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작 고소설에 나타난 결연 양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광국-
dc.contributor.author하동희-
dc.date.accessioned2018-10-16T02:10:26Z-
dc.date.available2018-10-16T02:10:26Z-
dc.date.issued2010-08-
dc.identifier.other11112-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93-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2010. 8-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1910년대 신작 고소설의 결연 양상을 중매혼과 연애혼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고찰하였다. 신작 고소설은 고소설의 시대가 끝난 1910년대에 여전히 등장하여 많은 인기를 얻었고, 새로운 연애 중시의 시대가 시작되었지만 고소설의 전형적인 결연 형태를 유지하였다. 이는 고소설과는 다른 의미로 존재하는 신작 고소설의 결연 양상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소설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먼저 신작 고소설 중 애정소설 11작품의 결연 양상을 중매혼과 연애혼의 방법으로 유형을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작 고소설을 중매혼 유형으로 분석할 때, 양가 부모에 의한 결연과 한 집안에 의한 결연으로 나누었다. 양가 부모에 의한 결연이 나타난 작품으로는 <소양정>, <미인도>, <금옥연>이다. 한 집안에 의한 결연이 나타난 작품은 <난봉기합>, <부용헌>이다. 신작 고소설을 연애혼 유형으로 분석할 때, 남성의 풍류와 여성의 애정에 의한 결연이 나타난 작품은 <청년회심곡>,<이화몽>,<약산동대>,<부용상사곡>이다. 남녀의 애정에 의한 결연에 해당되는 작품은 <채봉감별곡>,<영산홍>이 해당된다. 본고에서는 신작 고소설의 결연 구조를 만남과 이별의 원인 → 수난의 원인과 과정 → 극복과 결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각 단계에서의 의미를 추출하여 그 결연 양상을 정리하였다. 신작 고소설 장르가 지속적으로 창작되고 출간될 수 있었던 1910년대 사회적 배경으로 첫째, 출판 형태의 변화로 인한 독자층의 저변 확대 둘째, 일제의 검열과 이에 따른 서적상의 상업적 이익 추구 경향과 작가층의 창작 태도를 들 수 있다. 신작 고소설은 1910년대 식민지 시대 아래 탄생된 새로운 형태의 고전 소설이다. 1910년대의 신작 고소설은 다양한 독자층을 확보했으며 놀라울 정도로 많이 팔렸다. 그리고 신소설과 신작 고소설을 거의 동시에 출간했던 출판사의 사정을 고려하여 신작 고소설에 나타난 결연의 소설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 적절하다. 신작 고소설에 나타난 결연의 양상은 대체로 중매혼과 연애혼이다. 그런데 연애혼 유형 중, 기녀와 풍류 남성의 결연이 나타난 신작 고소설의 경우 <춘향전>과 유사한 형태의 모티브가 자주 등장한다. 예를 들면, 암행어사 출도 부분, 탐관오리의 기녀 수탈, 그리고 남녀 주인공의 재결연, 행복한 결말 등이다. 이는 당시 신작 고소설이 고전소설과 확연히 구분되지 않는 상태에서 출판되었던 상황이 반영된 것이다. 즉 신작 고소설의 출현은 당시 독자층을 고려한 출판 양상이고, 대체로 사회적이고 현실 반영적인 문제를 핍진하게 담아내기에는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신작 고소설의 결연 양상 분석을 바탕으로 신작 고소설의 성격은 대체로 고전소설의 서사 방식 답습과 복고성의 측면과 새로운 의식이 나타난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리고 고전 소설의 서사 방식 답습과 복고성은 열의식, 일부이처, 선악 대결의 양상으로 세분화할 수 있었다. 신작 고소설과 <무정>의 컨텍스트성을 고찰하면 유사한 서사 구도가 나타난다. <무정>은 신작 고소설이 이루어 놓은 서사 방식을 수용하되 새롭게 창조된 소설로 볼 수 있다. 신작 고소설의 여성들이 전통적인 열녀와 숙녀 기생의 양상을 통해 결연을 추구하는 데 비해, 선형과 영채는 형식과 유학을 통해 새로운 시대의 여성상의 변화를 모색한다. 또한 신작 고소설의 여성의 경우 대체로 자기가 남성을 선택하여 주체적으로 애정을 추구하여 그 애정의 관계는 개인 간의 문제로 한정된 면이 있다. 반면 <무정>의 형식과 선형, 영채는 새로운 시대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 간의 문제 상황을 벗어나려고 했다. 신작 고소설이 당시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하여 유행했으며 신소설이나 <무정>에도 일정 정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신작 고소설의 존재는 고전 문학과 현대 문학의 단절론적 시각을 극복해줄 수 있는 교량(橋梁)이 될 수 있다. <무정>은 신작 고소설이 이루어 놓은 서사 방식을 수용하되, 새롭게 창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무정>의 주제나 서사 구조가 신작 고소설의 전반적인 혼인 형태인 연애혼과 중매혼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신작 고소설은 신소설이 등장하자 바로 자취를 감춘 것이 아니라 신소설과 공존하면서 광범위한 독자층을 확보했다. 고전 소설의 창작이 끝나고 바로 신소설이 창작된 것이 아니라 신작 고소설의 형태로 새롭게 신작이 이루어졌다. 신작 고소설은 고소설의 시대가 끝난 1910년대에 여전히 고전 소설의 형태를 보여준다. 또한 1910년대라는 새로운 연애 부흥의 시대가 시작되었지만 여전히 고전 소설의 결연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고전 소설 독자층의 수요가 여전히 많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 대상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5 Ⅱ. 신작 고소설의 결연 유형 13 1. 중매혼 유형 16 1) 양가 부모에 의한 결연 16 2) 한 집안에 의한 결연 17 2. 연애혼 유형 18 1) 남성의 풍류와 여성의 애정에 의한 결연 19 2) 남녀의 애정에 의한 결연 20 Ⅲ. 중매혼 유형의 분석 21 1. 양가 부모에 의한 결연 21 1) 만남과 이별의 원인 21 2) 수난의 원인과 과정 26 3) 극복과 결연 30 2. 한 집안에 의한 결연 33 1) 만남과 이별의 원인 33 2) 수난의 원인과 과정 37 3) 극복과 결연 39 Ⅳ. 연애혼 유형의 분석 42 1. 남성의 풍류와 여성의 애정에 의한 결연 42 1) 만남과 이별의 원인 42 2) 수난의 원인과 과정 52 3) 극복과 결연 58 2. 남녀의 애정에 의한 결연 63 1) 만남과 이별의 원인 64 2) 수난의 원인과 과정 68 3) 극복과 결연 71 Ⅴ.신작 고소설에 나타난 결연의 소설사적 의미 75 1. 1910년대 신작 고소설 출현의 사회적 배경 75 2. 남녀 결연의 소설사적 흐름과 의미 83 Ⅵ. 결론 98 참고문헌 107 영문초록 113-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신작 고소설에 나타난 결연 양상 연구-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 Dong-Hee-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0.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8658-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112-
dc.subject.keyword신작-
dc.subject.keyword고소설-
