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아동을 위한 Multi-modal 접근의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정-
dc.contributor.author박순말-
dc.date.accessioned2018-11-08T07:17:45Z-
dc.date.available2018-11-08T07:17:45Z-
dc.date.issued2005-08-
dc.identifier.other639-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5677-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2005. 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ADHD 아동의 또래 관계 향상을 위한 Multi-modal 접근의 사회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3, 4, 5학년으로 ADHD로 진단받았고, 지능은 80 이상인 아동 13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치료 집단에 7명, 대기 집단에 6명을 무선 할당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아동의 사회 기술, 우울, 자아개념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부모용, 교사용, 아동용 SSRS, 아동용 CDI, 아동용 자아개념검사, 부모용 K-CBCL, 그리고 치료자가 평정하는 T-CRS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 보고에서 치료 집단 아동들은 대기 집단의 아동들에 비해 치료 프로그램 후 사회성과 우울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반면, 자아개념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부모와 교사 보고에서도 치료 집단 아동들은 대기 집단 아동들에 비해 치료 프로그램 후 사회 기술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리고 치료 집단 아동들의 행동 관찰 결과, 이들은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꾸준히 문제 행동이 감소하고 사회적 유능감은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ADHD 아동들의 사회 기술을 향상시켰으며, 이러한 향상은 가정과 학교 상황에서도 일반화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국문 초록 = ⅰ 목차 = ⅱ 표 목차 = ⅳ 그림 목차 = ⅳ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의 = 4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특징 = 5 (1)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 = 5 (2) 학업 부진 = 6 (3) 사회적 문제 = 6 (4) 정서적 문제 = 7 3. ADHD 아동의 사회적 문제 영역 = 8 (1) 사회적 행동 = 8 (2) 사회적 지각 = 10 (3) 사회적 문제 해결 = 12 (4) 자기 통제 = 13 4. 사회 기술 훈련의 유형 = 14 5. 사회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16 (1) Multi-modal 접근의 사회 기술 훈련 = 16 (2) 인지적-행동 프로그램 = 20 Ⅲ. 연구 목적 및 연구 가설 = 25 1. 연구 목적 = 25 2. 연구 가설 = 27 Ⅳ. 연구 방법 및 절차 = 28 1. 연구 대상 = 28 2. Multi-modal 접근의 사회 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 28 3. 측정 도구 = 30 4. 실험 설계 및 분석 = 32 Ⅴ. 결과 = 33 Ⅵ. 논의 = 46 참고 문헌 = 50 부록 = 57 Abstract = 68-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ADHD 아동을 위한 Multi-modal 접근의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social skill training of Multi-modal approach for Children with ADHD-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un-Mal-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5.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4673-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39-
dc.subject.keyword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dc.subject.keyword사회 기술 훈련-
dc.subject.keywordMulti-modal 접근-
dc.subject.keyword사회 기술-
dc.subject.keywor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dc.subject.keywordsocial skill training-
dc.subject.keywordMulti-modal approach-
dc.subject.keywordsocial skill-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s of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of Multi-modal approach for children with ADHD. Participates were thirteen who were children from the 3rd to 5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had IQ above 80, and were diagnosed as ADHD. The 7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6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one.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SSRS) for parent, teacher and children,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for parents, Self-Concept, and Child Depression Inventory(CDI) for children, and Teacher-Child Rating Scale(T-CRS) for therapist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ocial skill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depression symptom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 concept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one. Parent and teacher in the treatment group reported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ocial skill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one. Child behavior observation also showed the decrease in the problem behaviors and improvement in the social competency after program in comparison to before program. In conclusion, the program used in the study was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kills and the improvement was generalized down to the school and home situation. Finally,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