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상황학습경험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최운실 | - |
dc.contributor.author | 정희선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2:32:21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2:32:21Z | - |
dc.date.issued | 2020-08 | - |
dc.identifier.other | 30225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872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2020.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음악을 매개로 한 문화예술실천공동체 ‘뮤직코이노니아’ 구성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문화예술 활동을 통한 상황학습 경험은 어떠한 특징과 양상을 나타내는지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개별화된 개인들이 단순한 문화향유가 아닌 공동의 협동작업과 공동학습으로 이루어지는 음악공연이라는 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공동체성 회복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음악이라는 공동의 관심사를 가진 개별적인 구성원들의 공동학습과 협동작업이 전제된 음악 활동과정을 통해서 드러나는 상황학습 경험은 어떠한 독특한 특징과 양상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탐구는 의미가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화예술실천공동체 ‘뮤직코이노니아’에서 학습에 참여하거나 활동하고 있는 구성원들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참여자들을 있는 그대로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이 문화예술실천공동체 ‘뮤직코이노니아’ 활동에 참여한 학습맥락은 네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먼저 음악 활동을 하고 싶었지만, 전문성과 높은 학습비용, 인근 지역의 학습처 부재에 따른 심리적, 환경적 진입장벽이 완충되면서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된 경우이다. 다음은, 오래전 음악학습에 참여한 긍정적 경험을 바탕으로 음악학습에 대한 지속적 갈망을 실현하기 위해 참여하게 된 경우이다. 다음은 공동체에서 활동가로서 살아가며 자기발전을 위해서 참여한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로서 활동을 권유받아 참여한 경우이다. 구성원들은 각각의 다른 참여 맥락을 가지고 있으나, 함께 공동의 목표인 공연을 만들어가는 일련의 활동을 통하여 상호작용과 상황학습을 경험하면서 지속해서 활동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구성원들의 문화예술실천공동체 ‘뮤직코이노니아’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활동 양상은 음악학습을 통해 구성원들은 환희, 희열, 성취감, 기쁨, 흥분, 감동, 신선함, 조화, 아름다움, 소속감, 자신감, 뭉클함, 교감을 보였다. 먼저 합주와 공연이라는 협동학습과 공동 작업을 통해 구성원들은 공동의 목표에 대한 공감대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또한, 음악으로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 음악을 가르치고 배우며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서로를 공감하고 문화를 공유하면서 공동의 경험을 만들고 음악을 소통의 창구로 이용하고 있었다. 학습이라는 상황 속에서 학습의 사회화를 이루고 있었으며, 신뢰를 바탕으로 새로운 상황학습을 경험하며 서로의 능력을 체험하고 도와가며 노력하면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다. 그리고, 갈등 상황을 맞이하여 각자의 갈등을 스스로 또는 소통을 통하여 해결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 구성원들은 음악학습에 참여하면서 성장하고 있었으며, 음악 활동으로 각자가 느끼고 깨닫는 경험에서 오는 음악적 효능감과 성찰 과정을 통해 공동체 안에서 구성원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싶은 공동의 목표를 위해 학습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개인적 차원에서 시작한 학습이 함께 활동하면서 상호관계적 차원으로 변하였으며, 함께 학습을 실천하는 공동체적 차원으로 변해가고 있었다. 셋째, 구성원들의 상황학습 경험은 긍정적이며 삶의 관점이 넓어지는 변화와 연대를 통해 자신감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성장하고 자신의 삶에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또한, 호혜적 관계 맺음을 통하여 유대감과 소속감, 연대의식 등이 형성되고 있었다. 