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정체화와 태도에 따른 집단 간 비교

Alternative Title
Group Comparison According to Feminism Identification and Attitudes toward Feminism
Author(s)
김현지
Advisor
김은하
Department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21-08
Language
kor
Keyword
개인자존감남성에 대한 양가적 태도성별집단자존감여성에 대한 양가적 성차별주의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페미니즘페미니즘 정체화페미니즘에 대한 태도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페미니즘 정체화와 페미니즘에 대한 태도에 따라 어떤 집단이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집단별로 개인자존감, 성별집단자존감,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여성에 대한 양가적 성차별주의, 남성에 대한 양가적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30대 일반인 331명을 대상으로 페미니즘 정체화, 페미니즘과 페미니스트에 대한 태도, 개인자존감, 성별집단자존감,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여성에 대한 양가적 성차별주의, 남성에 대한 양가적 태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여 페미니즘 정체화와 태도에 따른 집단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페미니즘 긍정, 페미니즘 부정, 페미니즘 양가의 3개 집단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성별집단자존감,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일반적인 믿음, 여성에 대한 양가적 성차별주의, 남성에 대한 적대적, 온정적 태도에서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페미니즘 긍정 유형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성별집단자존감, 남성에 대한 적대적 태도가 가장 높았고,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페미니즘 부정 유형은 여성에 대한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그 하위유형인 온정적 성차별주의, 적대적 성차별주의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lternative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the types of group in feminism identification and attitudes toward feminism,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 total of three hundreds and thirty-one individuals completed a battery assessing Self esteem, gender collective Self esteem, Belief in a Just world, Ambivalent sexism and Ambivalence toward men. Latent Class Analysis was used to classify the group of feminism identification and attitudes toward feminism. The result allowed the study to classify sample by three groups : Positive toward Feminism, Negative toward Feminism, and Ambivalence toward Feminism. Moreover, difference between groups are identified in gender collective self-esteem, belief in a just world, hostile attitude toward men, benevolent attitude toward men and ambivalent sexism. Specifically, Positive toward Feminism group had the highest score in gender collective self-esteem, hostile attitudes toward men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and lowest score in belief in a just world-other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On the other hand, Negative toward Feminism group had the highest score in ambivalent sexism and benevolent sexism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At the conclusion,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549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