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를 통한 자기노출이 외상 경험에 미치는 효과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민규 | - |
dc.contributor.author | 백정미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17:46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17:46Z | - |
dc.date.issued | 2005-08 | - |
dc.identifier.other | 608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5680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2005.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고통스러운 일을 겪고 난 후, 그것을 억제하는 것보다는 그때 느꼈던 감정과 생각들을 글로 표현하는 것이 심리적으로 더 유익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설문지를 통해 자기노출의 효과를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 외상 경험 후 자기노출을 많이 한 대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대학생들에 비해 자기 삶에 대한 만족감이 더 높았고, 자기 자신을 좀 더 존중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글쓰기의 자기노출 효과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외상 경험에 대해 스트레스 예방 훈련적 글쓰기를 한 집단이 감정정화를 중심으로 글쓰기를 한 집단보다 더 나은 심리적 효과를 보였다. 특히, 스트레스 예방 훈련적 글쓰기는 고통스럽고 불쾌했던 경험을 회상한 후에도 자기지각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속하게 부적 정서를 해소시켜 주었고, 침투사고 및 회피 정도를 감소시키는 데에도 감정정화 글쓰기보다 더 나은 효과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학기 말에 실시한 추후 연구에서도 스트레스 예방 훈련적 글쓰기 집단은 자존감 변화량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였고, 주관적 안녕감 역시 감정정화집단과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자기노출의 장기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차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3 1. 침투 사고 연구의 필요성 = 3 2. 자기노출의 효과 = 4 3. 글쓰기를 통한 자기노출의 이점 = 6 4. 글쓰기를 통한 자기노출의 치료적 효과 = 7 Ⅲ. 문제 제기와 연구 문제 = 9 1. 외상 경험에 대한 글쓰기의 한계점 = 9 2. 기존 글쓰기 과제의 한계점 = 10 3. 연구 문제 = 12 Ⅳ. 연구 1 = 13 1. 연구 목적 = 13 2. 연구 가설 = 13 3. 연구 방법 및 절차 = 13 4. 측정도구 = 13 5. 자료 분석 = 15 6. 결과 = 15 7. 논의 = 20 Ⅴ. 연구 2 = 23 1. 연구 목적 = 23 2. 연구 가설 = 23 3. 연구 방법 및 절차 = 23 4. 측정도구 = 26 5. 자료 분석 = 28 6. 결과 = 28 7. 논의 = 43 Ⅵ. 종합 논의 = 50 참고 문헌 = 52 부록 = 57 ABSTRACT = 70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글쓰기를 통한 자기노출이 외상 경험에 미치는 효과 | - |
dc.title.alternative |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through Writing on Traumatic Experience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Beak, Jung-mi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 |
dc.date.awarded | 2005.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4676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08 | - |
dc.subject.keyword | 자기노출 | - |
dc.subject.keyword | 감정정화 글쓰기 | - |
dc.subject.keyword | 스트레스 예방 훈련적 글쓰기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at disclosing trauma through writing is better than in hibiting in psychological health.In study 1,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was examined by survey and the result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who disclosed more traumas reported higher subjective well-being and marginally higher self-esteem than disclosed nothing. In study 2,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was examined by experiments through writing.As the result, writing about traumas by a stress inoculation training task(SIT task)showed better psychological effect than writing by a catharsis task. Especially,SIT task reduced faster negative affect with stable self-concept than catharsis task. In the follow up study, SIT task showed long-term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 in self-disclosur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