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예기적 사회화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함에 있다.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들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노화불안 감소, 성공적인 노화 기대와 관련된 예기적 사회화 인식의 변화가 어떠하며, 연령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감소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셋째,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넷째,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노화 불안 감소, 성공적 노화 인식 변화에서 연령차는 어떠한가?
노년기를 앞둔 중년여성들의 생활양식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노화 불안,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원을 이용하고 있는 중년여성 4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성은 연령별로 균등하게 배정하여 각각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하는 혼합설계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측정도구는 세 가지이다. 이론적 배경 고찰 및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척도의 문항들을 참고하여 예비문항을 선정한 다음 요인분석 절차를 거쳐 연구자가 직접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실시에 앞서 중년여성의 삶의 질, 노화 불안, 성공적인 노화 기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주 1회, 12주 동안 12회기로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인식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는 연구자가 해당기관을 방문하여 직접 실시하였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두 집단의 삶의 질 인식, 노화 불안, 성공적 노화 기대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사전검사 점수에 대한 효과를 제거하고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순수효과를 분리 검출할 수 있도록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s; ANCOVA)을 적용하였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노화 불안 감소,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사후검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Kolmogorov-Smirnov 검정을 통해 변인에 대한 정규성을 검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Kolmogorov-Smirnov 값은 삶의 질, 노화 불안, 성공적 노화 기대 모두 유의수준 .05 수준보다 높게 나타나서 정규분포를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 동질성 검정을 위해 사전검사 점수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삶의 질, 노화 불안, 성공적 노화 기대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사전검사 점수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고 판단하였다.
12주 동안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후 중년여성의 삶의 질, 노화 불안, 성공적 노화 인식의 변화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전체 점수 뿐만 아니라 삶의 질 인식의 하위요인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의 변화는 40대 중년 여성과 50대 중년 여성에서 연령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연령집단을 비교해 볼 때 40대 중년여성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더 높게 나타났다.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변화는 50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젊은 40대의 중년여성들에게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노화 불안 인식 전체 점수 뿐만 아니라 삶의 질 인식의 하위요인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감소를 가져왔다.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노화 불안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노화 불안 인식 변화는 50대 중년여성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기대 전체 점수 뿐만 아니라 성공적 노화 기대의 하위요인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다.
넷째,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 변화는 50대 중년여성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중년여성들이 성공적 노화에 대한 기대를 증진시켜 나가면서 예기적 사회화에서 인식의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으로서는 14명을 대상으로 전화를 통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예기적 사회화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 갔다. 성공적 노화 요소인 자기 효능감, 노화 수용, 적극적 사회활동, 가족 지향에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조사 분석된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의 전체적 향상과 인지 평가, 긍정적 정서 평가와 관련된 삶의 질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이 규명되었다. 노화 불안의 전체적인 감소와 노인에 대한 두려움, 심리적 불안정, 신체적 외모에 대한 두려움, 상실에 대한 두려움 등과 관련된 노화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이 규명되었다. 성공적 노화 기대의 전체적인 증진과 자기 효능감, 노화 수용, 적극적 사회활동, 가족 지향 등과 관련된 성공적 노화 기대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이 규명되었다. 또한,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예기적 사회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음이 규명되었다.
둘째, 노후준비교육에 참여 후 인식의 변화는 연령대별로 차이가 나타나서, 40대의 비교적 젊은 중년여성들의 경우에는 삶의 질 인식 향상에, 50대의 비교적 노년기에 가까운 중년여성들의 경우에는 노화 불안 감소, 성공적인 노화 기대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이 규명되었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향상, 노화 불안 감소, 성공적 노화 기대 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중년기는 삶의 연속이자 연장, 생의 계속적 측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새롭게 진행되는 생애주기에 따라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회적 구성원으로서의 자아를 확립하는 과정은 반드시 요구되어야 한다. 중년기 역할변화에 적응하고 다가 올 노년에 대비하여 새로운 역할을 미리 준비하는 예기적 사회화를 통해 노화에 대한 불안에서 벗어나게 하고 궁극적으로 중년여성의 자기 존중감 및 자아정체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넷째,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들이 현실적 상황을 고려하여 새로운 역할로 전환할 수 있는 간접체험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노년을 인정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인식과 가치관, 이상과 신념 등을 고양할 수 있는 계기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정서적 공감을 토대로 중년여성들에게는 위로와 위안을, 고령사회라는 국가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새로운 변화를 예측하고 준비하며 적절한 제도를 마련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