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자기평가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신강현 | - |
dc.contributor.author | 김종훈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2:32:25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2:32:25Z | - |
dc.date.issued | 2020-08 | - |
dc.identifier.other | 30184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946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2020.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직무열의에 대한 핵심자기평가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핵심자기평가와 직무열의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차 변인으로써 핵심자기평가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특성 활성화 이론과 조절적 적합성 이론을 기초로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중 어떤 리더십 유형이 핵심자기평가와 관련된 상황적 단서로 작용하여 직무열의를 향상시키는지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해 국내의 중공업 계열 대기업 종사자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8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자기평가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력은 유의미하였다. 둘째,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 검증 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핵심자기평가와 직무열의의 정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거래적 리더십은 핵심자기평가와 직무열의의 관계에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1. 핵심자기평가 5 1) 핵심자기평가의 개념과 구성요소 5 2) 핵심자기평가와 접근/회피동기, 조절초점이론의 관계 9 2. 직무열의 11 1) 직무열의의 개념과 구성요소 11 2) 핵심자기평가와 직무열의의 관계 13 3. 조절적 적합성 이론 15 4. 특성 활성화 이론 16 5.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19 1) 변혁적 리더십의 개념과 구성요소 19 2) 거래적 리더십의 개념과 구성요소 21 3)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23 Ⅲ. 연구방법 28 1. 연구대상 및 절차 28 2. 측정 도구 28 3. 분석 방법 30 Ⅳ. 연구결과 31 1. 연구 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31 2. 측정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신뢰도 및 변인 간 상관 33 3. 가설검증 34 1) 직무열의에 대한 핵심자기평가의 주효과 34 2) 핵심자기평가와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35 3) 핵심자기평가와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37 Ⅴ. 결론 및 논의 38 참고문헌 42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핵심자기평가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 |
dc.title.alternative | JongHoon Kim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ongHoon Kim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 |
dc.date.awarded | 2020.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1151866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0184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0184 | - |
dc.subject.keyword | 거래적 리더십 | - |
dc.subject.keyword | 변혁적 리더십 | - |
dc.subject.keyword | 조절적 적합성 이론 | - |
dc.subject.keyword | 직무열의 | - |
dc.subject.keyword | 특성 활성화 이론 | - |
dc.subject.keyword | 핵심자기평가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the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on work engagement and to investigate wheth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 and work engagement.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on work engagement was significant as an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 and that which type of the leadership(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 transactional leadership) acts as a situational cue related to core self-evaluation and can enhance work engagement. In order to collect data, a survey was conducted of 192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major company affiliated with heavy industries in Korea and 180 of them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on work engagement was significant. Second,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wed moderating effect(enhancing)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 and work engagement. Third, transactional leadership not showed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 and work eng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 - |
dc.title.subtitle |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