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노조시대의 부당노동행위제도 개선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길-
dc.contributor.author임동환-
dc.date.accessioned2022-11-29T03:01:33Z-
dc.date.available2022-11-29T03:01:33Z-
dc.date.issued2022-08-
dc.identifier.other32285-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1309-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2022. 8-
dc.description.abstract복수노조는 2007년 3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조법’이라 한다)이 제정될 때 사업 또는 사업장 단위에서 조직대상을 같이 하는 새로운 노조의 설립을 인정함으로써 제도화되었다. 복수노조 제도의 시행은 근로자에게 단결선택의 자유를 보장하고 노조의 자유설립주의 이념을 구현하며, 노사자치주의를 보장한다는 관점에서 헌법과 노조법의 정신에 부합된다는 취지를 바탕으로 하였다. 복수노조의 도입으로 인해 다른 노조에 자유롭게 가입하거나, 새롭게 노조를 신설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위의 법 제정 취지에 맞게 단결선택의 자유가 실질적으로 보장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복수노조 사업장에서 노조는 조직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노조 간에 상호 경쟁 관계를 형성하거나, 상대적으로 약한 노조를 상대로 노동3권을 침해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복수노조 시대라는 시대적 상황하에 부당노동행위의 주체로서 사용자만 해당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그 간 부당노동행위제도에 대한 연구도 계속 있어왔고, 2011년 7월을 기점으로 복수노조가 전면 허용된 후에도 상당한 연구가 축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부당노동행위 주체로서 노조가 해당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 비전형적 근로계약의 다양화에 착안하여 노동법이 아직 반영되지 못하는 현실을 고려한 사용자 개념의 확대에 관한 연구, 노조법상의 부당노동행위 중 지배·개입에 관련한 연구, 집단적 노사관계를 규율하는 형벌 등에 대한 연구,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 운영에 관련한 연구 및 부당노동행위제도의 행정적 구제제도 등에 대한 연구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복수노조 도입 후 부당노동행위제도와 관련한 단편적인 주제 또는 문제된 부분의 일부분에 대한 연구들이다. 복수노조 도입 이후 노사관계 환경이 변화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전반적인 분석 및 개선안을 내놓는 연구는 부족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복수노조가 도입된 지 10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부당노동행위 제도에 대하여 변화된 사회 여건 및 노사관계 환경에 맞는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분석하면서 사안별로 진단하고 현실성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제안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복수노조시대의 부당노동행위제도 개선방안 연구”를 주제로 현행법상 부당노동행위의 의의, 현황, 개념, 목적,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동안의 연혁을 통해 부당노동행위 제도의 제·개정사를 살펴보는 한편 외국의 입법예와 비교하는 등으로 사안별로 쟁점을 도출하여 검토하였다. 특히 (ⅰ) 부당노동행위 주체와 관련되어 노조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지 여부 및 원·하청 관계에서 원청이 단체교섭 거부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에 관한 내용, (ⅱ) 부당노동행위 형사처벌에 관한 내용, (ⅲ) 복수노조로 인해 교섭창구단일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개별교섭 및 이후 공정대표의무위반과 부당노동행위와의 관계, (ⅳ) 부당노동행위 실효성 확보를 위한 노동위원회 구제제도(구제명령 및 이행확보를 위한 방안)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외국의 입법례로는 ILO(국제노동기구)와 부당노동행위제도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과 일본은 물론 유럽(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의 관련 내용과 사례를 바탕으로 복수노조하의 부당노동행위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노조에 의한 다른 노조의 지배·개입 및 단결권 침해 사례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원·하청 관계에서 원청의 단체교섭 수행 의무는 현행 노조법 체계상 제한적 해석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부당노동행위의 형사처벌은 범죄의 사전예방 효과를 위한 목적이지만, 그 입증책임 등 범죄구성요건상 오히려 부당노동행위로 처벌 사례가 적어서 구제의 어려움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복수노조 상황에서 개별교섭 및 공정대표의무 위반과 부당노동행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여러 문제점들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실질적인 구제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동위원회 구제명령의 한계와 이행을 담보할 제도적인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복수노조 시대의 부당노동행위제도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노조도 부당노동행위의 주체에 해당할 수 있음이 확인된 바, 입법적 개선을 통해 노조의 부당노동행위 주체성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주체성 확대는 지배개입과 별개로 단체교섭의 경우 근로계약관계를 전제한 점에서 보다 신중하게 제한적으로 해석하고 입법적 개선 시 적용범위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부당노동행위 형사처벌과 관련해,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원상회복주의와 처벌주의의 특징을 비교한 뒤 ‘병용주의’에 대한 원상회복 주의가 적절한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구제척인 개선방안은 처벌조항 자체를 삭제하는 것이다. 셋째, 복수노조는 교섭창구단일화 절차의 진행 중 개별 교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립의무’와 부당노동행위와의 ‘관계’ 및 ‘공정대표의무’를 위반한 사항에 대해 부당노동행위 적용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개별 교섭과 관련해 개별교섭을 진행하는 절차적 요건 중 전체 노조의 동의를 필요로 하는 등의 입법 개선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공정대표의무제’와 관련해 소수노조의 참여를 강화하기 위하여 교섭과정에서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노조의 요구사항을 청취한 뒤 교섭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 규정을 신설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노동위원회 구제명령 실효성 확보’와 관련해, 우선적으로 노동위원회 구제명령의 다양화 및 구체적 적용을 제안하면서 부당노동행위의 중지 및 금지등의 부작위명령과 공고문의 게시를 의무화 하는 방안 및 교육명령을 발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후 구제명령의 이행을 담보하는 과정을 통한 실효성 확보 방안으로는 이행강제금 제도를 적용하는 방안, 과태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I. 