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디램 커패시터를 위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고유전율 박막의 원자층 증착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운-
dc.contributor.author전재덕-
dc.date.accessioned2025-01-25T01:36:07Z-
dc.date.available2025-01-25T01:36:07Z-
dc.date.issued2023-02-
dc.identifier.other32687-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4627-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2023. 2-
dc.description.abstractDRAM capacitor는 정상적인 메모리 작동을 위해서 최소 10fF/cell의 정전용량이 필요합니다. 소자의 고밀도 집적화로 인해 높은 유전상수의 상유전성 기반의 페로브스카이트가 요구됩니다. <br>〖SrTiO〗_3(STO)와 〖BaTiO〗_3(BTO)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산화물로 메모리 응용을 위한 강유전체, 상유전체 기반 분극성과 같은 물리적인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BTO/STO의 이중 접합 구조를 Atomic Layer Deposition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이것의 격자상수 차이로 발생하는 strain effect에 의해 유전상수가 증가하는 성질을 연구하였다. 350도 이상의 고온 원자층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BTO 박막의 in-situ 결정화를 달성하여 STO 기판에 변형된 BTO 박막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것을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을 사용하여 BTO/STO의 격자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BTO 박막의 in-plane 방향에 따라 compressive strain이 작용하여 BTO 박막의 격자상수가 1.5% 감소한 반면, STO 단일 기판에서는 in-plane 방향으로 tensile strain이 유도되어 격자상수가 0.8% 증가하였다. 또한, X-Ray Diffraction(XRD) 분석을 통해 STO단결정 기판과 STO기판 위에 증착된 BTO의 2θ값을 비교하였을 때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br>이는 ALD를 이용하여 BTO를 in-situ 결정화 시킨 보고가 거의 없었지만 이를 구현할 수 있었다. 고온의 ALD를 이용한 BTO 박막의 in-situ 결정화는 계면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공정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br>제 2 장. 기초 이론 3 <br> 2.1. DRAM의 구성 및 경향 3 <br> 2.2. DRAM의 구조 4 <br> 2.3. High-k물질 증착 7 <br> 2.3.1. High-k물질 7 <br> 2.3.2. 페로브스카이트 8 <br> 2.3.3. 원자층 증착 방법 10 <br> 2.3.4. STO/BTO 초격자 11 <br> 2.4. X-Ray Fluorescence 13 <br> 2.5. X선 회절 분석법 15 <br> 2.6. X선 광전자 분광법 16 <br> 2.7. 타원 분석기 17 <br> 2.7. 전자 투과 현미경 18 <br>제 3 장. 실험 방법 21 <br> 3.1. TiO_2 박막 증착 21 <br> 3.2. BaO 박막 증착 22 <br> 3.3. In-situ 결정화 방법 23 <br>제 4 장. 실험 결과 및 분석 27 <br> 4.1. BTO박막 증착 27 <br> 4.2. Si 기판 위 BTO 박막 특성 분석 29 <br> 4.3. STO 기판 위 BTO 박막 특성 분석 32 <br> 4.4 홀(hole) 기판 위 BTO 박막 특성 분석 39 <br>제 5 장. 결 론 41-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차세대 디램 커패시터를 위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고유전율 박막의 원자층 증착-
dc.title.alternativeAtomic layer deposition of perovskite-structured high-k thin films for next-generation DRAM capacitors-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ae Deock Jeon-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dc.date.awarded2023-0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T000000032687-
dc.identifier.url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2687-
dc.subject.keyword디램-
dc.subject.keyword원자층 증착-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Energy Systems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