 및 교통문제-----------------------------------------4 2. 도시계획 이론 및 과정-----------------------------------------------5 3. 신도시 개발---------------------------------------------------------6 4. 도시재개발----------------------------------------------------------7 5. 토지이용 계획 및 구획정리사업 --------------------------------------8 6. 가로망 계획--------------------------------------------------------11 7. 도로계획-----------------------------------------------------------12 제2절 교통계획 접근 방법-----------------------------------------------14 1. 도시 교통문제의 배경-----------------------------------------------14 2. 도시 교통계획 과정-------------------------------------------------17 3. 교통계획의 종류----------------------------------------------------18 4. 종합교통계획-------------------------------------------------------23 5. 종합교통계획 방법--------------------------------------------------23 6. 교통망 계획 및 접근 방법-------------------------------------------24 7. 교통수요 분석 및 예측----------------------------------------------26 제3장 발생교통량 추정 모형 개발----------------------------- 33 제1절 신도시 복합단지 통행수요-----------------------------------------33 제2절 기존 수요 추정 방법----------------------------------------------37 제3절 제안 추정 모형 방법----------------------------------------------39 제4장 모형실험----------------------------------------------40 제1절 실험구성---------------------------------------------------------40 제2절 실험방법---------------------------------------------------------58 제3절 모형적용---------------------------------------------------------59 제4절 결과분석---------------------------------------------------------61 제5장 결 론----------------------------------------------63 참고문헌---------------------------------------------------66 그림 목차 〈그림 1-1〉 연구 방법---------------------------------------------------3 〈그림 2-1〉 도시계획 과정-----------------------------------------------6 〈그림 2-2〉 토지이용계획 입안 과정--------------------------------------9 〈그림 2-3〉 토지구획정리사업 시행인가 및 시행절차----------------------10 〈그림 2-4〉 가로망 계획과정--------------------------------------------11 〈그림 2-5〉 도시교통문제-----------------------------------------------15 〈그림 2-6〉 4단계 추정법의 단계별 추정 모형----------------------------27 〈그림 2-7〉 원단위법 추정과정------------------------------------------28 〈그림 2-8〉 회귀 분석법의 장래 통행량 추정 과정------------------------28 〈그림 2-9〉 카테고리 분석법의 적용과정 및 장점-------------------------29 〈그림 3-1〉 복합단지 조감도--------------------------------------------35 〈그림 3-2〉 복합단지 개요도--------------------------------------------36 〈그림 3-3〉 복합단지 주요시설 배치도-----------------------------------36 〈그림 4-1〉 동탄 지구 수급권 아파트 입주량-----------------------------40 〈그림 4-2〉 주택 보급률 추이-------------------------------------------40 〈그림 4-3〉 기존 주택 가구 수와 세대수 및 공급주택 수------------------41 〈그림 4-4〉 예상 주택 보급률-------------------------------------------41 〈그림 4-5〉 위치도-----------------------------------------------------43 〈그림 4-6〉 토지이용계획 주택별 도표-----------------------------------45 〈그림 4-7〉 토지이용계획 용지별 도표-----------------------------------46 〈그림 4-8〉 토지이용계획도---------------------------------------------48 〈그림 4-9〉 도로계획 도표----------------------------------------------49 〈그림4-10〉 생활환경---------------------------------------------------51 〈그림4-11〉 교통환경---------------------------------------------------52 표 목차 〈표 2-1〉 재개발의 개념-------------------------------------------------7 〈표 2-2〉 재개발 계획의 분류--------------------------------------------8 〈표 2-3〉 가로망 형태 구분---------------------------------------------12 〈표 2-4〉 가로율 계획--------------------------------------------------13 〈표 2-5〉 우리나라 연도별 자동차 보유대수 추이-------------------------16 〈표 2-6〉 물류의 발전단계----------------------------------------------17 〈표 2-7〉 장기교통계획과 단기교통계획 비교-----------------------------19 〈표 2-8〉 장기교통계획과 TSM(교통체계관리) 차이점----------------------19 〈표 2-9〉 비용·편익 분석법의 종류-------------------------------------22 〈표2-10〉 비용 - 편익 분석기법별 장·단점------------------------------22 〈표2-11〉 4단계 수요 추정법의 장·단점---------------------------------27 〈표2-12〉 교통수단의 선택적 요인---------------------------------------30 〈표2-13〉 용량 제약 방법의 특징----------------------------------------32 〈표 3-1〉 복합단지 현황------------------------------------------------34 〈표 4-1〉 동탄 신도시 기본현황-----------------------------------------42 〈표 4-2〉 교통기본방향-------------------------------------------------44 〈표 4-3〉 광역교통개선대책---------------------------------------------44 〈표 4-4〉 기타교통개선대책---------------------------------------------44 〈표 4-5〉 토지이용계획표 주택별----------------------------------------45 〈표 4-6〉 토지이용계획표 용지별----------------------------------------46 〈표 4-7〉 도로계획 총괄------------------------------------------------49 〈표 4-8〉 주차장 계획--------------------------------------------------50 〈표 4-9〉 광장계획-----------------------------------------------------50 〈표4-10〉 공원계획-----------------------------------------------------50 〈표4-11〉 공공용지계획-------------------------------------------------50 〈표4-12〉 녹지계획-----------------------------------------------------51 〈표4-13〉 농업관련용지 계획--------------------------------------------51 〈표4-14〉 주거편익시설 계획--------------------------------------------51 〈표4-15〉 학교별 현황--------------------------------------------------53 〈표4-16〉 인구수 및 세대수 증가 추이-----------------------------------53 〈표4-17〉 자동차 대수 증가 추이----------------------------------------53 〈표4-18〉 사업지구 시설 고용자수---------------------------------------54 〈표4-19〉 교통 발생량(2008년)--------------- --------------------------54 〈표4-20〉 활동인구(2008년)---------------------------------------------54 〈표4-21〉 통행 발생량(2008년)------------------------------------------54 〈표4-22〉 화성시 읍면의 연도별 가구당 가구원수 변화 추이---------------55 〈표4-23〉 지역 인구 현황-----------------------------------------------55 〈표4-24〉 동탄 신도시 내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55 〈표4-25〉 화성시 연도별 인구현황---------------------------------------56 〈표4-26〉 전입·전출지별 인구이동(1997)--------------------------------56 〈표4-27〉 화성시 지목별 토지이용 변화추이------------------------------57 〈표4-28〉 경기도와 화성시의 구조별 주택수 비교-------------------------57 〈표4-29〉 화성시 인구 및 자동차 증가-----------------------------------57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신도시 내 복합단지 통행수요 예측 | - |
dc.title.alternative | kim kisung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통ITS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kisu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통ITS대학원 교통공학과 | - |
dc.date.awarded | 2009.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7564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865 | - |
dc.subject.keyword | 통행수요 예측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Abstract Since the requirements of a new city location have been changed due to technical innovation and the changes in transportation mode and travel pattern, the development of new cities is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way. This study proposes a realistic and effective approach to forecast the travel demand of the complex in a new city based on the observed characteristics in new cities. The proposed approach is validated through comparing with two existing approaches, category analysis and regression model. The models are applied to the city of Dongtan in Kyeonggi-do.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category analysis cannot be robust without a reliable forecast of population and the regression model is difficult to be applied due to the complex nature of Dongtan. On the contrar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owt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an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of Dongtan by considering the growth of population and car ownership at the same tim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