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산모를 위한 산후 우울 관리프로그램의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용순-
dc.contributor.author조은미-
dc.date.accessioned2018-11-08T06:27:04Z-
dc.date.available2018-11-08T06:27:0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172-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937-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200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management program for primiparas. This study used an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8 subjects from May 10 to September 6, 2004 at the obstetric care unit at A and S University Hospitals in S city, Korea. 18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subjects to the control group.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was the Self-rating Depression Scale by Zung(1965).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Win version 11.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1. Hypothesis “The degree of postpartum depression would b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postpartum depression management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 not receiving the program” was suppor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tpartum depress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t=-5.432, p=.000). 2. As the score of postpartum depression measured on pretest was assorted by the level, 60.53% of subjects belonged in normal level(S.D.S 40 below), 31.53% in mild level(S.D.S 40-49), 5.26% in moderate level, and 2.03% in severe level. The level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measured on post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at measured on pretest, but in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e moderate and severe level increased. A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management program for primiparas, this program will be used as intervention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Also, this will contribute to health promotion and well-being of the postpartum women, infants and fami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차례 차례 = ⅰ 표차례 = ⅲ 그림차례 = ⅲ 부록차례 = ⅲ 국문요약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2 C. 연구 가설 = 2 D. 용어의 정의 = 3 Ⅱ. 문헌 고찰 = 4 A. 산후 우울 = 4 B. 산후 우울 관리프로그램 = 7 C. 산후 우울 관련 연구 동향 = 9 Ⅲ. 연구 방법 = 13 A. 연구 설계 = 13 B. 연구 대상 및 표집 방법 = 14 C. 연구 도구 = 15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17 E. 자료분석 방법 = 19 F. 연구의 제한점 = 19 Ⅳ. 연구 결과 = 20 A.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 = 20 B. 가설 검정 = 25 C. 추가 분석 = 27 Ⅴ. 논의 = 33 A. 가설 검정에 대한 논의 = 33 B. 추가 분석에 대한 논의 = 34 Ⅵ. 결론 및 제언 = 39 A. 결론 = 39 B. 제언 = 40 참고문헌 = 41 부록 = 48 ABSTRACT = 65|표차례 <표 1> 본 연구의 설계 = 13 <표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 21 <표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임신 및 출산 관련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 23 <표 4> 실험군과 대조군의 배우자 지지와 산후 우울에 대한 사전 점수 동질성 검정 = 24 <표 5>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실험후 산후 우울 점수 비교 = 25 <표 6>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전후 우울 점수 비교 = 26 <표 7>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산후 우울 분류에 따른 정도 비교 = 28 <표 8>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실험전 산후 우울 점수 차이 = 30 <표 9> 임신 및 출산 관련 특성에 따른 실험전 산후 우울 점수 차이 = 32|그림차례 <그림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산후 우울 평균 점수의 변화 = 26|부록차례 부록 1. = 49 <부록표 1>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실험전(산후 2-4일) 우울 점수 항목별 비교 = 49 <부록표 2>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실험후(산후 6주) 우울 점수 항목별 비교 = 50 <부록표 3>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배우자 지지 점수 항목별 비교 = 51 부록 2. 설문지 = 52 부록 3. 교육자료 = 57-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초산모를 위한 산후 우울 관리프로그램의 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Management Program for Primiparas-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o, Eun-mi-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2005.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4429-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17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Nurs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