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생식술을 받는 여성의 불확실성과 배우자 지지가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송주은 | - |
dc.contributor.author | 이혜신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3:01:18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3:01:18Z | - |
dc.date.issued | 2020-02 | - |
dc.identifier.other | 29814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990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2020. 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보조생식술을 받는 여성의 불확실성과 배우자 지지가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보조생식술을 받는 난임 여성의 불확실성과 배우자 지지가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9년 7월 1일부터 2019년 8월 30일까지 서울 소재 일개 난임 전문병원 외래에서 보조생식술을 받는 난임 여성 172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자료수집 하였다. 연구도구로 불확실성은 김미옥과 김 수(2010)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배우자 지지는 박민경(2007)이 난임 여성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난임 관련 삶의 질의 측정도구는 유럽생식배아협회(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 Embryology)와 미국생식의학회(American Society of Reproductive Medicine)에 의해 개발된 난임 관련 삶의 질 도구(FertiQol International)의 한국어판으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version 25.0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불확실성 평균은 28.35점(1-50점)이었으며, 배우자 지지 평 86.67점(1-115점)이었으며, 난임 관련 삶의 질 평균은 57.98점(0-100점)이었다. 2.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배우자 지지(r=-.22, p=.004)와 난임 관련 삶의 질(r=-.28,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배우자 지지는 난임 관련 삶의 질(r=.23, p<.003)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난임 관련 삶의 질 차이는 나이(t=-2.15, p=.035), 결혼기간(t=4.32, p<.001), 건강상태(t=2.28, p=.03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난임 관련 특성에서는 보조생식술 총 횟수(F=13.51, p<.001), 배란유도 방법(t=3.85, p<.001), 난임 검사비용 부담감(F=4.94, p=.008), 난임에 부담 주는 사람(F=6.42, p<.001)에 따라 난임 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모형에서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불확실성, 결혼 기간, 주관적 건강상태, 보조생식술 총횟수, 난임에 부담 주는 사람, 검사비용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가 난임 관련 삶의 질에 35.0%(p<.001)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실무현장에서 보조생식술 과정 동안 불확실성을 조기에 사정하여 효과적으로 낮춤으로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간호 중재 방법을 모색하고 개발하여 난임 치료 단계에 맞는 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결혼 기간과 보조생식술 횟수 및 주관적 건강상태 등을 고려하여 난임 환자 중심의 맞춤 간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향후,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참고하여 난임 간호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I. 서론 1 II. 문헌고찰 7 A. 난임과 보조생식술 7 B. 난임과 관련된 삶의 질 10 C. 난임 여성의 삶의 질 영향요인 13 1. 난임 여성의 불확실성과 삶의 질 13 2. 배우자 지지와 삶의 질 16 III. 연구방법 19 A. 연구설계 19 B. 연구대상 19 C. 연구도구 20 D. 자료수집방법 22 E. 윤리적 고려 22 F. 자료분석방법 23 IV. 연구결과 24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난임 관련 특성 24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4 2. 연구대상자의 난임 관련 특성 26 B. 연구대상자의 불확실성, 배우자 지지 및 난임 관련 정도 28 C. 연구대상자의 불확실성, 배우자 지지 및 난임 관련 삶의 질의 상관관계 30 D.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난임 관련 삶의 질 차이 31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난임 관련 삶의 질 차이 31 2. 연구대상자의 난임 관련 특성에 따른 난임 관련 삶의 질 차이 33 E. 연구대상자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35 V. 논의 37 VI. 결론 및 제언 47 참고문헌 48 부록 56 ABSTRACT 70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보조생식술을 받는 여성의 불확실성과 배우자 지지가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 |
dc.title.alternative | Hye Shin Lee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ye Shin Lee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 |
dc.date.awarded | 2020.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1138676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29814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9814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