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교육관과 교육제도개혁론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성을-
dc.contributor.author우수행-
dc.date.accessioned2018-11-08T06:40:14Z-
dc.date.available2018-11-08T06:40:14Z-
dc.date.issued2006-02-
dc.identifier.other896-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3457-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2006. 2-
dc.description.abstract다산 정약용(1762~1836)이 태어난 18세기 후반은 실학 사상의 전성기이자, 다양한 사상들이 유입된 사상적 전환기였다. 그는 조선 후기의 사회 현실을 예리하게 관찰하면서 다방면에 걸쳐 체계적인 개혁 사상을 제시하였는데, 본고는 특히 교육 분야에 대한 개혁론에 주목하였다. 먼저 교육 개혁의 사상적 바탕이 되는 교육관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정약용은 확장된 민본 사상에 입각하여 민중의 권리를 인식하고 나아가 교육 기회의 균등을 주장하였다. 둘째, 북학파의 기술 발전론을 받아들여 실용주의에 토대를 둔 기술 교육을 강조하였다. 셋째, 도덕적 자질과 전문 행정 능력을 갖춘 전인적 관료를 양성하기 위한 전인 교육을 중시하였다. 정약용은 조선 후기의 교육 실정 속에서 학교 교육의 문제점과 과거 제도의 폐단을 비판하며 현실적인 개선책을 마련하고자 했다. 그가 구상한 학교 체제의 개편은 예비 관료인 選士의 선발과 양성에 중점을 두었다. 선사는 공론에 의한 천거제를 통해 선발함으로써 최대한 공정성을 위해 노력하였고, 전인적 인간으로 양성된 선사 중에서 다시 과거 시험에 응시할 자격을 가지는 擧子를 선발하도록 하였다. 또한 학교 체제와 교육 내용 및 평가, 과시 체제나 과거 과목 등에 대해서도 전반적인 개선안을 구상하였다. 이처럼 정약용이 구상한 교육 제도 개혁의 목적은 당시에 분리되어 운영하던 학교 교육과 과거 제도를 유기적으로 연계시킴으로써, 도덕적 자질과 전문 행정 능력을 갖춘 전인적 인간을 양성하여 이들을 관료 체계에 흡수시켜서 궁극적으로 국가 개혁의 기반으로 삼고자 하는데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1. 연구사와 연구 목적 = 1 2. 연구 내용과 방법 = 5 Ⅱ. 교육관 = 7 1. 확장된 민본 사상에 입각한 교육 기회의 균등 = 7 2. 실용주의를 강조한 기술교육 = 10 3. 전문성과 도덕성을 겸비한 전인교육 = 14 Ⅲ. 교육제도 개혁론 = 19 1. 조선 후기의 교육 실정 = 19 2. 학교 체제의 개편 = 21 3. 과거 제도의 개혁 = 38 Ⅳ. 결론 = 55 참고문헌 = 58-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정약용의 교육관과 교육제도개혁론 연구-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교육대학원 역사교육-
dc.date.awarded2006.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5220-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96-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e late 18th century when Dasan Jung Yak-yong was born was the peak of Silhak and the transition period of various thoughts as they flowed into Korea. He keenly observed the social phenomen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suggested systematic reformation ideas in many fields.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his theory of education reformation. It studies Jung's educational viewpoint, which is the base of his education reformation thought, in three aspects. First, Jung who accepted democratic concept realized the people's rights and stepped forward to insist an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Second, he received the theory of technology development by Bukhak-pa and emphasized the technology education based on pragmatism. third, he highlighted the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in order to train a government official who had both moral ability and professional administrative ability. Based on this educational viewpoint, he designed to reform the school curriculum that focused on selecting and nurturing sunsa, pre-government official. Sunsas selected by strict and rigid criteria were brought up as whole persons within the system of the school. Among them, geoja who would be entitled to apply for the government-run public service test were chosen. The purpose of Jung's education system reformation was to connect the school education to the government-run test organically ; therefore, talented human resources would work for the governmental system and play a basic role for the national reformation. Jung critically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raditional school education and existing government-run tes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ried to establish a more realistic remedy. Accordingly, this thesis aims to examine Jung Yak-yong's viewpoint on education and his theory of education system reformation in the way of analyzing his works.-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History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