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요양수급자 가족부양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요인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부선주 | - |
dc.contributor.author | 문정의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3:01:34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3:01:34Z | - |
dc.date.issued | 2022-08 | - |
dc.identifier.other | 32082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1316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2022. 8 | - |
dc.description.abstract | 장기요양수급자 가족부양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요인 아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문 정 의 (지도교수 : 부 선 주) 본 연구는 장기요양수급자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는 경기도 소재 주간보호센터 10곳을 이용하는 장기요양수급자 가족부양자 1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1년 12월 1일부터 2022년 2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작성의도는 이미희(2012)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홍선우와 김신미(2013)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Nolan과 Bruder(1997)가 개발하고 동일 저자가 2003년 개정한 것을 이혜림(2012)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효능감은 이미희(2012)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125명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자’가 76명(60.8%)으로 평균 나이는 58.02세이었고, 만성질환이 있는 대상자는 42명(33.6%)이었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95명(76.0%)이었다. 2.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는 평균 11.06±3.46점이었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평균 7.10±1.83점이었다.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평균 45.69±6.16점이었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효능감은 평균 33.60±6.24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를 분석한 결과, 만성질환이 있는 대상자가 만성질환이 없는 대상자보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t=4.54, p=.035),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4.50, p<.001). 4.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r=.36, p<.001), 태도(r=.47, p<.001), 효능감(r=.63,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효능감(β=.46,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β=.22, p=.002),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β=.17, p=.027)이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8%(수정설명력 46%)로 나타났다(F=22.13,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기요양수급자 가족부양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봤을 때,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효능감, 태도. 들어본 경험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효능감과 태도를 높이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경험할 수 있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핵심어: 가족부양자,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지식, 태도, 효능감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고찰 9 A.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9 B.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요인 12 Ⅲ. 연구방법 16 A. 연구설계 16 B. 연구대상 16 C. 연구도구 17 D. 자료수집 방법 18 E. 자료분석 방법 19 F. 윤리적 고려 20 Ⅳ. 연구결과 2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B.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태도, 효능감, 작성의도 24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24 D.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태도, 효능감, 작성의도의 상관관계 27 E.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8 Ⅴ. 논의 30 Ⅵ. 결론 및 제언 36 참고문헌 38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장기요양수급자 가족부양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요인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 |
dc.date.awarded | 2022.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1254344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2082 | - |
dc.identifier.url | 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2082 | - |
dc.subject.keyword | 가족부양자 | - |
dc.subject.keyword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 - |
dc.subject.keyword | 작성의도 | - |
dc.subject.keyword | 지식 | - |
dc.subject.keyword | 태도 | - |
dc.subject.keyword | 효능감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ABSTRACT-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among Family Caregivers of Long-Term Care Beneficiary Jeong Eui Moon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unjoo Boo, RN., Ph.D.) The purpose of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to evaluate to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among family caregivers of Long-Term Care beneficiary.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ed survey on a total of 125 family caregivers of Long-Term Care beneficiary belonging to 10 day-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from December 1, 2021 to February 18, 2022. The level of intention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was measured with an advance directives intention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Lee Mi-hee (2012),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advance directives was measured using the tool developed by Soon-woo Hong and Shin-mi Kim (2013), the level of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Nolan and Bruder (1997)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Lee Hae-rim (2012). The level of efficacy to advance directives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Lee Mi-hee(2016).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methods such as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76(60.8%) were female, and the average age was 58.02, 42(33.6%) had chronic diseases, and 95(76.0%) had experience hearing about advance directives. Second. The average score of the intention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11.06±3.46, the average score of the knowledge toward advance directives was 7.10±1.83. The average score of th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was 45.69±6.16, the average score of the efficacy of advance directives was 33.60±6.24. Thir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that those with chronic diseases had statistically lower intention to prepare the intention of advance directives than those without chronic diseases(t=4.54, p=.035), those who had heard of advance directives had statistically higher intention to prepare the intention of advance directives than those who had no experience(t=4.50, p=<.001). Four. The intention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was related to knowledge(r=.36, p<.001), attitude(r=.47, p<.001) and efficacy(r=.36, p<.001). Five. The factors that had an impact on the intention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were the efficacy(β=.46, p<.001), the experience about advance directives(β=.22, p=.002), and the attitude(β=.17, p=.027).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48% (adjusted power 46%) (F=22.13, p<.001). Based o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among family caregivers of Long-Term Care beneficiary was the efficacy toward advance directives, experience hearing about advance directives, th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In order to enhance intention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of family caregivers of Long-Term Care beneficiary,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the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the efficacy an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and can experience about advance directives. Key words : family caregiver, advance directives, intention, knowledge, attitude, efficacy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