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적응유연성에 관한 연구 : 상실경험과 자아통합감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규미-
dc.contributor.author정미경-
dc.date.accessioned2018-10-16T02:09:33Z-
dc.date.available2018-10-16T02:09:33Z-
dc.date.issued2010-08-
dc.identifier.other10965-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85-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2010. 8-
dc.description.abstract최근에는 노인의 문제 중심적인 측면보다는 문제 예방적인 측면이나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내적 외적 자원, 그리고 긍정적인 현상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부정적인 경험 및 심리적 상태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으로 적응하는 능력으로서의 적응유연성에 대한 연구는 노인에게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잠재적인 힘과 성장능력의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본 연구는 노년기 적응유연성 연구에 관심을 갖고 노인의 적응유연성을 ‘부정적인 경험을 보호변인들이 중재하여 노년기의 발달적 과업을 이루어 나가도록 돕는 과정’으로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이에 따라 먼저 노년기 대표적인 부정적 경험 즉, 상실경험과 대표적인 발달과업 즉, 자아통합감 수준에 따라 노년기 적응을 군집화하고 어떤 적응유연성 관련변인들이 영향력 있게 군집을 잘 판별해주는지 파악하였다. 그리고 판별된 적응유연성 관련변인들의 수준에 따라 상실경험에 대한 자아통합감의 결과가 달라지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60세 이상 245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표집하였으며 이들은 비교적 학력수준이 높고 사회활동을 활발히 하는 노인이 대부분이었다. 적응유연성 관련변인은 인지적, 정서적, 의지적, 영적, 사회적 차원의 다차원적 변인들이 포함된 개인변인들(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실존적 영성, 종교적 영성, 낙관주의, 내외통제성)과 환경변인들(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 사회적 활동)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교차분석, 상관분석, ANOVA, 군집분석, 단계적 판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실경험과 자아통합감 수준에 따른 노년기 적응은 4개로 군집화 되었으며 이를 ‘위기집단’, ‘취약집단’, ‘안정집단’, ‘극복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군집을 타당하게 판별해 주는 적응유연성 관련변인은 낙관주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실존적 영성, 정서적지지로 나타났다. 셋째, 판별된 적응유연성 관련변인, 즉 낙관주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실존적 영성, 그리고 정서적지지의 수준에 따라 상실경험에 대한 자아통합감의 결과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즉 판별된 적응유연성 관련변인들이 높을수록 상실경험에서 오는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할 뿐만 아니라 상실경험이 증가할수록 자아통합감은 오히려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적응유연성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였고 부정적인 경험에서도 긍정적으로 적응하는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적응유연성 관련변인들을 파악하고, 그 변인들의 중재 역할을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특히 중재역할을 하는 적응유연성 관련변인들은 높은 부정적인 경험에서 더욱 긍정적인 적응을 가능하게 해주는 변인임을 입증하였다는 것이다. 이 같은 적응유연성 관련변인들의 역할은 노인들이 노년기를 긍정적으로 적응하여 발달적 과업을 이루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노인상담과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핵심요소가 무엇이어야 할지 그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또한 본 연구는 앞으로 노인들의 적응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관련 변인들을 탐색하는 가운데 적응유연성이라는 구성개념을 보다 구체화시켜 나가는 이론적 발전 과정에 도움이 되는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5 II. 이론적 배경 1. 노년기 적응유연성 6 1) 적응유연성의 개념 6 2)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개념 10 3) 연구동향 및 선행연구 13 4) 이론적 접근방법 18 2. 노년기 발달적 상황 및 긍정적 적응 21 1) 노년기의 발달적 특징 21 2) 노년기의 상실경험과 상실감 24 3) 노년기의 긍정적 적응 : 자아통합감 28 3. 노년기 적응유연성 관련변인들 32 I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50 2. 연구도구 52 3. 자료분석 56 IV. 연구결과 1. 측정변인들의 기술통계치 57 2. 노년기 적응수준에 따른 군집분석 58 3. 군집 간 인구사회학적 변인 및 적응유연성 관련변인에 따른 특징 61 4. 군집을 판별하는 적응유연성 관련변인 65 5. 판별된 적응유연성 관련변인의 중재효과 75 V. 결론 및 논의 1. 결론 81 2. 논의 83 참고문헌 96 부록 125-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노년기 적응유연성에 관한 연구 : 상실경험과 자아통합감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Resilience of Old Age : On the Focus of Loss Experience and Ego-integrity-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Mi-Kyung-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0.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8634-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965-
dc.subject.keyword노인-
dc.subject.keyword적응유연성 관련변인-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Recently, more and more studies have been focusing on methods for preventing problems,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and positive phenomena related to elderly rather than on problems of the elderly. Resilience, which is the ability to positive adapt to life as a elderly despite negative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presents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ariables related to resilience that affect the capability of elderly for positive adaptation, for overcoming negative experience such as a loss experience, and for reaching a state of ego-integrity. In addition, the study aim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loss experience and ego-integrity. The subjects were 245 elderly aged 60 or above, most of whom were socially active with comparatively high education levels. To data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OVA,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Cluste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as employed. Seven individual variables related to resilience(physical self-efficac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existential spirituality, religious spirituality, optimism,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five environmental variables related to resilience(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social activity) were us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were cluster into overcome group, crisis group, stable group and vulnerable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loss experience and ego-integrity. Second, optimism, physical self-efficacy, existential spirituality and motional support were seen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discriminating the resilience of elderly. Third, optimism and emotional support were observed to moderate between a relationship-loss experience and ego-integrity. Emotional support were observed to moderate between a economic-loss experience and ego-integrity. Physical self-efficacy was observed to moderate between a role-loss experience and ego-integrity. Optimism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was observed to moderate between a bereavement-loss experience and ego-integrity. That is, the ego-integrity became higher as the variables related to resilience were increa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ed the range of research on resilience, and demonstrated since high variables related to resilience contributed to high ego-integrity even in the same loss experience. This study has presented a basic material to identify a method for evaluating the standard of the variables related to resilience and activate them for the positive adaption of elderly to highly dangerous situations. Therefore, it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and activating of the elderly counseling or education programs. Using these variables related to resilience will also help elderly maintain a more positive attitude with confidence and successfully adapt to their elderly years.-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