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미래 시간 부사어 교육 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재연-
dc.contributor.author김은송-
dc.date.accessioned2022-11-29T03:01:11Z-
dc.date.available2022-11-29T03:01:11Z-
dc.date.issued2022-02-
dc.identifier.other31790-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844-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2022. 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의 미래 시간 부사어 중 ‘곧’, ‘금방’, ‘나중에’, ‘다음에’, ‘이따가’, ‘이후에’, ‘조만간’을 사건시 시간 부사어와 기준시 시간 부사어로 나누어 의미 변별 특성을 살펴보고, 분석 결과와 코퍼스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미래 시간 부사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래 시간 부사어를 당일성 제약의 유무와 결합 관계, 화용적 특성, 사용역(register)의 차이를 기준으로 삼아 세분화하였고, 코퍼스의 실제 용례를 기반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미래 시간 부사어의 기본적 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미래 시간 부사어의 의미적 특성을 크게 사건시 시간 부사어 ‘곧’, ‘금방’, ‘이따가’, ‘조만간’과, 기준시 시간 부사어 ‘나중에’, ‘다음에’, ‘이후에’로 분류하여 시간 부사어를 각 범주에 포함하였으며, 이후 세부적 기준을 통해 기준시 시간 부사어와 사건시 시간 부사어를 고찰하였다. 특히, ‘당일성 제약의 유무’ 기준은 부사어의 의미적 특성을 논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변별 속성은 아니나 미래 시간 부사어의 경우 [당일성]이 변별 특성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음을 통해 [+당일성]과 [-당일성]으로 기준을 두어 분석하였다. 이와 더해 결합 관계의 차이와 의사소통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인 화용적 특성의 차이까지 범주에 모두 포함시켰다. 이 기준에 따른 미래 시간 부사어의 분류 기준에 따라 3장, 4장이 마련되었다. 3장에서는 미래 시간 부사어를 사건시 시간 부사어와 기준시 시간 부사어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사건시 시간 부사어 중 가장 출현 빈도가 높은 ‘곧’을 기준으로 ‘곧-이따가’, ‘이따가-나중에’, ‘곧-금방’, ‘곧-조만간’을 발화시, 조사·어미 결합, 문장 종결적 제약, 동사·명사·부사와의 결합 관계, 중복 사용, 화용적 특성을 중심으로 각각의 특성과 제약을 살펴보았다. 기준시 시간 부사어의 경우 ‘나중에-다음에-이후에’를 동일한 변별적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미래 시간 부사어를 모아 도식화하여 학습자들이 한눈에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그림을 제시하였다. 사건시 시간 부사어의 경우 [당일성] 속성을 지닌 ‘금방’, ‘곧’, ‘나중에’중 ‘금방’이 발화시와 미래 사건시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으며, 차례대로 ‘곧’과 ‘이따가’가 나열된다. 특기할 점은 ‘곧’은 사건시가 발화시 당일과 당일 이후 모두 가능하며 사건시가 발화시의 당일일 경우 시간 간격은 ‘이따가’ 보다 좁다는 것이다. 당일 이후 미래 시간 부사어는 ‘이따가’, ‘곧’, ‘조만간’, ‘나중에’ 이며, 이중 ‘조만간’은 발화시가 사건시 당일 이후만 가능하다. 한편 기준시 시간 부사어인 ‘다음에’, ‘이후에’, ‘나중에’의 경우 모두 사건시가 기준시 이후에 제시되는 공통 속성이 있어 결합 관계를 바탕으로 도식화하였다. 가령 ‘이후에’의 경우 ‘9시 이후에’, ‘10시 이후에’ 등의 구체적인 시간 표현과 결합하며, ‘나중에’의 경우 유일하게 ‘가장’, ‘제일’, ‘정말’ 등의 정도 부사와 공기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바탕으로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변별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미래 시간 부사어의 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교육에 제시되어야 할 사항들을 의미적 특성, 결합 관계, 화용적 특성으로 나누어 정리한 후, 5단계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실제 수업의 구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한국어 교육에서 논의의 대상이 거의 되지 않았던 미래 시간 부사어를 대상으로 삼아 변별적 특성을 기준으로 각 미래 시간 부사어의 의미 변별을 논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에게 제시할 방법에 관해 서술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미래 시간 부사어 중 일부만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개별 부사어의 세부적인 분석에 대해서는 부족함이 있다. 또한, 미래 시간 부사어의 수업을 구체적인 교안의 형식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예시의 형식으로만 제시한 점이 아쉽다. 따라서 앞으로 미래 시간 부사어에 대해 더욱 다양한 검증 방법과 분석 연구가 지속되어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들을 위한 미래 시간 부사어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3 1. 시간 부사어 개념에 대한 연구 3 2. 시간 부사어 분류에 대한 연구 3 3. 한국어 교육 관점에서의 시간 부사 유의어 연구 11 제3절 연구 방법과 논의의 대상 선정 13 제2장 기본적 논의 16 제1절 미래 시간 부사어 의미 변별을 위한 기준 16 1. 시점과 순서 17 2. 당일성 제약의 유무 18 3. 결합 관계의 차이 19 4. 사용역(register)의 차이 20 5. 화용적 특성의 차이 22 제2절 한국어 교재의 미래 시간 부사어 제시 현황 24 1. 연세대학교 『새 연세 한국어』 26 2. 이화여자대학교 『이화 한국어』 31 3. 경희대학교 『경희 한국어』 37 4. 서울대학교『서울대 한국어』 41 제3절 학습자 말뭉치 분석 49 제3장 미래 시간 부사어의 의미 변별 53 제1절 사건시 시간 부사어의 의미 변별 53 1. ‘곧’과 ‘이따가’ 53 2. ‘이따가’와 ‘나중에’ 57 3. ‘곧’과‘금방’ 61 4. ‘곧’과‘조만간’ 65 제2절 기준시 시간 부사어의 의미 변별 69 1. ‘나중에’와‘다음에’ 69 2. ‘다음에’와‘이후에’ 72 제3절 미래 시간 부사어의 의미 도식화 74 제4장 한국어 교육에서의 미래 시간 부사어 교육 방안 80 제1절 ‘곧’과‘이따가’의 교육 방안 80 1. ‘곧’과 ‘이따가’의 교육 내용 80 2. ‘곧’과 ‘이따가’의 교수-학습지도안 82 제2절 ‘이따가’와 ‘나중에’의 교육 방안 92 1. ‘이따가’와 ‘나중에’의 교육 내용 92 2. ‘이따가’와 ‘나중에’의 교수-학습지도안 94 제3절 ‘곧’과 ‘금방’의 교육 방안 103 1. ‘곧’과 ‘금방’의 교육 내용 103 2. ‘곧’과 ‘금방’의 교수-학습지도안 104 제4절 ‘곧’과 ‘조만간’의 교육 방안 112 1. ‘곧’과 ‘조만간’의 교육 내용 112 2. ‘곧’과 ‘조만간’의 교수-학습지도안 113 제5절 ‘나중에’,‘다음에’,‘이후에’의 교육 방안 122 1. ‘나중에’, ‘다음에’, ‘이후에’의 교육 내용 122 2. ‘나중에’, ‘다음에’, ‘이후에’의 교수-학습지도안 124 제5장 결론 132-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한국어 미래 시간 부사어 교육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of Future Time Adverbials in Korean-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Eunsong-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22.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1245318-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31790-
dc.identifier.url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1790-
dc.subject.keyword결합 관계-
dc.subject.keyword기준시 시간 부사-
dc.subject.keyword미래 시간 부사어-
dc.subject.keyword변별적 특성-
dc.subject.keyword사건시 시간 부사어-
