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미래 심상이 걱정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정-
dc.contributor.author전민규-
dc.date.accessioned2022-11-29T03:01:21Z-
dc.date.available2022-11-29T03:01:21Z-
dc.date.issued2022-08-
dc.identifier.other32261-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1053-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2022. 8-
dc.description.abstract범불안장애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미래 심상의 주제와 부정적 미래 심상의 역할이 무엇인지는 아직 충분히 조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높은 걱정 수준을 지닌 성인들의 부정적 미래 심상 경험 및 주제를 조사하고, 부정적 미래 심상이 걱정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 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펜실베니아 걱정 증상 질문지를 통하여 선별된 높은 걱정 집단과 낮은 걱정 집단의 참가자 각 48명을 대상으로 부정적 미래 심상 경험에 대해 질문하였다. 이후 참가자들의 응답을 미래 심상의 주제, 미래 심상 경험의 형태(심상, 걱정, 정서), 미래 심상 사건의 수에 따라 평정하였다. Fisher의 정확 검증 결과, 미래 심상의 주제, 미래 심상 경험의 형태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고, 두 집단 모두 “실패”와 관련된 미래 심상 경험을 가장 많이 보고하였다. 미래 심상 사건의 수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했고, 높은 걱정 집단은 낮은 걱정 집단에 비해 더 많은 부정적 미래 사건에 대한 심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부정적 미래 심상이 걱정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 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317명을 대상으로 부정적 미래 심상, 경험 회피, 걱정 증상에 대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전체 표본 및 여성 표본에서는 부정적 미래 심상이 걱정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 회피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미했으나, 남성 표본에서는 경험 회피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5 1. 범불안장애와 걱정 5 2. 부정적 미래 심상 7 3. 경험 회피 9 4. 부정적 미래 심상과 경험 회피 11 III. 연구 목적 및 가설 13 1. 연구 목적 13 2. 연구 가설 14 IV. 연구1 방법 15 1. 연구 대상 및 절차 15 2. 측정 도구 15 3. 자료 분석 16 V. 연구1 결과 19 1.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주요 변인 집단 간 차이 검증 19 2. 부정적 미래 심상의 주제 20 1) 부정적 미래 심상의 주제 및 집단별 예시 20 2) 부정적 미래 심상의 주제별 빈도 및 집단 간 차이 23 3. 부정적 미래 심상 경험의 형태 24 4. 부정적 미래 심상 사건의 수 26 VI. 연구2 방법 28 1. 연구 대상 및 절차 28 2. 측정 도구 28 3. 자료 분석 30 VII. 연구2 결과 31 1.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주요 변인 집단 간 차이 검증 31 2. 주요 변인 상관관계 32 3. 매개효과 검증 33 VIII. 논의 38 참고 문헌 45 부록 51 ABSTRACT 6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부정적 미래 심상이 걱정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Negative Prospective Imagery on Worry :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MinGyu Jeon-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22.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1254298-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32261-
dc.identifier.url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2261-
dc.subject.keyword걱정-
dc.subject.keyword경험 회피-
dc.subject.keyword범불안장애-
dc.subject.keyword부정적 미래 심상-
dc.subject.keyword심상 주제-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e theme of negative prospective imagery and its role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GAD) have not yet been fully investigated. The goal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negative prospective imagery experiences and themes of those with high levels of worr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rospective imagery and worry symptoms. In Study 1, a total of 96 adults were recruited with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to form high(n = 48) and low(n = 48) worry groups. These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ir negative prospective imagery experience. Their responses were rated according to the theme of prospective imagery, the form of prospective imagery experience(imagery, worry, emotion), and the number of prospective imagery events. As a result of Fisher’s exact tes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eme of prospective imagery and the form of prospective imagery experience. Both groups mostly reported prospective imagery experiences related to "failure".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prospective imagery events,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high worry group experienced a larger number of negative prospective imagery events than the low worry group. In Study 2,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was investig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rospective imagery and worry symptoms. A total of 317 adults completed measures of negative prospective imagery, experiential avoidance, and worry symptoms.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rospective imagery and worry symptoms in the entire sample and the female sample, but not in the male sampl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dc.title.subtitle경험 회피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