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구조 망간 황화물의 합성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전극에의 적용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김동완 | - |
dc.contributor.author | 민경미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6:39:50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6:39:50Z | - |
dc.date.issued | 2013-08 | - |
dc.identifier.other | 14747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3314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재료공학과,2013.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다른 이차전지들에 비하여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자연적으로 방전이 일어나는 정도가 적은 장점으로 인해 소형화 전자기기뿐 아니라 중대형 시장에서도 크게 각광받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연구 개발과 생산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음극재로 상용되어 쓰이는 흑연은 이론용량이 낮아 더 높은 이론용량을 갖는 물질을 음극재로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컨버젼 반응의 물질은 이론용량이 높고 부피팽창을 완화시켜서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중에서도 금속 황화물은 반금속성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어 전자재료에 적용되어 널리 연구되고 있다. 또한 금속 황화물은 기존에 사용되는 물질에 비해 우수한 이론용량을 갖고 있고 경제적인 면에서도 우수하여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극 재료로 주목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금속 황화물이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재료로도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도 망간 황화물은 최대 두 개의 리튬 원자와 반응하여 616 mAhg-1의 이론용량을 보이는데 이는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의 음극재료로 상용화된 흑연의 이론용량 (372mAhg-1) 보다 1.5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염화망간4수화물 (MnCl4•4H2O) 과 L-cysteine을 출발물질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여 증류수 기반의 용매에서 수열합성법으로 망간 황화물 (MnS) 의 세 가지 동질이상구조 중 γ상의 망간 황화물을 나노로드로 구성된 코어-쉘 구조로 합성하였고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전극물질로 처음 보고하였다. 전기전도도를 높이고자 망간 황화물이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복합체 (MnS@CNT) 를 이루도록 합성하였다. 이렇게 합성된 분말은 X선 회절을 통해 결정구조를 분석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망간 황화물과 탄소나노튜브 망간 황화물 복합체의 형상을 분석하고 열중량 분석을 통해 탄소 나노튜브와 망간 황화물의 복합체 내의 탄소나노튜브의 무게분율을 예측하였다. 합성된 결과물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초록 List of Figures List of Tables 1. 서론 2. 연구배경 2.1.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주요구성 2.2.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활물질로서 나노구조의 장점과 단점 2.3.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음극재와 리튬 간의 반응 메커니즘 3. 선행문헌연구 3.1. 금속 황화물의 연구 3.2. 망간 황화물의 구조 및 적용 3.3. 나노분말 합성시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역할 4. 실험방법 4.1. 망간 황화물의 합성 4.2. 망간 황화물과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합성 4.3. 물리적 특성 평가 4.4.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5. 결과 및 고찰 5.1. 망간 황화물의 물리적 특성 평가 5.2. 망간 황화물의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5.3. 망간 황화물과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물리적 특성 평가 5.4. 망간 황화물과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6. 결론 7. 참고문헌 Abstract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나노구조 망간 황화물의 합성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전극에의 적용 | - |
dc.title.alternative | MIN KYUNG MI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MIN KYUNG MI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재료공학과 | - |
dc.date.awarded | 2013.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71097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747 | - |
dc.subject.keyword | 나노구조 | - |
dc.subject.keyword | 망간황화물 | - |
dc.subject.keyword | 리튬이온 이차전지 | - |
dc.subject.keyword | 배터리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Lithium ion battery is coming up as an energy source of not only portable electronics but also the products of the large scale industry, because it has higher energy density and lower self-discharges than the other batteries. Lithium ion battery is also being developed and produced actively in many nations and South Korea. Graphite is well known used materials as the anode of lithium ion battery, but has low density and theoretical capacity. Lately, the anode materials are being developed to have higher theoretical capacity than that of graphite. The materials are being developed that react to lithium ion through conversion reactions, because of their merits such as high theoretical capacity and buffering volume expansion. Above all, metal sulfides are promising applications in electronic devices, because of their semi-metallic electric properties. Metal sulfides also have superior theoretical capacity and cheap, so they are being paid attention to as cathode materials of Li-ion battery. They are also being studied as anode materials. Theoretical capacity of manganese sulfide (MnS) having three different polymorphism (616 mAhg-1) is one and a half times higher comparing with graphite’s.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 the formation of high-purity γ-phase MnS core-shell structure by hydrothermal route in deionized water using MnCl4•4H2O and L-cysteine as starting materials and polyvinyl pyrrolidone (PVP) as surfactant. Furthermore, we have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γ-phase MnS as a Li-ion battery anode material. We synthesized MnS and multi-wall carbon nanotubes composite for high electric conductivity. The products were analyzed with XRD, SEM, TEM, TGA for the study about their propertie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