연구의 필요성 1 II. 선행 연구의 분석 6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내용 17 I. 연구의 방법 17 II. 연구의 내용 18 제2장 복수노조시대의 부당노동행위제도 기초이론 21 제1절 문제의 소재 21 제2절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의의 및 현황, 연혁 23 I.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의의 및 현황 23 1.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의의 23 가. 부당노동행위제도의 개념 23 나. 부당노동행위제도의 목적 24 2. 부당노동행위제도의 현황 27 가. 노조의 조직현황 27 나. 부당노동행위 신고사건의 현황 30 II.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연혁 33 1. 복수노조 도입 이전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연혁 33 가. 1945년 미군정시대의 노동법안 33 나. 1953년 제정 노동조합법과 노동쟁의조정법 36 다. 1963년 개정 노동조합법 39 라. 1974년 대통령 긴급조치 43 마. 1986년 개정 노동조합법 45 2. 복수노조 도입 이후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연혁 47 가. 1997년 제정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47 나. 2006년 개정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49 다. 2010년 개정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51 라. 2020년 개정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52 III. 차이점 및 시사점 54 1. 시기별 제·개정 사항 차이점 54 2. 시기별 제·개정 사항 시사점 58 제3절 복수노조시대의 부당노동행위제도 내용과 문제점 59 I. 부당노동행위의 주체 60 1. 부당노동행위의 주체 관련 내용 60 가. 부당노동행위 주체로서 사용자와 노조 60 (1) 부당노동행위의 주체로서 사용자 61 (2) 부당노동행위의 주체로서 노조 62 나. 단체교섭 거부의 부당노동행위 주체로서 원청 66 (1) 대법원 판례 및 재결례 69 (2) 인정하는 견해 및 부정하는 견해 76 (3) 소결 80 2. 부당노동행위의 주체 관련 문제점 80 가. 노조의 부당노동행위 불인정 80 (1) 노동3권 침해 82 (2) 사용자에 대한 부당노동행위 84 나. 단체교섭 거부의 부당노동행위 주체로서 원청 인정 86 (1) 교섭창구단일화제도 위반 88 (2) 단체교섭 대상 90 (3) 조정절차 당사자적격 92 (4) 쟁의행위 대체근로 제한 93 II. 부당노동행위의 유형별 성립요건 95 1. 부당노동행위의 유형별 성립요건 관련 내용 96 가. 단체교섭 거부·해태와 개별교섭 98 나. 지배·개입과 공정대표의무 99 2. 부당노동행위의 유형별 성립요건 관련 문제점 103 가. 개별교섭 시 사용자의 일방적 진행과 부당노동행위의 발생 103 (1) 노사관계 갈등 105 (2) 단체교섭 거부·해태 내지 지배·개입 106 나. 공정대표의무 위반에 따른 부당노동행위의 발생 107 (1) 노노 갈등 109 (2) 불이익취급 및 지배·개입 111 III.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제도 112 1.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제도 관련 내용 112 가. 부당노동행위의 형사처벌 113 나. 노동위원회 구제명령 115 다. 노동위원회 구제명령의 이행 118 2.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제도 관련 문제점 118 가. 부당노동행위의 형사처벌 규정 118 (1) 헌법 위배 121 (2) 실질적인 형사처벌의 실효성 미비 123 나. 노동위원회 구제명령 기준 입법 불비 115 (1) 구제명령의 획일성 126 (2) 구제명령의 실효성 미미 128 다. 노동위원회 구제명령 이행 강제성 부족 129 (1) 노사분쟁 장기화 129 (2) 부당노동행위의 예방효과 미미 130 제4절 소결 131 제3장 외국의 부당노동행위제도 135 제1절 개관 135 제2절 ILO(국제노동기구) 137 I. 부당노동행위의 주체 140 II. 부당노동행위의 유형별 성립요건 143 III.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제도 145 제3절 미국 147 I. 부당노동행위의 주체 149 1.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 149 2. 노조의 부당노동행위 152 II. 부당노동행위의 유형별 성립요건 153 1.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의 유형별 성립요건 153 2. 노조의 부당노동행위의 유형별 성립요건 156 3. 공정대표의무 관련 159 III.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제도 162 1. 원상회복주의에 의한 형사처벌 배제 162 2. 구제명령 및 이행 163 제4절 일본 166 I. 부당노동행위의 주체 167 II. 부당노동행위의 유형별 성립요건 169 1. 불이익취급 170 2. 비열계약 171 3. 단체교섭의 거부·해태 171 4. 지배·개입 173 III.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제도 174 1. 원상회복주의에 의한 형사처벌 배제 174 2. 구제명령 및 이행 176 제5절 유럽(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 178 I. 부당노동행위의 주체 181 II. 부당노동행위의 유형별 성립요건 182 III.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제도 188 제6절 차이점 및 시사점 190 I. 국가별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차이점 190 II. 국가별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시사점 196 제4장 복수노조시대의 부당노동행위제도 개선방안 199 제1절 기본방향 199 제2절 부당노동행위의 주체 관련 개선방안 201 I. 부당노동행위 주체로서 노조 인정 201 II. 단체교섭 거부의 부당노동행위 주체로서 원청 불인정 205 제3절 부당노동행위의 유형별 성립요건 관련 개선방안 209 I. 개별교섭 시 전체 노조 동의절차 이행 규정 신설 209 II. 공정대표의무 분쟁 방지를 위한 소수노조 참여 규정 신설 212 제4절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제도 관련 개선방안 215 I. 부당노동행위의 형사처벌 폐지 215 II. 노동위원회 구제명령의 다양화 218 III. 노동위원회 구제명령의 이행 강제성 강화 222 제5장 결 론 227 참고문헌 / 235 부 록 신‧구조문 대비표(총괄) / 254-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복수노조시대의 부당노동행위제도 개선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Unfair Labor Practice System in the Era of Multiple Labor Unions-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22. 8-
dc.description.degreeDoctoral-
dc.identifier.localId1254180-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32285-
dc.identifier.url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2285-
dc.subject.keyword공정대표의무-
dc.subject.keyword구제명령-
dc.subject.keyword노동위원회-
dc.subject.keyword노동조합-
dc.subject.keyword단체교섭-
dc.subject.keyword복수노조-