dc.subject.keyword연구-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is study contemplated the aspect of marriage of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in the 1910s by using a method of study of arranged marriage and love marriage.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appeared in the 1910s when the time of old novel was over and became popular and although a new time of taking a serious view of love started, it maintained the typical form of marriage of old novels. I thought it was meaningful to analyze the meaning of marriage of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which is different from it of old novels and this is why I started this study. First of all, the 11 romance novels of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are classified into 2 kinds of marriage, arranged marriage and love marriage. The types of arranged marriage are divided into marriage by parents from both families and marriage by a family. The former include the works such as 「Soyangjung」, 「Miindo」,「Geumokyon」. The latter include the works such as 「Nanbongkihap」,「Buyonghyeon」 The types of love marriage are divided into marriage by men's appreciation for the arts and women's love and marriage by men and women's love. The former include the work such as 「Cheongnyeonhoesimgog」, 「Ihwamong」, 「Yaksandongdae」, 「Buyongsangsagog」And the latter include the works such as 「Chaebongganbyeolgog」,「Yeonsanhong」 The structure of marriage can be analyzed like this : the cause of meeting and parting → the cause and process of ordeal → overcoming and marriage. In the 1910s when genre of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were written and were flourish, the historic and social peculiarities were like these : First, the expansion of a readership by the change of method of publication, Second ,Japanese inspection and the pursuit for commercial profits on books, Third, the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writers' consciousness about the aspects of marriage.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are new type of old novels which was made in 1910s when love is considered important.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in the 1910s procured various classes of readers and sold well. And it is proper to contemplate the fictitious meaning in the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considering the publication company reason which issued the new novels and the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almost at the same time.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show aspects of relationship which were arranged marriage and love marriage generally. But among the types of love marriage, the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which represent the marriage between a gisaeng and a man of refined taste have similar story like「Chunhyangjeon」. For example, there were secret royal inspector's appearing part, Greedy Master's gisaeng exploitation and relationship of protagonists. It presents that the rewritten classical old novels were published in an indistinguishable state compared with the old novels at that time. This is a publishing pattern considering readers at that time, and it shows a basical limit that can't include popular and social problems. The type of marriage of Hyeongsik and Yeongchae in 「Mujeong」 is arranged marriage by their parents and the type of marriage with Seonyeong was mixed with love marriage. The marriage of Hyeongsik and Yeongchae is a love marriage which premises free will and pursuit of love but that marriage was led by Seonyeong's father so strikingly speaking it may be a marriage by a family along the type of arranged marriage. In a mixed phase of types of marriage, Hyeongsik freed himself from the traditional way of marriage, bigamy and chose his lover by himself. Women in the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seek love through the aspect of faithful women or gisaeng but Seonhyeong and Yeongchae pursue the change of model women figure of new time through study abroad. In addition, the women in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select men by themselves and seek love actively and the relationship is limited as personal matter. On the other hand, Hyeongsik, Seonhyeong and Yeongchae try to escape the situation of private matter to solve the new contemporary issues.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didn't disappear as soon as the New novels appear, rather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coexisted with new novels and procured a lot of readership. New novels were created at once, after the creation of old novels ended it was made and remade in the form of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Rewritten classical Korean novels still showed the form of old novels in the 1910s when the time of old novels ends and the type of marriage of old novels although the new time of love started, and this shows there were a lot of demand of readership of old novels.-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