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효과성,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분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김성완 | - |
dc.contributor.author | 이영선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16:49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16:49Z | - |
dc.date.issued | 2008-02 | - |
dc.identifier.other | 6228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5435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2008. 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강원도사이버가정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만족도와 효과성 인식을 학습자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사이버가정학습사이트에서 온라인 설문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만족도에 있어서 학교급, 학교성적, 이용동기, 접속횟수, 부모 및 선생님 관심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대체로 만족하는 수준이었다. 하위 영역별에서는 콘텐츠 측면은 대체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반면,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선생님의 관심도가 높아야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학급유형별에서는 사이버선생님이 있는 담임형에서나 없는 비담임형에서도 다른 학습자 배경 변인들보다는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의 콘텐츠의 내용과 질은 매우 좋으나 효과적인 사이버가정학습을 위한 학생과 선생님의 상호작용, 학습전략, 동기전략, 학습 유인책 등을 지원하는 서비스 부분이 수정 또는 보완이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 분석결과를 보면 사이버가정학습은 학교수업을 보충하는데 도움이 되었다에 학생들의 비율이 높은 반면, 자신감 형성과 학업 성취 부분에서는 긍정과 부정도 아닌 보통이다에 답변이 많았다.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의 정의적 영역인 친구들과의 사교성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에 학생 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나 사이버가정학습에 참여하는 학생들간에 부정적인 측면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시스템적 보안과 정보화 역기능에 대한 부분도 강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강원도 사이버가정학습의 운영과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의 운영 목적인 공교육의 내실화와 사교육비 경감 및 교수학습의 질 개선을 위하여는 시?도교육청별 교육환경에 맞는 콘텐츠의 다양화 및 학습자의 학습 유형을 고려한 다양한 교수학습 운영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사이버가정학습내에 선생님과 학생의 상호작용성 지원 및 강화를 위하여 사이버가정학습 시스템을 개선하고 사이버선생님 유형중 비담임형의 자율학습체제 운영 형태에서 벗어나 협력적인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 형태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사이버가정학습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학부모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교사 연수의 다각화를 통해 온오프라인 수업을 연계하여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의 개선점에 대한 개방형 질문에서 학생들은 사이버가정학습내에 학습유인책의 일종인 마일리지, 아바타, 게임, 메신저 등으로 학습자 사이에 사이버 폭력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적 기능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사이버가정학습 운영관리자는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고 사이버가정학습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네티즌 윤리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6 3. 연구방법 및 절차 = 6 4. 연구의 제한점 = 11 II. 이론적 배경 = 13 1. 사이버가정학습과 교수학습 효과성 = 13 2. 사이버가정학습사이트 사례 = 18 3. 사이버가정학습 수업모형 = 23 III. 연구결과 = 26 1.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 = 26 2.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 35 3. 사이버가정학습 개선 방안 = 45 IV. 결론 및 요약 = 52 1. 요약 = 52 2. 결론 = 54 3. 제언 = 55 참고문헌 = 57 부록 = 59 ABSTRACT = 65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효과성,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분석 | - |
dc.title.alternative | Lee, Young Sun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Young Su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 | - |
dc.date.awarded | 2008.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6385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228 | - |
dc.subject.keyword | 사이버 | - |
dc.subject.keyword | 가정학습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learners participated in Cyber Home-Learning System(CHLS) at Kangwon-do perceive different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or not. For the study, online questionnaire survey is used at the CHLS site. In summary, for satisf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s shown in class, academic performance, use motives, the number of access, and parents' and teachers' interest, indicating that users are satisfied in general. For sub-variables, students have relatively higher satisfaction at content, while they have higher satisfaction at interaction if only teachers have higher level of interest. For class type, both classes with a charged teacher and ones without it show lower satisfaction than other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do. Conclusively, the substance and quality of CHLS content are very good, but service sector uupporting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learning strategy, motive strategy, and learning attractions for effective CHLS is required to be modified or enhanced. In terms of effectiveness of CHLS, many students have thought that CHLS is helpful for supporint school classes, while many of them have responded that it does not good nor bad to their self-confidence and academic performance. Notably, higher rates of students have considered that 'sociality with peers', an affective area of CHLS effectiveness, never occurs. It reveals negative aspects among students participated in CHLS, suggesting that system security and information dysfunction be enhanced.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administration and improvements of Kangwon-do CHLS as follows; first, diversification of content suitable for education circumstances by city?do education office, and various teaching-learning administration strategy for learners' learning styles are needed for the purposes of sound public education, reduced private education cost, and improved teaching-learning quality, the administration aims of CHLS. Second, in order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CHLS, CHLS system is needed to be improved for supporting and enhancing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dditionally, voluntary study system, one of cyber teacher types, needs to be altered to teaching-learning style focusing on cooperative learning community. Also, par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should be attracted by active publicity, and some support are needed to make online and offline classes linked through diverse teacher training programs. Third, open questions about improvements of CHLS have shown that students ask systemic function to prevent cyber violence among learners such as mileage, avatar, game, and messenger, kinds of learning attractions. So, operation administrator for CHLS should plan a countermeasure and netizen ethics training should be enhanced with students participated in CHL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