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종양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자가간호역량 및 삶의 질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안정아 | - |
dc.contributor.author | 김유나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3:01:15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3:01:15Z | - |
dc.date.issued | 2022-02 | - |
dc.identifier.other | 31664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923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2022. 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 자가간호역량 변인을 중심으로 삶의 질에 대한 유의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및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서 뇌종양을 진단받은 만 19세 이상 성인 환자 2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0년 10월 27일부터 2021년 8월 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은 정영미와 박진희(2017)가 개발한 암 환자 특이형 외상 후 성장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자가간호역량은 Geden과 Taylor (1988)가 개발한 Self-as-Carer Inventory 척도를 소향숙(1992)이 번안하여 정연(1993)이 암환자를 대상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삶의 질은 일반적 암 환자의 삶의 질 도구와 뇌종양 특이적 영역 도구로써 Sprangers 등 (1993)이 개발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의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ore 30을 Yun 등 (2004)이 번안한 도구와, Osoba 등 (1996)이 개발한 Brain module 20을 신용순과 김정훈(2013)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종양 환자의 외상 후 성장은 총 92점 만점 중 50.18±20.37점, 자가간호역량은 총 198점 만점 중 133.98±34.31점, 삶의 질은 총 100점 만점 중 72.05±18.40점으로 나타났다. 2. 뇌종양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주보호자(F=4.38, p=.005), 직업유무(t=2.49, p=.013), 경제수준(F=4.76, p=.009), 복용약물 유무(t=4.32, p=.001), 생존단계(F=8.07, p=.001)에 따라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뇌종양 환자의 삶의 질은 자가간호역량(r=.2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외상 후 성장은 자가간호역량(r=.48,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뇌종양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은 주보호자(β=.25, p=.041), 자가간호역량(β=.24, p=.001), 복용약물 유무(β=-.19, p=.002), 생존단계(β=.18, p=.005), 경제수준(β=-.17, p=.027)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주보호자가 배우자인 경우, 자가간호역량 수준이 높은 경우, 복용약물이 없는 경우, 확장 및 영속적 생존단계인 경우, 경제수준이 상인 경우 대상자의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뇌종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가족이 함께 치료과정과 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자가간호역량을 증진시키며, 또한 복용 약물에 따라 맞춤 중재 전략 개발이 필요하며, 대상자의 생존단계와 경제수준에 따라 지역사회나 국가정책 등의 연계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협력적 중재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뇌종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리 5 Ⅱ. 문헌고찰 7 A. 뇌종양 환자의 삶의 질 7 B. 뇌종양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8 Ⅲ. 연구방법 12 A. 연구 설계 12 B. 연구 대상자 12 C. 연구도구 13 D. 자료수집방법 16 E. 자료분석방법 16 F. 윤리적 고려 17 Ⅳ. 연구결과 18 A. 뇌종양 환자의 일반적 특성 18 B. 뇌종양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 20 C. 뇌종양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자가간호역량, 삶의 질 정도 22 D. 뇌종양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24 E. 뇌종양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자가간호역량, 삶의 질의 관계 26 F. 뇌종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8 Ⅴ. 논의 30 Ⅵ. 결론 및 제언 36 참고문헌 38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뇌종양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자가간호역량 및 삶의 질 | - |
dc.title.alternative | Post-traumatic growth, self-care competenc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ain tumor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 |
dc.date.awarded | 2022.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1245160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1664 | - |
dc.identifier.url | 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1664 | - |
dc.subject.keyword | 뇌종양 환자 | - |
dc.subject.keyword | 삶의 질 | - |
dc.subject.keyword | 외상 후 성장 | - |
dc.subject.keyword | 자가간호역량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