공동체 구성원들은 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꿈을 넘어 구성원들은 공동의 작업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원들과 만남이라는 외부환경을 만드는 상황 속에서 함께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며 노력하였으며, 상황화 된 사회적 실천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들과 함께 진화하는 역동성을 보이며 학습 과정에서의 발생하는 변화에 적응하며 구성원들과 선순환을 하며 음악학습을 통해 공동체성을 회복하고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문화예술실천공동체 ‘뮤직코이노니아’ 구성원들의 상황학습 경험을 분석한 본 연구는 개별화된 개인이 공동 작업을 전제로 하는 음악 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황학습 경험을 통해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수단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서로 간의 다름, 세대 간의 다름이 갈등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가 가지고 있는 경험과 지식, 지혜를 통해 다른 구성원들과 호혜적 관계 맺음이 일어나는 것 또한 의미가 있다. 구성원들은 음악이라는 끈으로 묶여 함께 문화예술 활동을 일상에서 경험하면서 자아실현과 음악의 효능감을 통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새롭게 구성하고 능동적 학습자로 성장하며 평생교육을 실천하고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것에 본연구의 의미를 갖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실천학습공동체 ‘뮤코’는 사람이나 사물이 있는 장소나 인간의 활동이 행해지는 물리적인 학습장소로만이 아닌 문화예술실천공동체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의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고 구성원 간의 관계맺음이 이루어지는 상호적 역할을 하는 비물리적 무형의 공간으로 구성원들의 정서적, 심리적 공간이 되는 것에 의의를 갖고자 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문화예술실천공동체 7 가. 학습공동체 7 나. 실천공동체 9 다. 문화예술실천공동체 20 2. 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상황학습 경험 26 가. 상황학습 이론 26 나. 상황학습의 주요개념 34 다. 상황학습에서의 공진화 37 Ⅲ. 연구방법 40 1. 질적 사례연구 40 2. 연구 사례 : 문화예술실천공동체 '뮤직코이노니아' 42 3. 연구참여자 48 4. 자료수집 및 분석 62 가. 자료 수집 62 나. 자료 분석 65 5.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 확보 66 Ⅳ. 연구 사례 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참여 맥락 68 1. 연구 사례 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활동맥락 69 가. 가벼운 여행을 준비하다: leggiero(레지에로: 가볍게) 70 나. 즐겁게 함께할 친구를 만나다: agiato(아지아토: 즐겁게) 75 다. 성실하게 오아시스를 찾다: serioso(씨리오조: 성실하게) 81 2. 연구 사례 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활동 양상 90 가. 애정을 가지고 사막을 여행하다: con amore(콘 아모레: 애정을 가지고) 90 나. 여행을 함께할 친구를 만나다: armonioso(아리모니오조: 조화 있게) 95 다. 고요하고 침착하게 다름을 어울림으로 바꾸다: tranquillo(트란퀼로: 고요하고 침착하게) 100 라. 생기 있고 활기찬 새로운 여행을 꿈꾸다: brioso(브리오조: 생기 있고 활기차게) 104 마. 여행의 감미로움을 느끼다: delizioso(드리치오즈: 감미롭게) 111 3. 연구 사례 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활동에 나타난 상황학습경험 116 가. 새롭게 활발한 여행을 떠나다: mosso(모쏘: 활발하게) 117 나. 여행길에 친구들의 새로운 표정을 보다: espressivo(에스프레시브: 표정을 풍부하게) 122 다. 여행의 문화를 노래하듯이 배우다: arioso(아리오조: 노래하듯이) 129 Ⅴ. 논의 및 결론 142 1. 논의 142 2. 결론 147 3. 후속연구 제언 153 참고문헌 155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문화예술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상황학습경험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eong HeeSeo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 - |
dc.date.awarded | 2020.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1151790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0225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0225 | - |
dc.subject.keyword | 공동학습 | - |
dc.subject.keyword | 공진화 | - |
dc.subject.keyword | 문화예술실천학습공동체 | - |
dc.subject.keyword | 문화예술활동 | - |
dc.subject.keyword | 상호작용 | - |
dc.subject.keyword | 상황이론 | - |
dc.subject.keyword | 상황학습경험 | - |
dc.subject.keyword | 학습의 사회화 | - |
dc.subject.keyword | 호혜적 관계 맺음 | - |
dc.title.subtitle | '뮤직코이노니아’ 사례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