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시조 교육의 현황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고정희 | - |
dc.contributor.author | 이미경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5:47:34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5:47:34Z | - |
dc.date.issued | 2008-02 | - |
dc.identifier.other | 6202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378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2008. 2 | - |
dc.description.abstract | 지금까지 7차 교육과정에서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7, 8, 9, 10 학년의 시조문학교육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시조는 오래전부터 내려온 고전문학의 한 갈래로써 창작하거나 부르기 쉽고, 다양한 내용을 담아낼 수 있어서 우리민족에 의해 널리 향유되어 현대까지 이르고 있다. 시조에는 우리 민족의 사상과 체험이 담겨 있어 시조를 통해 민족의 정서를 이해하고 전통적인 삶을 간접체험 함으로써 현재의 삶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시조를 통해 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는 공동체 사회를 이룩하는 정신적인 근원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점에서 시조문학은 높은 교육적 가치가 있으나, 시조의 특성에 부합하는 구체적인 지도방법과 교수학습활동이 제시되지 않아서 교육현장에서 시조의 가치가 올바르게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조교육현황의 면밀히 검토하여 시조교육의 가능성을 높이고 후행하는 교육과정에서 시조교육의 가치가 더욱 인정받을 수 있는 발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중등교육과정인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의 ‘국어’과목에 포함된 시조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국어과 교육과정과 국어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를 핵심 분석 자료로 삼아 학교교육에서 다루는 시조작품과 교육내용을 연구하였다. ‘Ⅱ.시조교육의 가치와 필요성’에서는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사용 능력 향상’을 국어교육의 궁극적 목표로 설정하고, 문학교육은 학습자가 ‘문학 작품을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창조적으로 재구성’하는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시조문학의 교육적 가치는 매우 높지만, 시조교육에 대한 구체적 연구가 부족하여 학교현장에서 시조교육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Ⅲ 시조교육 현황의 거시적 접근’에서는 문학교육영역의 학년별 교육내용과 해당하는 교과서 단원을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시조교육내용이 부족하고 시조교육 내용이 위계적으로 고른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7차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창조적 재구성활동이 시조교육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문학과정내용 중에 시조교육활동을 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더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문학’영역 이외의 ‘듣기’, ‘말하기’, ‘국어지식’ 영역의 학습활동 자료로 다루어지는 시조작품과 해당 단원을 살펴보았다. 또한 7-10학년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시조작품을 학년과 학기별로 나누어 단원, 주제, 작가, 형식, 시대, 수록양상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과정에서는 3학년 2학기에 집중적으로 수록되어 있어 시조 텍스트가 골고루 편성되지 못했다는 점과 시조의 형식은 평시조가 가장 많이 실려 있으며 시대 면에서 보면 대부분 고시조이고, 현대시조는 2 수만 실려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시조 작가층을 보면 고시조는 사대부, 가객, 기녀, 평민으로 추정되는 미상의 작가 등 다양한 작자층의 작품을 수록하여 유교적인 내용부터 사랑과 그리움 같은 개인적인 정서까지 다양하고, 수록된 시조의 내용은 사대부의 유교적 덕목이나 자연친화적 삶을 노래한 작품이 가장 많고, 그 외 작자층의 개인적 정서를 다룬 작품은 한 두 작품씩만 실려 있다는 것을 알았다.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총 5편의 시조가 실려 있는데, 시조의 작자는 사대부의 시조가 3편으로 가장 많고, 기녀?시조시인도 한 편씩 수록되었는데, <어부사시사>만 소단원의 제재로 수록되고, 다른 작품은 학습활동 제재와 ‘보충?심화’ 학습 자료로만 수록되어 중학교 과정에 구성된 시조의 학습활동보다 심화되어 다루어진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이런들 어떠하며>, <이 몸이 죽고 죽어>에서 상황을 고려하여 낭송하는 활동은 초등학교 5학년에서 하는 학습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시조의 학습활동은 재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Ⅳ. 시조교육 현황의 미시적 접근’에서는 현행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시조교육내용이 수록된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를 살펴보고, 학습 목표 및 학습활동 내용 등 현행 시조교육내용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시조, 사설시조, 현대시조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다양하게 학습할 수 있는 텍스트 선정과 학습활동이 필요하다는 점과 시조를 통한 창작교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시조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언어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았다. 