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통합교육 연구동향 분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박미화 | - |
dc.contributor.author | 임인순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2:32:37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2:32:37Z | - |
dc.date.issued | 2021-02 | - |
dc.identifier.other | 30875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183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2021. 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통합교육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학술지별 발표연도와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유형에 대한 연구동향을 심층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현재 영유아 통합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균형 있는 연구의 기초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0부터 2020년까지 국내 유아특수교육 관련학술지 16곳과 유아교육 관련학술지 3곳으로 총 19곳의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54편을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지별 동향은 몇몇 유아특수교육 관련 학술지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도별 동향은 분석대상 기간 동안 꾸준한 연구가 이어져 오다 2016년 급격한 감소를 나타냈으나, 그 후 매년 10편, 11편씩의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주제별 동향은 영유아 통합교육 현장에서 중심이 되는 교수방법 및 중재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합교육 상황에서 교사들에게 가장 실질적인 분야인 삽입교수 및 협력교수등과 같은 연구들은 다소 미흡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연구 대상별 동향은 크게 인적대상과 물적 대상으로 나뉘었으며, 인적 대상의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영유아 대상 변인별 분석 결과는 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비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매우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대상 변인별 분석결과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부모대상 연구, 그 외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유형별 동향은 전체 분석대상 논문 154편중 양적연구가 86편(55.8%)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질적연구 51편(33.1%), 통합연구 4편(2.6%), 그리고 문헌 및 동향연구등 기타연구가 13편(8.4%)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내에서의 통합과 교사들 간의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를 대상으로 한 장애이해 프로그램 및 인식 개선과 함께 장애영유아와 비장애 영유아가 한 교육과정 내에서 수준 높은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성공적인 영유아 통합교육의 실행을 위해 영유아 교육기관에 대한 정책 및 통합학급을 담당하는 교사들에 대한 지원, 교사연수 등 실질적인 제도 및 지원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영유아 통합교육 현장에서 중심이 되는 영유아와 교사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최근 영유아 통합교육에서 부모 및 가족, 지역사회의 참여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을 고려하여 성공적 통합교육의 실효성 증진을 위해 부모 및 가족, 지역사회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영유아 대상 연령별 분석 결과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영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배해 매우 높게 연구 되어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유아 교육기관에서 연구가 이루어 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영아기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결과를 보였다. 영아기 통합교육을 통한 적절한 지원과 자극은 장애발생의 감소 뿐 아니라 전반적인 영아기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영아대상의 조기 통합교육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문제 5 II. 이론적 배경 6 1. 통합교육에 대한 개념 및 유형 6 2. 통합교육의 법적근거 9 3. 통합교육의 효과 11 가. 장애영유아에게 미치는 통합교육의 효과 12 나. 비장애영유아에게 미치는 통합교육의 효과 13 다. 부모에게 미치는 통합교육의 효과 14 라. 교사에게 미치는 통합교육의 효과 16 4. 영유아 통합교육의 현황 17 5. 영유아 통합교육 선행연구 동향 22 III. 연구방법 27 1. 분석대상 논문의 선정 27 2. 자료수집 28 3. 분석 내용 29 IV. 연구결과 34 1. 학술지 연도별 동향 34 2. 연구 주제별 분석 36 3. 연구의 대상별 분석 47 4. 연구 유형별 분석 54 V. 논의 및 결론 61 1. 요약 및 논의 61 2. 결론 및 제언 65 참고문헌 69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영유아통합교육 연구동향 분석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im in soo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 - |
dc.date.awarded | 2021.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1204256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0875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0875 | - |
dc.subject.keyword | 영유아 통합교육 | - |
dc.subject.keyword | 유아통합교육 | - |
dc.subject.keyword | 장애통합 | - |
dc.title.subtitle | 2010년~2020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