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미디어 공동체 활동가들의 학습경험 사례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오민석 | - |
dc.contributor.author | 김해련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2:32:55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2:32:55Z | - |
dc.date.issued | 2021-08 | - |
dc.identifier.other | 31112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475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2021. 8 | - |
dc.description.abstract | 국문초록 본 연구는 수원지역 마을미디어 공동체 사례연구를 통하여 참여자들 경험의 평생교육적 측면에서의 의의와 학습경험의 구체적 사례를 연구하고자 한다. 수원지역 마을미디어 공동체의 참여자들은 학습을 통해 공동체 안에서 미디어 활동가로써 학습 경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마을미디어 공동체 활동가들의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수원지역 마을미디어 공동체 활동가들의 학습경험 인터뷰와 마을공동체, 학습공동체, 미디어공동체 등과 관련된 문헌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원지역 마을미디어 공동체 활동에 직접 참여한 활동가들을 관찰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해서 읽고 비교하여 전체적인 맥락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마을미디어 공동체 활동가들의 학습경험에서 나타난 평생학습적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상호관계를 맺음을 통해 공동체에 유용한 공유하는 지식을 생산하는 활동이었다. 둘째. 지역과 공간, 시간을 초월하여 경험되는 학습의 의미를 갖는다. 셋째, 공동체성이 확대되며 자주적 실재를 나타내 생활에서 따돌림을 극복하는 교류 학습을 조장한다. 넷째. 잠재적 학습공동체 형성을 조장하는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미는 첫째, 마을미디어 공동체 활동에 대해 학습경험이론의 입장에서 학습경험을 나타내 활동과 학습의 관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마을의 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평생학습에 대해 양쪽 학문적 연구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셋째, 마을미디어 공동체 활동가들의 미디어 활동을 하면서 꺠닫게 되는 학습경험의 의미를 학습경험이론의 개념으로 해석해 평생교육에 주는 의미를 분석하고자 노력하는데 의미를 갖는다. 위와 같이 마을미디어 공동체 활동은 학습경험을 전개해 나가고 있었다. 경험학습과정은 활동가에게 인생의 의미와 보람을 느끼며 주관적이고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시작점이 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마을미디어 공동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중에서 학습경험 과정을 세부적으로 다루지 못했다. 둘째, 다양한 사례를 특별한 이론으로 분석해 밝혀지도록 학습경험을 체계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마을미디어 공동체가 활성화되고 있는 미디어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시도하여 평생교육학에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하면서 아래와 같은 후속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점점 확대되고 있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마을미디어 활동을 통해 활동가들이 어떻게 공동체성을 정립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마을미디어 공동체의 거점공간이 평생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변화를 주는지에 대해 연구를 제언한다. 마을미디어 공동체의 거점공간이 마을 주민들에게 주는 영향과 평생학습의 터전으로써 의미가 많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이에 대한 깊이 있는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주제어 : 공동체, 학습공동체, 마을공동체, 미디어공동체, 학습, 경험, 실천, 경험학습, 학습경험, 미디어, 마을미디어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문제 6 제2장 이론적 배경 8 제1절 마을미디어 공동체 8 제2절 경험학습 19 제3장 연구방법 34 제1절 질적 사례연구 34 제2절 연구 참여자 37 제3절 자료수집 및 분석 44 제4절 연구의 윤리 및 신뢰성 확보 45 제4장 마을미디어 공동체 활동가들의 학습경험 47 제1절 마을미디어 공동체 활동가들의 참여 동기 47 제2절 미디어 활동가들의 활동과정과 학습경험 62 제3절 마을미디어 공동체의 학습경험이 주는 의미 75 제5장 논의 및 결론 86 제1절 논의 86 제2절 결론 91 참고문헌 96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마을미디어 공동체 활동가들의 학습경험 사례연구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 - |
dc.date.awarded | 2021.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1228023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1112 | - |
dc.identifier.url | 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1112 | - |
dc.subject.keyword | 경험학습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