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인력의 교육훈련전이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서용-
dc.contributor.author김미리-
dc.date.accessioned2022-11-29T03:01:13Z-
dc.date.available2022-11-29T03:01:13Z-
dc.date.issued2020-02-
dc.identifier.other29849-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883-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2020. 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고경력·고학력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자 집단인 과학기술인력을 대상으로 교육훈련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수의 요인들을 탐색에 있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교육훈련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교육적 요소, 직무적 요소, 인간관계적 요소, 문화적 요소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전이를 포함하여 주요 변인들 간의 집단별 평균차이 검증을 진행하였다. 둘째, 각각의 변수들이 교육훈련전이와 각 변수들 간에 상관관계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다중회귀분석모형의 적합도 및 다중공선성 진단을 진행하였다. 넷째, 각각의 변수들이 교육훈련전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훈련전이를 종속변수로 하여, 인간관계적 요소과 문화적 요소가 조절효과로써 활용되는지 확인해본다. 분석결과, 교육적 요소의 대부분의 변수들이 교육훈련전이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재적 학습동기와 도구적 학습동기, 학습풍토, 교육훈련효과, 조직보상, 지적활용능력이 교육훈련전이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직무적 요소인 목표모호성과 업무량도 교육훈련전이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모호성은 교육훈련전이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였고, 업무량은 부(-)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목표모호성은 연구소 내 목표가 불명확한 것을 의미하는데, 다른 일반 집단들과 성격이 다른 과학기술인력들은 업무에 잇어서 유연한 판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목표가 모호하다고 해서 교육훈련전이가 어려운 것은 아닌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인간관계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는 교육훈련전이와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었으나, 조절효과로써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2장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6 제1절 과학기술인력의 개념 6 1. 과학기술인력의 개념 6 2. 과학기술인력 흐름 9 3. 과학기술인력 선행연구 10 제2절 교육훈련전이 정의 및 영향요인 12 1. 교육훈련전이의 정의 12 2. 교육훈련의 정의 및 교육훈련전이와의 관련성 15 3. 교육훈련전이 모형 16 4. 교육훈련전이 영향요인 29 5. 교육훈련전이 영향요인 종합 32 제3절 교육적 요소 34 1. 자기효능감 34 2. 학습동기 35 3. 학습역량 36 4. 학습 풍토 37 5. 교육훈련 효과 39 6. 조직보상 40 7. 지적활용능력 41 제4절 직무적 요소 43 1. 직무특성이론 43 2. 직무요구 – 자원 모형 47 제5절 인간관계적 요소 51 1. 상사의 지원 51 2. 동료의 지원 53 3. 동료상사갈등 55 제6절 문화적 요소 57 1. 집단주의 문화 57 2. 성과주의 문화 58 3. 지식공유 문화 60 제3장 연구 설계 62 제1절 연구모형 설계 62 제2절 분석자료 및 분석대상 64 제3절 변수측정 66 1. 종속변수의 측정 66 2. 독립변수의 측정 66 제4장 분석결과 72 제1절 기초 통계 72 1. 기술통계 72 2. 집단별 평균차이 검증 75 3. 상관관계분석 91 제2절 인과관계 분석 97 1. 다중공선성 진단 97 2. 교육훈련전이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 99 제3절 조절효과 검증 110 제5장 연구요약 및 함의 126 참고문헌 137 abstract 158-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과학기술인력의 교육훈련전이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KIM, MIRI-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MIRI-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20.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1138616-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29849-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9849-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number of factors that affect the transition of education Training for researcher of Government-funded Institutes, a group of researchers characterized by high career and high educ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transi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were divided into educational, job, human relations, and cultural factor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difference test by group among major variables, including transi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was conducted. Seco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each variable correlated with the training transition. Third, the fit and multiple collinearity diagnosi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was conducted. Fourth,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how each variable affects the training transition. Lastly,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transfer as a dependent variable is to check whether the human relational and cultural factors are used as moderating effects.  As a result, most of the variables of educational fact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transi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other words,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instrumental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climate, education and training effect, organizational reward, and intellectual literacy were found to be positive in the direction of education training. The task ambiguity and work load were also significant in the transi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goal ambiguity was significant in the positive direction and the workload was negative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transition. Objective ambiguity means that the objectives in the institute are unclear, and that the ambiguity of the objectives does not mean that the transfer of education and training is difficult because science and technology workers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can be flexible in their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lations and culture had no direct influence on the transi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but it acted as a moderating effec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