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수 동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고정희 | - |
dc.contributor.author | 김미정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10:48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10:48Z | - |
dc.date.issued | 2006-02 | - |
dc.identifier.other | 999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5380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2006. 2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는 한국 아동문학의 거목인 이원수가 지녔던 아동문학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의 해방기 동시에 나타난 어린이의 형상이 갖는 특징과 문학적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작품 분석에 앞서 아동문학의 흐름과 동시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면서 이원수가 어린이를 어떻게 인식했으며 작품화 하였는지 그의 아동문학관을 고찰하였다. 이원수는 일제 식민지 시대에서 분단 시대를 가로질러 반세기 이상 활동한 아동 문학가로서 그의 작품과 평론은 근대 아동문학 역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문학이 본질적으로 사람이 사는 일과 무관할 수 없으며 나아가 사람이 사는 모습을 보여주고 사람이 사는 길을 제시하여야 한다고 볼 때 이원수는 이 같은 문학 의식을 실천한 몇 안 되는 작가이다. 그의 아동문학관은 현실주의로서 아동문학이 어디까지나 동심주의를 중심으로 하되 어린이가 처한 현실을 그려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1920년대 어린이를 낙원에 두고 현실과 유리된 이야기를 쓰던 동심 천사주의를 거부하고 어린이를 그 자체로 존중하는 주체로서의 아동관을 확립하였다. 또한 프로 문학이 문학을 계급 투쟁의 수단으로 여기고 어린이를 계급의 산물로 보는 것에 반대하고 진실로 어린이가 사는 모습, 어린이 개개인이 처한 현실적 상황을 진지하게 작품화 하였다. 주체로서의 아동관과 서민성의 문학관은 그의 작품이 현실주의적 요소를 지니면서 감동적 울림을 주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작품 분석은 이원수의 해방기(1945.8.15~1950.6.25) 동시를 중심으로 하였다. 일제시대부터 시작된 시작은 해방기에 이르러 절정에 달하게 된다. 특히 해방기는 그가 산문으로 장르의 전환을 시도한 시기이면서, 동시의 작품성이 최고조에 달하는 전성기였다. 전 시대에서 어린이의 비참한 현실을 감상적이며 소극적인 자세로 바라보았다면 이 시기에는 그러한 현실을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태도로 대하는 어린이의 모습이 작품 속에 형상화되어 나타난다. 이것은 어린이에 대한 작가의 인식에 있어 긍정적이며 발전적인 태도의 변화인 동시에 작품 내적으로도 한 차원 높아진 현실주의적 면모를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이원수의 시심의 핵은 약한 자에 대한 연민의 정이고 인간과 자연을 사랑하는 서정의 정신이며, 악을 미워하고 진실을 옹호하는 마음이었다. 시대에 아부하는 천박한 유희적 동시들이 그려낸 어린이의 이미지가 괴로운 현실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순진무구한 어린이였다면, 이원수의 동시 속의 어린이는 현실과 역사 속에 살아있는 어린이였다. 이원수는 한국 아동문학사에서 처음으로 독자인 어린이 주체로서 인식했던 선구적인 아동 문학가였으며, 그의 동시는 현실주의 동시와 서민적인 아동문학의 싹을 마련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데 있어 그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 서론 = 1 1. 문제 제기 = 1 2. 연구사 검토 = 3 3. 연구 방법 = 5 Ⅱ . 한국 아동문학의 흐름 = 6 1. 아동문학의 전개 = 6 2. 현실주의 아동문학 = 13 Ⅲ. 작가 의식의 형성 배경 = 15 1. 이원수의 아동관 = 15 2. 이원수의 생애와 문학관 = 18 3. 해방전후 이원수 동시의 특징 = 25 Ⅳ. 해방기 동시에 나타난 어린이의 형상 = 28 1. 현실과 맞서는 어린이 = 28 2. 성숙한 어린이 = 33 3. 순수한 어린이 = 34 4. 시련을 극복하는 어린이 = 36 Ⅴ. 어린이의 형상으로 본 이원수 동시의 문학적 의의 = 38 Ⅵ. 결론 = 39 <참고문헌> = 42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이원수 동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Kim, Mi-Jung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Mi-Ju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 |
dc.date.awarded | 2006.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5293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999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