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포렌식 관점의 디지털 증거능력 수준 평가방법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손태식, 김완주 | - |
dc.contributor.author | 김영준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3:01:34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3:01:34Z | - |
dc.date.issued | 2022-08 | - |
dc.identifier.other | 32107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1332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방디지털융합학과,2022. 8 | - |
dc.description.abstract |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최근 다양한 정보기기들의 대중화로 기존의 물리적 형태의 자료 생성에서 디지털 형태의 자료 생성으로 변화하면서 모바일 기기는 우리 생활에서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다. 모바일 기기는 대부분의 시간을 사용자와 함께하면서 개인 정보관리(PIM) 기능과 함께 다량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어 범죄 증명에서 중요한 증거 자료로 활용된다. 모바일 디지털 증거는 일반 증거(혈흔, 족적 등)와 같이 적법절차에 따라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모바일 디지털 증거는 비가시성과 비가독성, 변조, 삭제 등이 용이한 전자적 특성이 있어 증거의 무결성과 동일성 입증이 필요하다. 하지만 법정에서 디지털 증거가 채택되어 활용된 지 얼마 되지 않아 법관의 학문적 수준의 성숙도를 갖추었다고 보기 어렵고 오판을 배제할 수 없는 한계에 직면하였다. 또한 각 기관에서 활용 중인 디지털 증거 수집 관련 규정과 표준 모바일 포렌식 절차 간 연관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충분한 논의를 거쳐 체계적인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모바일 포렌식 관련 주요쟁점을 도출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군 · 경찰 · 법원에서 디지털 증거를 다루는 실무자와 관련 분야 민간 경험을 보유한 인원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질적 인터뷰 방식을 적용하여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증거 취급에 관한 문제점과 법관의 자유심증주의에 의한 증거능력 판단에서 벗어난 개선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전문가 요구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포렌식 관점의 디지털 증거능력 수준 평가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은 우선 기존 모델과 차별화한 단계 구성을 도모하여 궁극적으로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후, 새로운 모바일 포렌식 모델을 기반으로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수준 평가방법을 제안하여 모바일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의 객관성을 보장한다. 새로 제시하는 모바일 포렌식 모델은 모바일 포렌식 절차를 수행할 때 증거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절차로 구성했다. 각 기관에서 활용 중인 규정을 바탕으로 공통 요소를 도출하고 NIST, TTA의 모바일 포렌식 표준 절차와 ISO/IEC 디지털 증거 프로세스와의 매핑 과정을 거쳐 절차를 정제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관찰한 요구도를 절차에 반영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증거의 무결성과 동일성 확보를 통한 법정에서의 법관 심증 형성 및 증거효력 입증을 가져다줄 것이다. 다만,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법관에 의한 증거능력 판단으로 객관적 요소보다는 주관적 요소가 포함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이는 법관이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허용범위를 어느 기준으로 인정하는지에 따라 다른 판결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을 인정하는 부분에서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할 수 있으며 판결 자체에 논란을 불러올 수 있다. 앞서 제시한 모델의 디지털 증거의 판단기준을 정립하기 위해 증거능력 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수치화 연구로 다중 의사결정 기법인 AHP 기법을 채택하였고 대상을 선정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평가영역별 가중치 산정한다. 객관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증거 기준 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법률에 기반한 공인인증 체계인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ISMS-P) 방법의 요소를 활용하여 평가방법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향후 수사 실무와 재판절차에서 모바일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과 증명력을 보장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현장에 적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타당성 논의를 통해 전문가의 요구도를 모델과 평가방법에 적절히 반영하였는지를 검증하고 이후 사례 적용을 통해 모델과 평가방법의 효과를 분석한다. 사례화는 대법원 판례를 근간으로 하되 디지털 증거에 관한 논란이 있는 하급심의 판례를 포함하고자 하였다. 선정한 사례는 모델과 평가방법에 각각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한다. 향후, 제안한 방법을 통해 법관에게 모바일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판단 기준을 마련하여 실무에 도움을 주어 재판 결과의 신뢰도 및 객관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4 제2장 관련 연구 8 제1절 디지털 증거의 법률적 견해 8 제2절 모바일 포렌식 현황 16 제3절 수준 평가방법 36 제4절 소결론 48 제3장 요구도를 반영한 모바일 포렌식 모델 구성 50 제1절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요구도 조사 50 제2절 모바일 포렌식 모델 구성 69 제4장 모바일 포렌식 관점의 디지털 증거능력 수준 평가방법 제안 96 제1절 평가측정을 위한 평가방법 선정 97 제2절 평가항목 101 제3절 AHP 기법을 적용한 평가영역별 가중치 산정 105 제4절 제안한 모델을 기반으로 한 수준 평가방법 120 제5절 이전 수준 평가방법과의 비교 122 제5장 적용 및 효과 분석 125 제1절 절차와 평가방법의 타당성 논의 125 제2절 사례 적용을 통한 검증 128 제6장 결론 및 향후연구 150 참고문헌 154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모바일 포렌식 관점의 디지털 증거능력 수준 평가방법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Digital Evidence Capability Level from a Mobile Forensics Perspective : Focusing on expert interviews and AHP techniques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국방디지털융합학과 | - |
dc.date.awarded | 2022. 8 | - |
dc.description.degree | Doctoral | - |
dc.identifier.localId | 1254178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2107 | - |
dc.identifier.url | 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2107 | - |
dc.subject.keyword | 디지털증거 | - |
dc.subject.keyword | 모바일포렌식 | - |