dc.subject.keyword부당노동행위-
dc.subject.keyword부당노동행위 형사처벌-
dc.subject.keyword사용자-
dc.subject.keyword원·하청-
dc.subject.keyword지배·개입-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Plural unions were institutionalized in March 2007 when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hereinafter “Union Act”) was enacted and recognized the establishment of a new union targeted at the same organization at the business or workplace level. The implementation of the plural union system was based on the intention to accord with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and the Union Act from the standpoint of guaranteeing the freedom to choose unity, realizing the idea of free establishment of unions, and ensuring labor-management autonomy. Because the adoption of plural unions made it possible to freely join other unions or establish new unions, the freedom to choose unity has practically been guarante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mentioned above. However, in workplaces with plural unions, their unions form competitive relations to expand their own organizational power or infringe on the three basic labor rights against relatively weaker unions. In view of this, a question may be raised as to whether it is appropriate that only employers constitute the main agent of unfair labor practices in the era of plural unions. To date,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unfair labor practices system and considerable research has been accumulated even after plural unions were fully permitted as of July 2011. For example, there have been studies on whether unions could be a main agent of unfair labor practices, an expansion of the concept of employers to take into account the reality that does not reflect labor laws by considering today’s diversification of untypical labor contracts, control and intervention during unfair labor practices under the Union Act, punishment that regulates collec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operations of the bargaining channel unification system, and administrative relief systems on the unfair labor practices system. However, these studies only focus on fragmentary topics or part of problematic areas related to the unfair labor practices system after the introduction of plural unions.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the overall analysis of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unfair labor practices system in a manner that reflects changed conditions of the era in which labor-management relations have been altered since the adoption of plural unions.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analyzing the unfair labor practices system with a new perspective suited to changed social conditions and labor-management relations at a time when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doption of plural unions, and of analyzing the unfair labor practices system for each issue, thereby deriving and proposing realistic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this study identified the significance, current status, concept, purpose, and problems of unfair labor practices under the current law based on the topic of “A Study on Ways to Improve the Unfair Labor Practices System in the Era of Plural Unions.” The study also derived and reviewed controversial points for each issue by revisiting the history of establishment and amendment of the unfair labor practices system to date and comparing this system with the cases of overseas legislation. In particular, the following issues were intensively reviewed: (i) whether unions can be targeted as a main agent of unfair labor practices, and whether contractors can become a main agent that rejects collective bargaining in the contractor-subcontractor relationship, (ii) criminal punishment for unfair labor practices, (iii) individual bargaining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unifying bargaining channels due to plural unions and the subsequent relationship between the violation of the duty of fair representation and unfair labor practices, and (iv) the labor committee’s relief system aimed at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unfair labor practices (measures to secure and execute relief orders). As the cases of overseas legislatio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elevant contents and cases of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and Europe (UK, Germany, France, Italy) as well as the US and Japan that have systems against unfair labor