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대응팀이 병동 환자의 심폐소생술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he Rapid Response Team on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uthor(s)
윤미정
Alternative Author(s)
Mi Jung Yoon
Advisor
박진희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21-02
Language
kor
Keyword
신속대응팀심폐소생술임상결과
Abstract
본 연구는 신속대응팀 운영에 따른 병동 환자의 심폐소생술 임상 결과의 차이를 파악하여 병원 내 신속대응팀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S시에 소재 A 병원 일반병동에 입원한 만 19세 이상의 환자 중 신속대응팀 운영시간(월요일부터 금요일, 법정공휴일 제외,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동안 심정지로 인한 심폐소생술을 시행 받은 자로 2015년 7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기간 을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전자의무기록과 원내 심폐소생술 데이터 레지스트리를 토대로 자료 수집하여 일반적 특성, 심폐소생술 특성과 임상 결과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 Chi-square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심폐소생술을 받은 대상자의 만성 폐 질환은 운영 전 시기에 7명(20.6%), 제 한적 운영 시기는 6명(13.3%), 확대 운영 시기에는 1명(2.3%)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47, p=.033). 2. 심정지 초기 대응자는 운영 전 시기에 간호사 14명(41.2%), 의사 20명 (58.8%)이고 제한적 운영 시기는 간호사가 19명(42.2%), 의사는 26명(57.8%) 이며 확대 운영 시기에는 간호사가 34명(79.1%), 의사는 9명(20.9%)으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5.65, p<.001). 3. 심폐소생술 임상 결과의 차이에서 20분 이상 자발 순환이 유지된 환자는 운 영 전 시기에 23명(67.6%), 제한적 운영 시기에 34명(75.6%), 확대 운영 시 기에는 29명(67.4%)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0.88, p=.644). 4. 24시간 이상 생존은 운영 전 시기에 10명(29.4%), 제한적 운영 시기는 21명 (46.7%), 확대 운영 시기에는 18명(41.9%)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48, p=.290). 5. 퇴원 시 생존 여부는 운영 전 시기에 4명(11.8%), 제한적 운영 시기는 11명 (24.4%), 확대 운영 시기에는 8명(18.6%)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6.29, p=.042). 6. 신속대응팀 운영에 따른 심폐소생술 대상자의 임상 결과 중 퇴원 시 신경학적 회복는 운영 전 시기의 좋은 신경학적 회복은 1명(25.0%), 불량한 신경학적 회복은 3명(75.0%), 제한적 운영 시기의 좋은 신경학적 회복은 4명 (36.4%), 불량한 신경학적 회복은 7명(63.6%), 확대 운영 시기의 좋은 신경학적 회복은 7명(87.5%), 불량한 신경학적 회복은 1명(12.5%)으로 집단 간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29, p=.042). 본 연구를 통하여 신속대응팀이 운영됨에 따라 일반병동에서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 중 만성 폐 질환이 있는 환자가 감소하고, 심정지 시 간호사의 초기대응이 신속대응팀 운영 시기에 이전보다 증가하였으며 심폐소생술 후 좋은 신경학적 회복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신속대응팀은 병동에서 심폐소생술을 받는 환자의 동반 질환과 관련된 악화되는 요인을 미리 발견하고 감시 시스템을 적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이를 담당 의료진들과 공유하여 병원 내 심정지 수를 감소하고 심폐소생술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171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Nurs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