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외상환자의 특성과 예후관련 인자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윤환 | - |
dc.contributor.author | 백숙자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2:32:20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2:32:20Z | - |
dc.date.issued | 2020-08 | - |
dc.identifier.other | 30075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858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2020.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노인 외상환자의 특성 및 사망과 관련된 예후 인자를 분석하는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2016년 3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경기도 소재 1개의 대학병원에 내원한 19세 이상의 외상환자 3,731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일반적 특성과 손상관련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후 1:1 성향점수 매칭기법(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을 통해 새로운 대상자 1,586명(비노인군;793명, 노인군;793명)을 선정하여 임상적 치료결과를 비교·분석하고 외상과 관련된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25.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카이검정, Mann-Whitney U 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의 분석결과 노인군에서 비노인군에 비해 전원비율이 더 높고,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하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손상관련 특성의 분석결과 사고발생 장소는 두 군 모두 도로에서 사고 발생이 1순위로 나타났으며, 노인군에서 가정 및 숙박시설에서의 사고 발생이 비노인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손상기전은 노인군에서는 미끄러짐(40.9%)이 1순위였고, 비노인군에서는 교통사고(52.0%)가 1순위로 나타났다. 손상유형은 둔상으로 인한 손상이 90%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손상중증도별로 분류하였을 때, 비노인군과 비교하여 노인군에서 경·중등도 손상이 62.1%(742명)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선행 연구들에서 외상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된 성별, 손상중증도점수(Injury Severity Score, ISS), 내원시 수축기 혈압, 내원시 GCS와 손상기전, 손상유형 변수를 성향점수매칭 기법을 통해 중증도를 보정한 후, 노인군과 비노인군 두 군간의 임상적 치료결과(병원 재원기간, 중환자실 재원기간, 인공호흡기 사용일수, 병원내 사망률)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노인군의 병원내 사망률이 13.6%(108/793)로 비노인군의 병원내 사망률 5.9%(47/793)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Kaplan-Meier 생존분석을 통해 두 군의 30일, 90일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노인군에서 비노인군에 비해 30일, 90일 생존율이 모두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병원 재원기간 및 중환자실 재원기간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외상으로 인한 사망 위험에 대한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군, 성별(남자), ISS, 내원시 GCS 변수가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p<0.05). 비노인군에 비해 노인군의 사망 위험도(오즈비)가 2.85배(95% CI:1.88-4.32)로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에 비해 남성의 사망 위험도는 1.63배(95% CI:1.03-2.60)로 높게 나타났다. ISS는 1점 증가 할 때마다 사망 위험도가 1.07배(95% CI:1.05-1.10) 증가하였으며, 내원시 GCS점수가 1점 증가 할 때마다 사망 위험도는 0.82배(95% CI:0.78-0.8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과 관련된 사망 위험 인자 분석에서 내원시 수축기 혈압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898). 본 연구결과 노인군에서는 비노인군과 비교하여 경미한 손상기전으로 인한 사고발생이 많았으나 성향점수매칭 전·후 모두 노인군의 병원내 사망률이 비노인군의 병원내 사망률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또한 외상으로 인한 사망과 관련된 요인 중 노인군 성별(남자), ISS, 내원시 GCS 변수가 중요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p<0.05 ). 노인 외상환자는 경미한 사고에도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노인에게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속적인 교육 시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ISS가 동일한 비노인군 환자와 비교하여 노인 외상환자의 사망률이 더 높게 나타나 병원 전 이송단계에서부터 ISS가 높은 노인 외상환자를 적극적으로 분류하여 적절히 치료할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 이송하고, 병원단계에서는 신속하고 적극적인 치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Ⅱ. 문헌고찰 4 1. 노인외상의 특성 4 2. 노인외상의 치료결과 8 Ⅲ. 연구대상 및 방법 10 1. 연구설계 10 2. 연구대상자 및 자료수집 방법 11 3. 연구에 사용된 변수 11 4. 통계분석방법 12 Ⅳ. 연구결과 14 Ⅴ. 고찰 24 Ⅵ. 결론 및 제언 29 참고문헌 31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노인 외상환자의 특성과 예후관련 인자 | - |
dc.title.alternative | Suk-ja Baek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uk-ja Baek | - |
dc.contributor.department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 |
dc.date.awarded | 2020.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1151775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0075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0075 | - |
dc.subject.keyword | ISS | - |
dc.subject.keyword | 노인외상 | - |
dc.subject.keyword | 성향점수매칭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stud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eriatric trauma patients and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death. From March 2016 to December 2018, 3731 trauma patients over 19 years old who visited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do are selected as subjects of study. These subjects were analyz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amage-related characteristics. Afterwards, 1586 new subjects (non-geriatric trauma patients: 793, geriatric trauma patients: 793) are selected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linical treatment results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rauma-related death. IBM SPSS 25.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chi test, Mann-Whitney U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analyz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geriatric subjects showed higher transfer rate and higher ratio of visiting emergency medical center than the non-geriatric subjects and this resul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amage-related characteristics, road is the primary site of accident for both groups of subjects while accidents in homes and lodging facilities are more frequent among the geriatric subjects than the non-geriatric subjects. In the mechanism of injury, the primary cause of injury for the geriatric subjects is slipping (40.9%) while traffic accidents (52.0%) is the primary cause of injury for non-geriatric subjects. For injury type, more than 90% of the damage was caused by blunt injury. When classified by the severity of injury, the geriatric group shows a high percentage of 62.1% (742 people) for light and moderate damage when compared to the non-geriatric group an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After the severity was corrected, the clinical treatment results (Hospital LOS, ICU LOS, Ventilator days , and In-hospital mortality) between the geriatric group and non-geriatric group were compared. The in-hospital mortality rate was higher in the geriatric group(13.6%) than in the non-geriatric group(5.9%)(p<0.001).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30-day and 90-day survival rates of two groups through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both 30-day and 90-day survival rates are lower in the geriatric group than the non-geriatric group,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The hospital stay and intensive care unit stay length a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risk of death due to trauma, the geriatric group, gender (male), ISS, and GCS variables at visit are significant predictors (p<0.05). The mortality risk (OR) for the geriatric group is shown 2.85 times (95% CI: 1.88-4.32) higher than the non-geriatric group, and mortality risk for male is 1.63 times (95% CI: 1.03-2.60) higher than female. For every 1 point increase of ISS, the mortality risk increased 1.07 times (95% CI:1.05-1.10) and for every 1 point increase of GCS at visit, the mortality risk decreased 0.82 times (95% CI:0.78-0.86). In the analysis of trauma-related mortality risk factors, the systolic blood pressure (SBP)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p=0.898).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geriatric trauma patients can have serious consequences even in minor accidents, and their age itself could be a risk factor associated with trauma death.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and to prevent accidents for geriatric population and for this, continuous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s needed. Moreover, when compared to non-geriatric trauma patients with the same ISS, the mortality rate for geriatric patients is higher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ctively classify geriatric patients with high ISS from the pre-hospital transfer stage and transfer them to a medical institution with proper treatment. During the hospital stage, the treatment should be prompt and activ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