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MS/MS와 GC-MS/MS를 이용한 에센셜 오일 중 320종 잔류농약 분석법 개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빈범호 | - |
dc.contributor.author | 오가향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3:01:05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3:01:05Z | - |
dc.date.issued | 2022-02 | - |
dc.identifier.other | 31596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720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응용생명공학과,2022. 2 | - |
dc.description.abstract |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은 1개의 단일 식물형 및 식물종이 만들어낸 향이 나는 식물 재료를 물리적인 방법으로 얻어낸 휘발성 물질로 방부, 살균, 항균 효과가 뛰어나 화장품, 향료, 아로마 테라피 치료 등의 목적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에센셜오일은 추출 및 농축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재배 과정 중 살포된 농약 또한 추출 및 농축이 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센셜 오일 중 320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기 위하여 LC-MS/MS와 GC-MS/MS를 이용하였으며 기존의 정제과정인 Hexane 대신 Freezing 과정을 이용하여 전처리방법을 개선하였다. 에센셜 오일을 분석한 결과 기준치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Chlorpyrifos, Piperonyl butoxide, Silafluofen 성분이 Basil oil 및 Clove leaf oil에서 검출되었다. 따라서 에센셜 오일에 대한 잔류농약 모니터닝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Ⅱ. 재료 및 방법 3 A. 재료 및 시약 3 B. 실험방법 3 1. Freezing을 이용한 분석 방법 3 C. 실험기기 4 D. 분석법 검증 기준에 따른 에센셜 오일의 잔류농약 분석 4 Ⅲ. 결과 및 고찰 6 A. 전처리 방법 최적화 6 1. Hexane을 이용한 오일 제거 6 2. Freezing을 이용한 오일 제거 6 3. 회수율 7 B. matrix effect 10 C.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재현성, 검량선의 결정계수 12 D. 시료 분석 결과 25 Ⅳ. 결론 26 Ⅴ. 참고문헌 27 Abstract 29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LC-MS/MS와 GC-MS/MS를 이용한 에센셜 오일 중 320종 잔류농약 분석법 개발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응용생명공학과 | - |
dc.date.awarded | 2022.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T000000031596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1596 | - |
dc.identifier.url | 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1596 | - |
dc.subject.keyword | GC-MS/MS | - |
dc.subject.keyword | LC-MS/MS | - |
dc.subject.keyword | essential oil | - |
dc.subject.keyword | freezing | - |
dc.subject.keyword | pesticid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