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김춘자 | - |
dc.contributor.author | 이지선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2:32:32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2:32:32Z | - |
dc.date.issued | 2021-02 | - |
dc.identifier.other | 30835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079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2021. 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환자안전문화인식, 의사소통능력, 임상의사결정능력의 정도와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S시에 소재한 일 상급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4일부터 9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은 이금옥(2009)이개발하고, 이유정(2011) 수정·보완한 환자안전관리활동 측정도구와 이순교(2015)의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은 Campbell 등(2013)이 개발하고 양희모등(2016)이 수정·보완한 의사소통 사정도구로 측정하였다. 임상의사결정능력은 Jenkins(1985)가 개발하고 백미경(2005)이 번안한 임상의사결정능력척도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 및 측정변수의 척도수준에 따라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목적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9.1세이며, 총 임상경력은 평균 6년이었고, 5년 미만의 경력간호사가 60.8%로 많았다. 환자안전문화캠페인 참여경험이 있는 경우는 16.1%로 참여경험 평균빈도는 1.3회이었다. 2. 주요변수들의 평균평점(5점 만점)은 환자안전관리활동 4.33±0.38점으로 높고, 환자안전문화인식 3.68±0.42점, 의사소통능력 3.55±0.42점, 임상의사결정능력 3.34±0.49점으로 중간수준으로 나타났다. 3.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환자안전문화인식(r=.59, p<.001), 의사소통능력(r=.45, p<.001), 임상의사결정능력(r=.42,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 중 연령(p=.003), 총 임상경력(p=.005), 환자안전문화캠페인 참여경험(p=.004)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4.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환자안전문화인식(β=.63, p<.001, △R2=.269), 의사소통능력(β=.18, p=.007, △R2=.062), 임상의사결정능력(β=.16, p=0.45, △R2=.037)순으로 나타났다. 연령, 총 임상경력, 환자안전문화캠페인 참여경험을 통제한 후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의 최종모형에 대한 총 설명력은 48.8%로 나타났다(R²=.488, Adjusted. R²=.472, F=18.27, p<.001). 본 연구를 통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환자안전문화인식이 26.9%로 설명력이 높았고,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의사결정능력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 전략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간호사 개인차원과 함께 조직의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7 A.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7 B.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9 1. 환자안전문화인식 9 2. 의사소통능력 11 3. 임상의사결정능력 13 Ⅲ. 연구방법 15 A. 연구설계 15 B. 연구대상자 15 C. 연구도구 16 D.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18 E. 윤리적 고려 18 F. 자료분석방법 19 Ⅳ. 연구결과 20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 B.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영향요인의 정도 22 C.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27 D.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영향요인 간의 관계 29 E.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31 Ⅴ. 논의 34 Ⅵ. 결론 및 제언 42 참고문헌 44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 - |
dc.title.alternative |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Care Service Wards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isun Lee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 |
dc.date.awarded | 2021.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1203493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0835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0835 | - |
dc.subject.keyword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 - |
dc.subject.keyword | 의사소통능력 | - |
dc.subject.keyword | 임상의사결정능력 | - |
dc.subject.keyword | 환자안전관리활동 | - |
dc.subject.keyword | 환자안전문화인식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communication competenc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and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care service wards. We recruited 143 nurses who worked at least three months in the comprehensive care service ward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uwon, Kore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4 to 18, 2020. We used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cale developed by Lee(2009) and modified by Lee(2011),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Scale developed by Lee(2015), Health Communication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Campbell (2013) and translated to Korean by Lee(2015), and Clinical Decision-Making Scale developed by Jenkins(1985) and translated to Korean by Baek(2005).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5.0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were 4.33 points (out of 5), 3.68 points (out of 5), 3.55 points (out of 5), and 3.34 points (out of 5), respectively. We obser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depending on age, total clinical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atient safety culture campaigns. Second, we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r=.59, p<.001), communication skills (r=.45, p <.001),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r=.42,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ird,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β=.63, p<.001, △R2=.269), communication competence (β=.18, p=.007, △R2=.062),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β=.16, p=.045, △R2=.037). The total explanatory variance was 48.8% (R²=.488, adjusted R²=.472, p<.001).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Thus, based on our results, we suggest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ducation programs that focus on improving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in nurses in comprehensive care service wards, to strengthe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