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개인정보 관련 법률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춘식-
dc.contributor.author문슬아-
dc.date.accessioned2022-11-29T03:01:14Z-
dc.date.available2022-11-29T03:01:14Z-
dc.date.issued2020-02-
dc.identifier.other29695-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908-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정보보호,2020. 2-
dc.description.abstract개인의 신용정보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개인에 있어서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영역 중에서 가장 민감한 부분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신용에 관한 정보는 보다 높은 수준으로 보호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국내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국내 일반법으로는 「개인정보 보호법」이 있고, 대표적인 특별법으로 「정보통신망의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신용정보법」)등이 있다. 「정보통신망법」은 법 적용대상이 정보통신망서비스 제공자이며, 「신용정보법」은 법 적용대상이 신용정보회사, 신용정보집중기관 및 신용정보제공금융기관·이용자이다. 하지만 각 3법의 세부 규정을 찾아보면 유사하면서도 상이한 규정에 따라 동일한 개인정보를 두고 개인정보 처리 환경과 상황, 정보주체 등의 종류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 그리고 「신용정보법」 중 어떠한 법을 적용해야하는지 두고 혼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일본, EU등 해외 개인정보에 관한 해외 입법례를 통하여 국내 개인정보에 관한 법률의 미비한 사항을 알아본다. 그리고 「개인정보 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 그리고 「신용정보법」에서 다루고 있는 개인정보에 관한 규정을 비교·분석하도록 한다. EU의 입법방식과 같이 개인의 신용정보와 개인정보의 보호수준을 동일하게 규율하거나 일본의 개인정보 관련 법제를 흡수한 통합법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처럼, 국내법도 개인정보 보호에 대하여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을 「개인정보 일반법」과 같이 일원화 하여 각 분야에 특별한 경우에만 해당하는 규정만 개별법에 존치하도록 한다. 개인정보 통합법의 핵심은 유사중복 규정의 통합이 핵심이다. 또한, 개인정보 보호 업무는 개인정보위원회로 일원화하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중앙행정기관으로 격상한다. 물론 개별법에 따른 각 부처의 입장 차이가 있어 일원화된 통합법 제정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법적 안정성 강화, 정보주체와 이용자의 편익증진과 사업자 부담경감을 통해 개인정보 보호법적 체제의 확립은 꼭 필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장하는 내용은 개인정보의 보호에 관한 개괄적인 연구자료로 사용될 뿐 전문가의 견해와 상충되는 부분이 있겠지만,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3개의 법이 단일법으로 제·개정된다면 공공기관, 법인, 단체 뿐만 아니라 국민의 입장에서 개인정보 관련 법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법을 준수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법률의 체계적 정비와 제도적 정치를 마련하여 현행법을 보완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주제 및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2 제2장 개인정보보호의 정의 3 제1절 개인정보에 대한 정의 3 제2절 개인정보보호 원칙 5 제3절 법령의 적용 5 제4절 개인정보의 분류 6 제1항 개인정보의 범위 6 1. 광의의 개인정보 6 2. 협의의 개인정보 8 제2항 개인정보 성립요건 9 제3장 국내외 개인정보보호 법 체계 10 제1절 국내 개인정보보호 법 체계 10 제2절 국외 개인정보보호 법 체계 11 제1항 미국의 개인정보 보호법 11 제2항 EU의 개인정보 보호법 12 제3항 일본의 개인정보 보호법 12 제4항 UN의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13 제5항 OECD의 개인정보보호 지침 15 제6항 EU의 개인정보보호 지침 17 제4장「개인정보 보호법」,「정보통신망법」과 「신용정보법」의 비교 19 제1절 구성 체계 비교 19 제2절 총칙 비교 21 제1항 목적 21 제2항 정의 22 제3항 개인정보보호 원칙 24 제4항 정보주체의 권리 26 제5항 국가 등의 의무 26 제3절 개인정보의 처리 비교 27 제1항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27 제2항 개인정보의 목적외 이용제공 29 제3항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의 이용제공 제한 30 제4항 개인정보의 파기 31 제5항 동의를 받는 방법 32 제6항 법정대리인의 동의 33 제7항 민감정보의 처리제한 34 제8항 주민등록번호의 처리제한 35 제9항 업무위탁에 따른 개인정보의 처리제한 36 제10항 영업양도 등에 따른 개인정보 이전 제한 38 제11항 개인정보의 안전조치 의무 38 제12항 개인정보 처리방침 수립 및 공개 39 제13항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지정 40 제14항 개인정보 보호 인증 40 제15항 개인정보 유출 통지 등 41 제16항 과징금 부과 등 42 제4절 기타 비교 43 제5장 제언 및 소결 47 제1절 현행 개인정보 관련 법률 문제점 47 제2절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유사조항 비교 48 제3절 중복규제 개선방안 51 제6장 결론 53 참고문헌 55-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국내 개인정보 관련 법률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Moon, Seul Ah-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Moon, Seul Ah-
dc.contributor.department정보통신대학원 정보보호-
dc.date.awarded2020.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1138621-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29695-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9695-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Personal credit information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most sensitive parts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modern society. Thus, despite the fact that information about an individual's credit must be protected at a higher level, in reality it is not.  The General Law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Korea i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representative special laws are the 「Act on the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and 「Act on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Act on the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applies to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s, while 「Act on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applies to credit information companies, credit information concentration agencies, and credit information providing financial institutions and users. However, if you look at the detailed provisions of each of the three laws, you will have the same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similar and different regulations. And will be subject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ct on the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and 「Act on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environment, the situation, and the type of information subject. Are confused about which law to apply.  This study examines the deficiencies of the Korean Personal Information Act through the overseas legislation on oversea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US, Japan, and the EU. The regulations on personal information covered by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ct on the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and 「Act on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will be compared and analyzed. Like the EU's legislative method, domestic law is similar to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is an integrated law that regulates the level of protection of individual credit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in the same way or absorbs Japan's privacy law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ct on the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and 「Act on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should be centralized like the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so that only those provisions that are specific to each field remain in the individual law. At the cor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ntegration Act is the integration of similar overlapping regulations. In additi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unifi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committee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ttee is upgraded to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Of course,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difference of each department's position under each law and the unification of unified laws.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used as a general research data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may be in conflict with the opinions of experts. For example, it is easier to understand and comply with law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public as well as organizations.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it will be helpful to supplement the current law by preparing the systematic reform of the law and the institutional politic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safely.-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Information Protec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