그리고 시조는 대부분 같은 서정적 갈래인 현대시와 연계하거나 다른 갈래의 고전 문학과 연계하여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시조문학의 특성을 살린 활동이 필요하며, 시조를 낭송하기에 관한 구체적인 지도방법을 보충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시조에 대한 친숙함을 잃지 않도록 시조교육내용이 골고루 배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Ⅴ. 시조교육의 개선방안’에서는 현행 시조교육에서 장려할 만한 긍정적인 면과 좀 더 개선되어야 면을 제시하였다. 긍정적인 면은 다양한 시조 작품을 폭 넓게 수용하고, 시조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점, 학생의 다양한 이해와 감상을 장려하는 방향의 시조교육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그 밖에 다른 문화영역과 시조를 관련지어 학습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문화적 지평을 넓혀주고 시조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활동을 고려한 점이 매우 바람직하며, 시조를 창조적으로 재구성하는 활동이 다양하게 이루어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시조교육에서 이러한 긍정적인 교육방법을 개발하여 앞으로도 학습자들이 시조를 즐겨 읽고 창작하려는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한편, 시조교육의 개선방안은 내용 영역 체계의 계열성과 적절성을 정비하고, 명료한 교육 운영 방침을 제시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목표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과 학습자들이 시조를 꾸준히 학습할 수 있도록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시조작품을 보강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다양한 시조작품을 수록하여 시조가 여러 가지 내용과 형식을 가진 국민문학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시조는 창작교육의 제재로 활용하기에 적절하므로 이를 적극 활용한다. 그리고 한국문학의 특질과 흐름이라는 통시적 관점에서 한국문학의 정서와 갈래를 이해하는 방법으로의 시조교육이 필요하다는 점과 시조가 오래 전에 발생하여 오늘날까지 향유되는 갈래라는 것을 학습자들이 깨달을 수 있도록 현대시조의 수록 비중을 높여야 하고 마지막으로 낭송하기 교육방법에 대패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시조의 전통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우선 교육현장에 달려있다. 시조를 처음 접하는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지도하느냐에 따라 시조에 대한 흥미 여부를 결정지을 수 있다. 현재학교 교육에서 겪고 있는 시조교육의 곤란성을 해결하고, 시조교육의 가치를 회복하기 위해 시조 교육의 목적에 부합되는 학습내용 및 방법의 개발이 중요하다. 시조텍스트와 학습활동은 위계성이 고려되어야 하고, 학교급별 수준에 따라 연계성이 검토되어야 한다. 교과서는 제재와 학습내용에 따라 다양한 시조작품을 연계성 있게 수록하고, 교사용 지도서는 교육적으로 정선된 지도방향과 참고자료가 충분하게 수록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학교현장에서 시조교육에 대한 관심과 활동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학교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시조 교육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음을 밝힌다. 그러나 현행 7차 교육과정의 시조교육의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여 바람직한 점과 보완해야 할 점을 검토한 것만으로도 앞으로 시조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세우는 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이 연구를 통해 학교현장에서 바람직한 시조교육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사 검토 = 3 3.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 5 Ⅱ. 시조의 교육적 가치와 필요성 = 7 1.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 = 7 2. 문학 영역의 교육과정 = 8 3. 시조교육의 가치와 필요성 = 11 Ⅲ. 시조교육 현황의 거시적 접근 = 15 1. 문학영역의 학년별 교육내용 = 15 2. 시조교육내용 검토 = 17 3. 교과서 시조 수록 현황 = 26 4. 중등학교 시조작품 수용 특징 = 26 Ⅳ. 시조교육 현황의 미시적 접근 = 32 1. 1학년 2학기 4. 시의 세계 = 32 2. 2학년 1학기 3. 우리 고전의 맛과 멋 = 39 3. 3학년 1학기 1. 시의 표현 = 45 4. 3학년 2학기. 4. 고전문학의 감상 = 49 5. 국어(상) 6.노래의 아름다움 = 58 6. 국어(하) 4. 효과적인 표현 = 62 7. 국어(상) 3. 다양한 표현과 이해 = 64 Ⅴ. 시조 교육의 개선방안 = 66 Ⅵ. 결론 = 69 참고문헌 = 74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중등 시조 교육의 현황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 |
dc.date.awarded | 2008.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6499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202 | - |
dc.subject.keyword | 시조교육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