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간호의도 영향요인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송주은 | - |
dc.contributor.author | 정윤지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3:01:02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3:01:02Z | - |
dc.date.issued | 2022-02 | - |
dc.identifier.other | 31730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663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2022. 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COVID-19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횡단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권역 응급의료센터와 지역 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는 응급실 간호사 중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간호사 180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 및 대상 병원의 자료수집 허가를 받은 후, 총 85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8월 12일부터 2021년 9월 18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였다. 자료는 IBM SPSS win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와 one 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을 위해서 Scheffe test를 사용하였다.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COVID-19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8.94±4.26세로, 성별은 여성이 90.6%(163명)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근무기관의 형태는 권역 응급의료센터가 43.3%, 지역 응급의료센터가 56.7%였으며, 동거가족 유무는 유가 60.6%, 무가 39.4%였다. 과거 신종 감염병 경험유무는 유가 53.2%, 무가 46.8%였다. 2. 대상자의 간호의도 평균 점수는 0점 만점(범위 –3~+3) 중 0.85±1.33점으로 측정되었다. 신념요인 중 행위신념 평균 점수는 0점 만점(범위 –3~+3) 중 0.74±0.70점, 규범신념은 0.22±0.97점, 통제신념은 –0.95±0.81점으로 나타났다. 핵심요인 중 행위에 대한 태도 평균 점수는 0점 만점(범위 –3~+3) 중 1.69±0.91점, 주관적 규범은 0.95±0.91점, 지각된 행위통제는 0.98±1.19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 중 평균 3.42±0.48점으로 측정되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COVID-19 간호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t=2.30, p=.023)과 동거가족 유무(t=-2.06, p=.041)에 따라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COVID-19 간호의도는 계획된 행위이론 구성 변수 중 신념요인의 항목에서 행위신념(r=.52, p<.001), 규범신념(r=.36, p<.001), 통제신념(r=.43, p<.001)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요인에서는 행위에 대한 태도(r=.50, p<.001), 주관적 규범(r=.39, p<.001), 지각된 행위통제(r=.49, p<.001)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OVID-19 간호의도는 간호전문직관(r=.20, p=.006)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COVID-19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모형 1단계에서는 일반적 특성에서의 간호의도의 차이를 보인 성별과 동거가족 유무를 투입한 결과 성별(남성)(β=-.17, p=.023)과 동거가족 유무(무)(β=.15, p=.041)가 유의한 영향요인(R2=.05, F=4.79, p =.009)으로 나타났다. 신념요인에 해당하는 행위신념, 규범신념, 통제신념을 추가 투입한 모형 2단계에서는 행위신념(β=.36, p<.001)과 규범신념(β=.22, p<.001), 통제신념(β=.18, p=.013)이 유의한 영향요인(R2=.37, F=20.62, p<.001)으로 나타났으며, 35%의 설명력을 보였다. 3단계에서는 핵심요인인 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와 간호전문직관을 투입하였고, 행위에 대한 태도(β=.28, p<.001), 지각된 행위통제(β=.17, p=.009)가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회귀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R2=.52, F=20.37, p <.001), 49%의 설명력을 보였다. 주관적 규범과 간호전문직관은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COVID-19 간호의도는 행위에 대한 태도, 행위신념, 지각된 행위통제, 통제신념에 의해 결정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OVID-19 간호를 수행함에 있어 간호의도를 높이기 위해 이 요인들을 긍정적으로 높일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추후 이 중재프로그램을 업무에 적용한다면 현재와 같은 판데믹한 감염상황에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의도를 긍정적으로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4 제3절 용어의 정의 5 제 2장 문헌고찰 9 제1절 COVID-19 간호의도 9 제2절 계획된 행위이론 11 제3절 COVID-19 간호의도 영향요인 14 제3장 연구방법 19 제1절 연구설계 19 제2절 연구대상 19 제3절 연구도구 20 제4절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24 제5절 윤리적 고려 25 제6절 자료분석방법 26 제4장 연구 결과 27 제1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7 제2절 COVID-19 간호에 대한 신념요인, 핵심요인, 간호전문직관 및 간호의도 29 제3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COVID-19 간호의도 차이 31 제4절 대상자의 신념요인, 핵심요인, 간호전문직관과COVID-19 간호의도 간의 상관관계 33 제5절 COVID-19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5 제4장 논의 38 제5장 결론 및 제언 44 제6장 참고문헌 46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간호의도 영향요인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 |
dc.date.awarded | 2022.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1245259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1730 | - |
dc.identifier.url | 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1730 | - |
dc.subject.keyword | COVID-19 | - |
dc.subject.keyword | 간호의도 | - |
dc.subject.keyword | 간호전문직관 | - |
dc.subject.keyword | 계획된 행위이론 | - |
dc.subject.keyword | 응급실간호사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