dc.subject.keyword | 증거능력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devices have become an essential tool in our lives as the popularization of various information devices has changed from the existing physical form of data to digital form. Mobile devices accumulate a large amount of data along with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PIM) functions while spending most of their time with users, so they are used as important evidence in criminal proof. Mobile digital evidence should be collect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due process, such as general evidence (blood traces, footprints, etc. In particular, mobile digital evidence has electronic characteristics that facilitate non-visibility, non-reading, modulation, and deletion, so it is necessary to prove the integrity and identity of the evidence. However, not long after digital evidence was adopted and used in court,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it had the academic level of maturity of judges and faced limitations that could not exclude misjudgment.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association between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used by each institution and the standard mobile forensic procedure. Therefore, a systematic procedure should be prepared after sufficient discussion.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deriving major issues related to mobile forensics through related research and case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selected by the military, police, and courts for practitioners dealing with digital evidence and those with civilian experience in related fields, and the demand was analyzed by applying a qualitative interview metho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need for improvement measures that deviated from the problem of handling digital evidence and the judgment of evidence capacity by judges' liberalism.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t demand analysis, a method for evaluating the level of digital evidence ability from a mobile forensic perspective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was first studied to improve the evidence capability of digital evidence by promoting the composition of stage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model. Thereafter, based on the new mobile forensics model, a method for evaluating the level of evidence ability of digital evidence is proposed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the evidence ability of mobile digital evidence. The newly presented mobile forensics model consists of procedures to improve evidence capability when performing mobile forensics procedures. Common elements are derived based on the regulations being used by each institution, and the procedures are refined through the mapping process between the mobile forensic standard procedures of NIST and TTA and the ISO/IEC digital evidence process, and the requirements observed through expert interviews are reflected in the procedures. Through this, it will bring about the formation of judges' testimony in court and proof of evidence effectiveness through securing the integrity and identity of digital evidence. However, even though a new model is presen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bjective elements are included rather than objective factors due to the judge's judgment of evidence ability, which can lead to different judgments depending on which standard the judge recognizes the scope of evidence ability. Therefore, subjective judgment may intervene in recognizing the evidence ability of digital evidence, and controversy may arise in the judgment itself. In order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digital evidence of the previously presented model, the AHP technique, which is a multi-decision technique, is adopted as an objective digitization study on the level of evidence ability, and a target selection survey is conducted and weights are calculated for each evaluation area. In order to ensure objectivity, rational evidence standards must be established first. To this end, the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method was enhanced by utilizing the elements of the information protec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anagement system authentication (ISMS-P) method, which is a public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law.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mobile digital evidence to the field more efficiently by guaranteeing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and proof in future investigation practices and trial procedures. Through feasibility discussions, it is verified whether the needs of experts are appropriately reflected in the model and evaluation method, and the effects of the model and evaluation method are analyz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case later. The case study was based on the Supreme Court precedent, but it was intended to include controversial lower court precedents on digital evidence. The selected case is applied to the model and evaluation method, respectively, and its effect is analyz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will help judges determine the evidence ability of mobile digital evidence to help them in practice,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objectivity of the trial results. | - |
dc.title.subtitle | 전문가 인터뷰와 AHP기법을 중심으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