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춤 신호 과제로 측정한 성인 ADHD의 반응 억제 결핍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정-
dc.contributor.author원주영-
dc.date.accessioned2018-11-08T06:27:15Z-
dc.date.available2018-11-08T06:27:1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283-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3010-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200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성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반응 억제 결핍을 측정할 수 있는 멈춤 신호 과제를 개발하여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고, 멈춤 신호 과제를 사용하여 성인 ADHD의 반응 억제 결핍을 검증하였다. 성인 ADHD 집단과 통제 집단에게 멈춤 신호 과제와 연속 수행 과제를 시행하게 하였고, 성인 ADHD 질문지, 아동 ADHD 질문지, 충동성 질문지, 우울 척도 등을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멈춤 신호 과제의 경우, ADHD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멈춤 신호를 기다리는 지연 시간 및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더 짧았고, 특히 멈춤 신호에 대한 반응 시간(SSRT)은 더 길었다. 멈춤 신호에 대한 반응 시간이 길수록 반응 억제에 결핍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성인 ADHD 집단의 반응 억제는 통제 집단의 반응 억제에 비해 결핍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연속 수행 과제 상에서는 성인 ADHD 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판별 분석 결과, 멈춤 신호 과제의 판별력이 연속 수행 과제의 판별력보다 더 높았다. 또한 멈춤 신호에 대한 반응 시간은 성인 ADHD 점수, 바랫 충동성 점수 및 딕만 충동성 점수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끝으로 멈춤 신호 과제의 동형 검사 신뢰도 역시 유의미하였다. 결론적으로 반응 억제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멈춤 신호 과제가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멈춤 신호 과제를 사용하여 성인 ADHD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반응 억제의 결핍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국문 초록 = ⅰ 목차 = ⅱ 표 목차 = ⅳ 그림 목차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1. 성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3 2. 성인 ADHD 병인론 = 4 3. 실행 기능(EF: Executive Functioning) = 6 4. ADHD의 결핍된 실행 기능: 반응 억제의 결핍 = 7 5. 실행 과정 중에서 왜 ‘반응 억제’에 주목하는가? = 8 6. 실행 기능 측정 도구들 = 9 7.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들의 문제점 = 15 8.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멈춤 신호 과제(Stop-Signal Task) = 18 Ⅲ. 연구의 목저 = 24 1. 연구 목적 = 24 2. 연구 가설 = 27 Ⅳ. 연구 방법 = 28 1. 피험자 = 28 2. 진단 도구 = 28 3. 실험 도구 = 30 4. 절차 = 36 5. 분석 = 36 Ⅴ. 결과 = 37 1. 피험자 집단의 인구학적 특성 = 37 2. 피험자 집단의 심리적 특징들 = 38 3. 타당도 = 40 (1) 집단간 차이 = 42 (2) 상관분석 = 52 (3) 판별분석 = 53 4. 신뢰도 = 56 Ⅵ. 논의 = 57 참고문헌 = 63 부록 = 69 영문 초록 = 79|표 목차 표 1. 멈춤 신호 과제의 구성 = 31 표 2. 멈춤 신호 과제의 종속 측정치 = 33 표 3. 연속 수행 과제의 구성 = 34 표 4. 연속 수행 과제의 종속 측정치 = 35 표 5.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들의 특성 = 37 표 6. 집단간 심리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 38 표 7. 집단간 심리적 변인의 일원변량분석표 = 39 표 8.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멈춤 신호 과제의 분석지표 = 40 표 9. 집단간 멈춤 신호 과제의 GO.ACC의 평균과 표준편차 = 42 표 10. 집단간 멈춤 신호 과제의 GO.ACC의 일원공변량분석표 = 42 표 11. 집단간 멈춤 신호 과제의 STOP.ACC의 평균과 표준편차 = 43 표 12. 집단간 멈춤 신호 과제의 STOP.ACC의 일원공변량분석표 = 43 표 13. 집단간 멈춤 신호 과제의 지연, GORT, SSRT의 평균과 표준편차 = 44 표 14. 집단간 멈춤 신호 과제의 지연의 일원공변량분석표 = 45 표 15. 집단간 멈춤 신호 과제의 GORT의 일원공변량분석표 = 46 표 16. 집단간 멈춤 신호 과제의 SSRT의 일원공변량분석표 = 47 표 17.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속 수행 과제의 분석지표 = 48 표 18. 집단간 연속 수행 과제의 누락오류, 오경보오류, 정반응시간, 정반응시간편차, 민감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 48 표 19. 집단간 연속 수행 과제의 누락오류에 대한 일원공변량분석표 = 49 표 20. 집단간 연속 수행 과제의 오경보오류에 대한 일원공변량분석표 = 49 표 21. 집단간 연속 수행 과제의 정반응시간에 대한 일원공변량분석표 = 50 표 22. 집단간 연속 수행 과제의 정반응시간편차에 대한 일원공변량분석표 = 50 표 23. 집단간 연속 수행 과제의 민감도에 대한 일원공변량분석표 = 51 표 24. 멈춤 신호 과제와 ADHD 점수, 충동성 점수, 우울 점수 및 연속 수행 과제간 상관표 = 52 표 25. ADHD 집단, 통제 지답의 표준화 정준 판별함수에 사용된 계수 = 53 표 26. 멈춤 신호 과제에서 도출된 정준판별함수 = 54 표 27. 멈춤 신호 과제에서의 분류표 = 54 표 28. 연속 수행 과제에서 도출된 정준판별함수 = 55 표 29. 연속 수행 과제에서의 분류표 = 55 표 30. 블록 1의 지연, GORT, SSRT와 블록 3의 지연, GORT, SSRT간 상관표 = 56 그림 목차 그림 1. 멈춤 신호 반응 시간(SSRT)를 측정하는 방법 = 21 그림 2. 멈춤 신호 과제 한 블록의 구성 = 32 그림 3. 연속 수행 과제의 자극 제시 모습 = 35 그림 4. 집단간 멈춤 신호 과제의 지연, GORT, SSRT 차이 = 45-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멈춤 신호 과제로 측정한 성인 ADHD의 반응 억제 결핍-
dc.title.alternativeResponse Inhibition Deficit of Adult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s(ADHD) on Stop-Signal Task-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Won, Ju Young-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5.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4440-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83-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e first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he Stop-Signal Task and to investigat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Stop-Signal Task provides a measure of the efficiency of response inhibition deficit. The second purpose was to test if the Stop-Signal Task could measure response inhibition deficit of adult with ADHD. ADHD adults and control ones performed the Stop-Signal Task and the Continuous Performance Test. Then the two groups completed ADHD scale(current symptoms scale, childhood symptoms scale), and impulsivity scale. The result of this were as follows. On the Stop-Signal Task, Delay and GORT of ADHD adults were shorter than delay and GORT of control group, SSRT of ADHD group was longer than that of control ones. Longer SSRT means response inhibition deficit. Therefore, adults with ADHD have response inhibition deficit compared with control ones. In contrast, on Continuous Performance Test(CP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DHD and control. In discriminant analyses, the Stop-Signal Task discriminated better than CPT. In addition, SSRT correlated with adult ADHD scores, Barratt impulsivity scores, and Dickman impulsivity scores positively. And alternate-form reliability of the Stop-Signal Task was highly significant. In conclusions, Stop-Signal Task appears to be a highly reliable and valid measure to assess the efficiency of response inhibition. Finally,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