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김은정 | - |
dc.contributor.author | 동은수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2:32:22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2:32:22Z | - |
dc.date.issued | 2020-08 | - |
dc.identifier.other | 30321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885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2020.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와 자기초점적 주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220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실제-의무 자기불일치, 자기초점적 주의, 사회불안 증상을 설문 측정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 부적응적 자기 초점적주의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둘째로, 실제-의무 자기불일치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연속 매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1. 연구 변인 5 1) 사회불안 5 2)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6 3) 실제-의무 자기불일치 8 4) 자기초점적 주의 10 2. 각 변인들 간의 관계 12 1)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12 2)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 13 3)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실제-의무 자기불일치 13 4)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와 자기초점주의 15 5)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 15 6)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초점주의 16 Ⅲ. 연구 목적 및 가설 18 1. 연구 목적 18 2. 연구 가설 20 3. 연구 모형 21 Ⅳ. 연구 방법 22 1. 연구 대상 및 절차 22 2. 측정 도구 22 3. 분석 방법 24 Ⅴ. 연구 결과 25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5 2. 측정모형 검증 27 3. 구조모형 검증 29 4. 매개효과 검증 32 Ⅵ. 논의 34 참고 문헌 38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 |
dc.title.alternative | The Effects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Social Anxiety: Mediation effects of Actual-Ought Self-Discrepancy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Dong Eun Soo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 |
dc.date.awarded | 2020.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1151803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0321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0321 | - |
dc.subject.keyword |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 - |
dc.subject.keyword | 사회불안 | - |
dc.subject.keyword | 실제의무 자기불일치 | - |
dc.subject.keyword | 자기초점적 주의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actual-ought self-discrepancy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amo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Subjects were 220 adults who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 questionnaires to assess actual-ought self discrepanc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2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Second, actual-ought self discrepancy h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actual-ought self discrepancy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Based on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 |
dc.title.subtitle |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와 자기초점적 주의의 매개효과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