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현적 자기애와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정-
dc.contributor.author성지우-
dc.date.accessioned2022-11-29T03:01:12Z-
dc.date.available2022-11-29T03:01:12Z-
dc.date.issued2022-08-
dc.identifier.other32278-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874-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2022. 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총 300명의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적대적 귀인편향, 분노반추, 반응적 공격성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내현적 자기애와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를 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가 순차적으로 부분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더 많은 적대적 귀인편향을 가지게 되고, 적대적으로 귀인하는 편향이 분노반추를 증가시킴으로써 결국 반응적 공격성이 나타나게 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치료적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2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반응적 공격성 5 제2절 내현적 자기애 6 제3절 적대적 귀인편향 10 제4절 분노반추 14 제3장 연구 문제 및 가설 18 제1절 연구 문제 및 가설 18 제2절 연구 모형 18 제4장 연구 방법 20 제1절 연구 대상 및 절차 20 제2절 측정 도구 20 제3절 분석 방법 22 제5장 연구 결과 24 제1절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 24 제2절 측정 모형의 검증 24 제3절 연구 모형의 검증 25 제4절 매개 효과의 검증 27 제6장 논의 29 참고문헌 37-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내현적 자기애와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ung Jiwoo-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22.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1254278-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32278-
dc.identifier.url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2278-
dc.subject.keyword내현적 자기애-
dc.subject.keyword반응적 공격성-
dc.subject.keyword분노반추-
dc.subject.keyword적대적 귀인편향-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active aggression. Three hundred adults aged nineteen years and older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aires measuring covert narcissism, hostile attribution bias, anger rumination, and reactive agg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active aggression.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active aggress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sequentiall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vert narcissism, the more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the more hostile attribution bias increases anger rumination, which eventually leads to reactive aggression.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dc.title.subtitle적대적 귀인편향과 분노반추의 순차적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