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용서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신희천 | - |
dc.contributor.author | 서정선 | - |
dc.date.accessioned | 2018-10-16T02:15:53Z | - |
dc.date.available | 2018-10-16T02:15:53Z | - |
dc.date.issued | 2007-02 | - |
dc.identifier.other | 2154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64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2007.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가장 친밀한 대인관계 중 하나인 부부를 대상으로 이들의 용서가 자기 자신 그리고 상대방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Kenny(1996)가 제안한 Actor-PartnerInterdependence Model(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APIM)에 근거하여 검증하였다.총 215쌍의 부부자료가 분석되었고,용서질문지,결혼만족 질문지,신경증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용서는 상처 입은 사람이 가해자와의 관계에서 취할 수 있는 복합적인 심리 반응이다.용서를 경험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최근 흐름과 더불어 용서가 상담 및 교육장면에서도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용서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개인 내적 과정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부부는 장시간 상호작용이 많고 그들이 만나기 전부터 여러 특성에서 유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들의 자료는 비독립적인 성질을 갖는다.이러한 비독립적인 성질을 충분히 고려한 분석방법을 사용할 때 부부의 대인 간 영향과 개인 내 영향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다.APIM은 부부 특성이 그 자신에게 미치는 효과(자기효과)와 상대방에게 미치는 효과(상대방효과)를 동시에 추정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부부와 같이 상호의존성이 존재하는 짝 자료의 예측적 관계를 검증할 때 이용하는 데 적합한 분석방법이다. 본 연구는 APIM을 적용하여 용서가 결혼만족에 갖는 영향을 개인 내 효과와 대인 간 효과로 나누어 그 의미를 알아보았다.그리고 개인 내 효과들 간 비교와 대인 간 효과들 간 비교를 통해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효과 크기간의 상대적 비교는 구조방정식에서 등가제약 설정을 통해 이루어졌다.다음으로 기존 연구들에서 결혼만족과 강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신경증과 연령을 공변인으로 한 통제 분석을 하였다.통제 분석은 다른 변인의 영향을 통제하고서도 여전히 용서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마지막으로 남편의 용서와 부인의 용서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결혼만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부부에게 용서는 각자 자신의 결혼만족에 대하여 유의미한 예측변인임이 밝혀졌다.이와 더불어 부인의 용서는 상대방인 남편의 결혼만족을 예측하였다.즉,용서가 높을수록 그 자신의 결혼만족이 높았으며,특히 부인 용서가 높은 경우 그 남편의 결혼만족도 높게 나타났다.용서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개인내 효과와 대인 간 효과들을 비교하기 위해서 각 효과들 간 비교를 한 결과,결혼만족에 대한 용서의 영향은 상대방이 미치는 영향보다 자신이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결혼만족에 대한 용서의 영향은 남편보다 부인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통제 분석에서 용서는 신경증을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결혼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남편과 부인 용서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이는 용서가 반드시 상호적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을 나타낸다.본 연구는 부부의 결혼만족에 용서가 미치는 효과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로 나누어,이들 효과 간 비교를 통해 개인 내적 과정 뿐 아니라 대인 간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해 논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 1 Ⅱ. 이론적 배경 = 5 1. 결혼만족의 개념과 이론적 접근 = 5 가. 사회교환 이론 = 6 나. 행동주의 이론 = 7 2. 결혼만족과 관련된 변인들 = 10 가. 인구통계학적 변인 = 10 나. 개인 내 심리학적 변인 = 10 다. 대인간 변인 = 11 3. 용서 = 12 가. 용서의 정의 = 12 나. 용서의 효과 = 14 다. 결혼만족과 용서 = 16 4. 결혼 연구 방법 = 17 가. 짝(dyad) 연구 방법의 필요성 = 17 나.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18 다.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APIM) 분석을 위한 접근 = 21 Ⅲ. 연구 문제 = 24 1. 본 연구의 방향 = 24 2. 연구 문제 = 25 Ⅳ. 연구 방법 = 28 1. 연구대상 = 28 2. 측정도구 = 28 3. 분석방법 = 30 Ⅴ. 연구 결과 및 해석 = 32 1.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주요 변인들의 평균 및 상관관계 = 32 2. 측정 모형의 검증 = 35 3. 짝 자료에서의 척도 동일성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 36 4. 구조 모형의 검증 = 37 가. 주 효과의 검증 = 37 (1) 용서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 37 (2) 통제분석 (신경증과 연령의 통제) = 41 나. 상호작용효과의 검증(용서의 상호작용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효과) = 44 Ⅵ. 논의 = 46 참고 문헌 = 50 부록 = 56 Abstract = 64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용서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 - |
dc.title.alternative | Seo, Jung-Sun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eo, Jung-Su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 |
dc.date.awarded | 2007.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5823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54 | - |
dc.subject.keyword | 용서 | - |
dc.subject.keyword | 결혼만족 | - |
dc.subject.keyword | 짝분석 | - |
dc.subject.keyword | 자기 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forgiveness on marital satisfaction. For analysis of data from the married coupl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by Kenny(1996) is applied to this study. Main effect(actor-partner effect)s of forgiveness were estimated from APIM. Then in order to compare relative sizes of the paths from the variable to husband and wife outcome score, a procedure of setting equality constraints were conducted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uggests that forgiveness was a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 of marital satisfaction for each spouse. Additionally, wife's forgiveness predicted husband's satisfaction. Actor effects were contributed to self-marital satisfaction than partner effects. Effects of forgiveness were also significant in case controlling neuroticism and age variable in model. Control analysis indicated that forgiveness was important predictor on marital satisfaction after controlling other predictors. Finally, interaction effect of forgiveness was examined in order to learn that husband's forgiveness and wife's forgiveness make marital satisfaction increase. This study divides the effect of forgiveness on marital satisfaction into actor and partner effects. The study provides us with interpersonal process aspect as well as intrapersonal process aspect of forg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n comparison with them,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is sex difference in the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process of forg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nteraction effect result show that synergistic interaction of husbands' and wives' forgiveness did not predict their satisfaction. It reflect that forgiveness may not be reciprocal process. In conclusion, the consequence suggested the issue and the limitation on the study.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