dc.subject.keyword의미 변별-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eaning discrimination by dividing "soon," "shortly," "later," "after," “a little later”, “hereafter” and "in the near future" among the future time adverbials in modern Korean into event-time adverbials and reference-time adverbials, and to suggest future time adverbials in Korean education based on analysis results and corpus. To this end, future time adverbials were subdivid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y-to-day constraints, binding relationships, pragmatic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registers, and were based on actual use cases of corpus. Chapter 2 examines the basic discussion of future time adverbials. First,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future time adverbial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event-time adverbials "soon", "shortly", "a little later", and "in the near future", reference-time adverbials "later", "after", and "hereafter", and then the time adverbials were considered through detailed criteria were considered. In particular, the criteria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identity day-to-day' are not commonly used discriminatory properties when discussing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adverbials, but in the case of future adverbials, it was analyzed based on [+day-to-day] and [-day-to-day]. In addition, differences in combination relationships and differences in pragmatic characteristic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communication, were all included in the category. Chapters 3 and 4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future time adverbials according to this standard. In Chapter 3, future time adverbials were divided into event-time adverbials of the reference-time adverbials. Based on "soon"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adverb among time adverbials at the time of the incident, each characteristic and constraint were examined, investigated and mother-to-mother combination, sentence-ending constraints, overlapping use,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reference-time adverbials , 'later-after-hereafter' was analyzed as the same discriminator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 picture was presented so that learners could grasp the meaning at a glance by collecting and schematizing future time adverbials. In the case of event-time adverbials "shortly," "soon," and "a little later," which have properties of [day-to-day], have the narrowest gap between the utterance-time and the evnt-time of future, and "soon" and "a little later" are listed in order. It should be noted that "soon" can be done on and after the day of the event, and if the event is the day of the event, the time interval is narrower than "a little later". Future time adverbials after the day are "a little later," "Soon," "in the near future," and "later," of which "in the near future" is only possible after the day of the incid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ater', 'after', and 'herelater', which are the reference-time adverbials, all have common attributes presented after the standard time, so they are schematized based on the combined relationship. For example, "hereafter" is combined with specific time expressions such as "after 9 o'clock" and "after 10 o'clock," and "later" is schematized based on the fact that it can be used only with adverbials such as "the head of the household", "first", and "really". In Chapter 4, based on the discrimination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Chapter 3, the educational plan for future time adverbia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discussed. First, the matters to be presented in education were divided into semantic characteristics,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and then a five-step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was prepared to present the composition of the actual class.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discrimination of each future time adverb based on its discriminatory characteristics, targeting future time adverb words that were rarely discus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based on this, it is meaningful. However, only some of the future adverbia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nd there is a lack of detailed analysis of individual adverbials. In addition, it is regrettable that the future time adverb's class could not be presen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teaching pla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verification methods and analysis studies will continue on future time adverbials, and future time adverbials research for Korean teachers and learners will continue.-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