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셉터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용순-
dc.contributor.author이세민-
dc.date.accessioned2018-11-08T07:07:27Z-
dc.date.available2018-11-08T07:07:2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18-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5037-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보건교육,2005-
dc.description.abstract신규 간호사의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통해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실제 차이를 극복하여 실제 적용 능력을 높이고 실제교육을 시행하는 프리셉터쉽 제도는 프리셉터의 자기개발의 기회로서 업무역량강화나 직무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신규 간호사의 오리엔테이션을 담당하고 있는 프리셉터들이 과외 업무로 인한 부담감과 신규 간호사의 업무수행에 대한 책임감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는 프리셉터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와 역할갈등 정도를 조사하여 그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고, 연구대상은 경기도내 A대학병원의 프리셉터 111명을 대상으로 2004년 9월 16일부터 9월 25일 까지 총 10일간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Slavitt(1978)가개발한직무만족측정도구를 기초로 이영희(2002)가 수정 보완한 설문지와 김문실과 박상연(1994)이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역할갈등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한 설문지로 최고 5점에서 최저 1점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 way ANOVA,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등의 통계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연령 28.3세 이었으며, 주로 미혼이 71.2%, 최종 학력으로는 전문대와 대학교 졸업이 각각 41.1%로 많았다. 종교는 없는 그룹이 49.5%, 일반병동에서 근무하는 프리셉터가 수가 54.9%로 차지하고 있으며, 임상 총 경력으로는 5년∼7년 미만의 그룹이 42.3%, 현 부서의 근무경력이 3∼6년 미만으로 51.4%였다. 간호직을 선택 하게 된 동기로는 주위 권유가 45.9%, 급여는 201∼250만원 수준의 그룹이 66.7%였다. 프리셉터를 수행하게 된 동기로는 93.3%가 수간호사의 권유에 의해서 선택 되었으며, 프리셉터의 대부분은 교육을 이수한 후 활동하고 있으며, 평균 32시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하였고, 교육한 신규 간호사수는 평균 2명 이었다. 프리셉터 역할에 대해 원하는 보상으로는 인사고과에 반영이 36% 역할 수행동안의 수당지급이 33.3%였다. 향후 한번 정도의 프리셉터 역할의 수행 의지를 보인 그룹이 50.5%였으며, 프리셉터 경험 시 제일 힘든 점은 업무량 증가와 심적 부담감이 각각 36%였다. 2. 프리셉터의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에서 평균평점 3.24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 영역으로는 6개 영역으로 측정하였으며, 업무요구도 영역에서 3.6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자율성, 상호작용, 전문직, 조직요구도, 보수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3. 프리셉터의 역할갈등 정도는 5점 만점에서 평균평점 3.57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 영역으로는 4개 영역으로 측정하였으며, 환경장애 영역에서 3.6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역할모호, 협조부족, 능력부족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4. 프리셉터의 직무만족도와 역할갈등 정도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았다(r=.087, p=.365). 그러나 각 영역별 상관관계에서는 상호작용 영역과 협조부족 영역(r=.247, p=.009), 전문직 영역과 능력부족 영역(r=.191, p=.045)과 전문직 영역과 협조부족 영역(r=.197, p=.038)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역할갈등 정도와의 관계에서는 현 부서의 근무경력(F=3.52, p=.018)과 현 근무부서(F=3.10, p=.049), 급여수준(F=6.00, p=.003)에 따라 직무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대상자의 결혼상태(t=3.21, p=.002)와 종교(F=2.55, p=.043)에 따라 역할갈등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프리셉터와 관련된 특성에 따른 프리셉터의 직무만족도와 역할갈등 정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프리셉터는 중간정도의 직무만족도와 중간정도 이상의 역할갈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프리셉터쉽의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프리셉터의 직무만족도와 역할갈등 정도를 파악하여 관리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프리셉터쉽 제도의 질적인 향상을 위하고, 나아가 효과적인 프리셉터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차례 차례 = ⅰ 국문요약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4 Ⅱ. 문헌고찰 = 5 A. 프리셉터, 프리셉터쉽 = 5 B. 프리셉터의 직무만족과 관련된 연구 동향 = 8 C. 프리셉터의 역할갈등과 관련된 연구 동향 = 11 Ⅲ. 연구방법 = 14 A. 연구 설계 = 14 B. 연구 대상 및 표집 방법 = 14 C. 연구 도구 = 14 D. 자료 수집 방법 = 15 E. 자료 분석 방법 = 15 Ⅳ. 연구 결과 = 17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7 B.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와 역할갈등 정도 = 21 C.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와 역할갈등 정도와의 상관관계 = 27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역할갈등 정도 = 28 Ⅴ. 논의 = 32 A. 프리셉터와 관련된 특성에 대한 논의 = 32 B. 직무만족도와 역할갈등 정도에 대한 논의 = 33 C.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와 역할갈등 정도와의 상관관계 = 35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직무만족과 역할갈등 = 36 Ⅵ. 결론 및 제언 = 38 A. 결론 = 38 B. 제언 = 40 참고문헌 = 41 부록 = 48 ABSTRACT = 55-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프리셉터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Preceptor Nurse's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e Min-
dc.contributor.department교육대학원 보건교육-
dc.date.awarded2005.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4587-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018-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ceptor's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1 preceptors at one of University hospitals in Suwon from September 16 to September 25, 2004. Preceptor's job satisfaction included 6 domains : professional status of job, interaction,autonomy, administration, pay, and task. Role conflict included 4 domains : incompetence, role ambiguity, environmental error, lack of co-oper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rcentage, means,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done with SPSS-WIN ver.11.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for Preceptor's job satisfaction was 3.24 of a possible 5 points. As for domain, task(M=3.61) ha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autonomy(M=3.50), interaction(M=3.43), professional status of job(M=3.30), administration(M=2.97), and pay(M=2.62). 2. The mean score for Preceptor's Role conflict was 3.57 points of a possible 5 points. As for domain, environmental error(M=3.69) ha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role ambiguity(M=3.50), lack of co-operation(M=3.48), and incompetence(M=3.47). 3.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 was not significant level(r=.087, p=.365). 4. In the job satisfaction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Preceptors according to present experience(F=3.52, p=.018) and present department(F=3.10, p=.049), Pay status(F=6.00, p=.003), In the role conflict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Preceptors according to marital status(T=3.21, p=.002), religion(F=2.55, p=.043). 5. In the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 about Preceptor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Preceptors. According to this study, Preceptor was experiencing middl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 more than middle degree. Therefore, it will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minimize role conflict by more detailed examination and application of domains in this study. Moreover I think that it will be useful as basic data for activating preceptorship.-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Health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