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리암반에서 선단정착형 록볼트의 긴장력에 따른 보강효과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박병선 | - |
dc.date.accessioned | 2018-10-16T02:25:01Z | - |
dc.date.available | 2018-10-16T02:25:01Z | - |
dc.date.issued | 2011-02 | - |
dc.identifier.other | 11723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166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2011. 2 | - |
dc.description.abstract | 요 약 문 록볼트는 지하공동 굴착시 암반의 과도한 이완을 초기에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터널 지보재 중 하나이다. 또한 록볼트는 굴착면 주변 암반 내부에 띠모양의 구속압을 받는 영역을 형성하고 매달림 효과, 내압효과, 원지반 아치 형성효과, 지반개량효과 등의 지보효과로 인하여 터널의 안정성을 증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양호한 암반지반에서 선단정착형 록볼트 시공 시 록볼트의 효과로 지반을 보강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록볼트의 긴장력에 의한 보강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직육면체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단순보 조건의 모형지반을 조성하고 록볼트의 긴장력을 변수로 모형지반의 자중에 의한 처짐량을 측정하였다. 자중에 의한 처짐 발생이 완료된 후 집중하중을 재하하여 재하 초기의 처짐량을 계측하였다. 모형지반의 자중에 의해 유도된 처짐량을 단순보의 처짐식에 대입하여 지반의 탄성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지반굴착 이후 집중하중을 재하하여 자중에 의한 탄성계수와 비교하여 탄성계수를 산출하고 실험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록볼트의 긴장력 증가에 따라 지반의 처짐량은 감소하였으며, 지반의 보강효과는 증가하였다. 록볼트의 긴장력을 20kN으로 가했을 때 지반의 보강효과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요약문 ⅰ List of figures ⅲ List of Tables ⅴ 제 1 장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2 제 2 장 이론적 배경 2.1 지반응력과 지보재의 상관관계 3 2.2 록볼트의 지보원리 5 2.3 록볼트의 작용원리 8 2.4 록볼트 긴장력에 의한 보강효과 15 2.5 록볼트의 설계 19 제 3 장 대형모형실험 3.1 실험개요 24 3.2 실험장치 25 3.3 모형지반 및 지보재의 물리·역학적 특성 30 3.4 실험순서 35 3.5 계 측 40 제 4 장 결과 및 분석 4.1 무보강시험 결과 43 4.2 록볼트 보강시험 결과 44 제 5 장 결론 57 참고문헌 58 Abstract 59 List of figures 그림 2.1 지보재에 작용하는 응력과 굴착면의 변위관계 (Deere et al., 1969) 4 그림 2.2 터널의 하중경계 6 그림 2.3 원지반 지지링의 길이 7 그림 2.4 록복트의 보강효과(Hoek, 2007) 10 그림 2.5 선단정착형 록볼트의 거동 11 그림 2.6 앵커볼트에 대한 인장시험 결과 (Franklin & Woodfield, 1971) 13 그림 2.7 록볼트의 작용 메카니즘(Freeman, 1978) 14 그림 2.8 전면접착식 록볼트로 보강된지반 15 그림 2.9 전면접착형 록볼트 설치로 인한 강도 증진 효과 15 그림 2.10 록복트의 내압 16 그림 2.11 지반응답곡선과 록볼트의 긴장력 효과(Lim, 1993) 18 그림 2.12 록볼트의 매달림(Sinha, 1989) 20 그림 3.1 모형실험 장치 25 그림 3.2 모형실험 구성도 26 그림 3.3 모형지반 모식도 26 그림 3.4 콘크리트 블록으로 조성된 모형지반 27 그림 3.5 모형지반의 경계조건 및 지보 시스템 28 그림 3.6 대형모형실험기 하부구조 29 그림 3.7 록볼트의 긴장력 재하 시스템 29 그림 3.8 집중하중 재하장치 30 그림 3.9 블록의 일축압축시험 결과 31 그림 3.10 블록전단면의 전단시험 32 그림 3.11 록볼트, 숏크리트 모식도 34 그림 3.12 하부모래지반 조성 35 그림 3.13 숏크리트 및 록볼트 거치 36 그림 3.14 모형지반 조성 36 그림 3.15 모형지반 조성 37 그림 3.16 모형지반 완성 37 그림 3.17 측정 장비 38 그림 3.18 하부지반 제거 과정 39 그림 3.19 계측기 초기화 39 그림 3.20 집중하중 재하장치 40 그림 3.21 계측장비 41 그림 3.22 계측 위치 42 그림 4.1 무보강 실험 전 43 그림 4.2 무보강 실험 후 44 그림 4.3 하부 모래지반 제거에 따른 처짐량 분석 45 그림 4.4 모형지반의 침하 형태 (0.5P) 45 그림 4.5 0.5P 높이별 침하량 46 그림 4.6 1.0P 높이별 침하량 46 그림 4.7 1.5P 높이별 침하량 46 그림 4.8 2.0P 높이별 침하량 47 그림 4.9 2.5P 높이별 침하량 47 그림 4.10 3.0P 높이별 침하량 47 그림 4.11 지표(1.05H)의 록볼트 긴장력별 처짐 48 그림 4.12 지중상단(0.8H)의 록볼트 긴장력별 처짐 48 그림 4.13 지중중단(0.5H)의 록볼트 긴장력별 처짐 48 그림 4.14 지중하단(0.2H)의 록볼트 긴장력별 처짐 49 그림 4.15 긴장력 크기별 최대 처짐 49 그림 4.16 긴장력 크기별 지반의 탄성계수 51 그림 4.17 1.0P 집중하중 재하시 침하 형태 52 그림 4.18 1.5P 집중하중 재하시 침하 형태 52 그림 4.19 2.0P 집중하중 재하시 침하 형태 52 그림 4.20 2.5P 집중하중 재하시 침하 형태 52 그림 4.21 3.0P 집중하중 재하시 침하 형태 53 그림 4.22 1.0P 집중하중 재하시 최대 처짐량 53 그림 4.23 1.5P 집중하중 재하시 최대 처짐량 53 그림 4.24 2.0P 집중하중 재하시 최대 처짐량 54 그림 4.25 2.5P 집중하중 재하시 최대 처짐량 54 그림 4.26 3.0P 집중하중 재하시 최대 처짐량 54 그림 4.27 하중재하 시 탄성계수 55 그림 4.28 하중재하 시 탄성계수의 비교 56 List of Tables 표 2.1 일본 비도건설의 관리기준 20 표 2.2 프랑스 공업성의 관리기준 21 표 3.1 모형실험 종류 24 표 3.2 콘크리트 블록 물성치 31 표 3.3 RMR 분류의 적용 33 표 3.4 RMR 분류기분표(Bieniawski, 1976) 33 표 3.5 록볼트 물성 34 표 3.6 숏크리트 물성 34 표 3.7 계측장비의 용량 41 표 4.1 숏크리트 물성 51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절리암반에서 선단정착형 록볼트의 긴장력에 따른 보강효과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 - |
dc.date.awarded | 2011.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9017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23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