practices to find comparative implications about the unfair labor practices system under plural un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presence of cases showing a union’s control over and intervention in another union as well as its infringement on the counterpart’s right to organize, and also suggested that in the contractor-subcontractor relationship, the contractor’s duty to perform collective bargaining requires a limited interpretation in the current framework of the Union Act. In addition, although the purpose of criminal punishment for unfair labor practices is to prevent crimes in advance, the study’s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rather a limited number of cases in which penalties were imposed for unfair labor practices due to the requirements for constituting a crime, including the burden of proof, which subsequently caused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relief schemes. In addition, several problems were identified from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each of duties of individual bargaining and fair representation and unfair labor practices in the context of plural unions. Finally, the study confirmed the need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guarantee the limits and execution of the labor committee’s relief order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a practical relief system. Based on these problems, the ‘measures to improve the unfair labor practices system in the era of plural union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s it has been confirmed that unions can also constitute a main agent of unfair labor practices,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e subjecthood of unions in unfair labor practices through legislative improvement.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llective bargaining apart from control and intervention, the expansion of employers’ subjecthood should be more carefully and restrictively interpreted given that collective bargaining is based on the labor contract-based relationship, and the scope of expansion should be clearly defined in times of legislative improvement. In other words, the legal status of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under the Union Act should be examined. Second, in relation to criminal punishment for unfair labor practices,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restorationism and punishmentism in the unfair labor practices system, and then examine whether restorationism for ‘combinationism’ is appropriate. A specific measure for improvement is to delete the penalty provision itself. Third, plural unions should review whether the concept of unfair labor practices can apply to matters that violate the 'duty of neutrality', 'relationships' with unfair labor practices, and 'duty of fair representation' that may occur in individual bargaining during the process of unifying bargaining channels. As a result, regarding individual bargaining, legislative improvements such as requiring the entire union’s consent should be made among the procedural requirements for individual bargaining. In addition, with an aim to strengthen the participation of minority unions in relation to the ‘mandatory fair representation system’, it is needed to introduce legal provisions on making efforts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during the bargaining process, listen to the union’s demands, and then reflect them in the bargaining. Fourth, in relation to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labor committee’s relief orders’, it is first necessary to provide measures that propose the diversification and concrete application of the labor committee’s relief orders, make it mandatory to issue orders correcting omissions such as the suspension and prevention of unfair labor practices and post relevant notices, and to issue educational orders. This should be followed by measures for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se relief orders through the process of ensuring their implementation, including measures for applying the enforcement fine system and imposing fines. Keywords: plural unions, unfair labor practices, contract/subcontract, collective bargaining, control/intervention, employers, individual bargaining, duty of fair representation, criminal punishment for unfair labor practices, trade unions, labor committee, relief orders.-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Law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