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나타나는 '삶'과 '죽음'에 관한 은유 표현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재연-
dc.contributor.authorHAN JING-
dc.date.accessioned2022-11-29T02:31:56Z-
dc.date.available2022-11-29T02:31:56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20289-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418-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2015. 8-
dc.description.abstract전통적인 관점에서 은유는 언어적인 현상으로 즉 은유를 수사학적 장식 또는 시적 효과를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일탈한 비정상적인 언어용법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일상 언어생활에서 우리는 의식적으로 무의식적으로 수많은 은유를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은유는 오랫동안 철학과 문학의 대상이었다가 은유를 사고와 행위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보게 되었다. 특히 인지언어학에서 은유를 한 개념 영역을 다른 개념 영역의 관점에서 경험하고 인지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개념적 은유는 일상생활에 널리 퍼져 있는 관습적 은유와 문학에서, 특히 시에서 자주 사용되는 시적 은유 두 가지가 있다. 독창적인 시적 은유는 누구나 사용하는 표현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는 시적 은유를 일상 언어와 뭔가 다르고 특별하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인이언어학에서 시적 은유는 역시 기본적으로 일상적 사고방식을 기초하여 좀 더 확장된 은유이기 때문에 우리가 일상 언어에서 사용하는 은유와 다를 바 없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도 이 점을 논증하기 위해 몇 가지 예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일상 언어에 널리 퍼져 있는 관습적 개념적 은유와 문학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수사적 은유를 대상으로 하여 인지언어학적인 개념적 은유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삶'과 '죽음' 관련 은유 표현을 구조적 은유, 지향적 은유, 존재론적 은유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해서 한국과 중국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인식 차이, 태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선행 연구 검토 2 1.3. 연구 대상 및 방법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6 2.1. 은유에 대한 전통적 견해 6 2.2. 은유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견해 9 2.2.1. 개념적 은유 9 2.2.1.1. 개념적 은유의 정의와 작용원리 9 2.2.1.2. 개념적 은유 분류 11 2.2.2. 일상의 은유와 문학의 은유의 관계 14 제 3 장 한국어와 중국어에 존재하는 '삶'에 관한 은유 표현 양상 19 3.1. 한국어와 중국어에 공통된 '삶'에 관한 은유 표현 양상 19 3.1.1. 인생 전체에 대응하는 구조적 은유 19 3.1.1.1. 인생은 여행 19 3.1.1.2. 인생은 연극 23 3.1.1.3. 인생은 전쟁 27 3.1.1.4. 인생은 꿈 30 3.1.1.5. 인생은 도박 32 3.1.1.6. 인생은 음악/노래 34 3.1.2. 인생 전체에 대응하는 지향적 은유 37 3.1.3. 인생 전체에 대응하는 존재론적 은유 39 3.1.3.1. 생면은 물건/귀중품 39 3.1.3.2. 인생은 그릇 42 3.1.3.3. 인생은 책 43 3.1.3.4. 생명은 끈 45 3.1.3.5. 인생은 음식 47 3.1.3.6. 인생은 식물 49 3.1.4. 인생 시기에 따른 은유 표현 양상 52 3.1.4.1. 청년기에 관한 은유 표현 52 3.1.4.2. 노년기에 관한 은유 표현 55 3.2. 한국어 혹은 중국어 각각에만 나타나는 '삶'에 관한 은유 표현 양상 57 3.2.1. 한국어에만 나타나는 은유 표현 양상 57 3.2.1.1. 인생은 미로 57 3.2.1.2. 인생은 교향곡 59 3.2.1.3. 인생은 선물/축복 59 3.2.2. 중국어에만 나타나는 은유 표현 양상 60 3.2.2.1. 인생은 장기/바독 한 판 60 3.2.2.2. 인생은 차 한 잔 61 3.2.2.3. 생명은 청산 62 3.2.2.4. 청춘은 ?瑟年?(금슬시절) 63 3.2.2.5. 노년기에 처한 사람은 누렇게 퇴색된 옥구슬 63 제 4 장 한국어와 중국어에 존재하는 '죽음'에 관한 은유 표현 양상 65 4.1. 한국어와 중국어에 공통된 '죽음'에 관한 은유 표현 양상 65 4.1.1. 죽음에 관한 구조적 은유 65 4.1.1.1. 죽음은 떠남 65 4.1.1.2. 죽음은 잠/안식 68 4.1.2. 죽음에 관한 존재론적 은유 71 4.1.2.1. 죽음은 옥이 깨짐 71 4.1.2.2. 죽음은 불이 꺼짐 72 4.2. 한국어 혹은 중국어 각각에만 나타나는 '죽음'에 관한 은유 표현 양상 74 4.2.1. 한국어에만 나타나는 은유 표현 양상 74 4.2.1.1. 죽음은 밥숟가락을 놓음 74 4.2.1.2. 죽음은 콩(깨) 팔러 가는 것 75 4.2.2. 중국어에만 나타나는 은유 표현 양상 75 4.2.2.1. 죽음은 ??子(머리채가 위로 쳐들림) 75 4.2.2.2. 죽음은 老了(늙었음) 76 4.2.2.3. 죽음은 ?了(걸었음) 76 4.2.2.4. 죽음은 三??短(뜻밖의 재난이나 변고가 생겨 죽음) 77 4.2.2.5. 죽음은 ??克思(마르크스를 만나러 감) 77 4.2.2.6. 죽음은 태산보다 무거운 것 혹은 새털보다 가벼운 것 77 제 5장 결론 79 참고문헌 83-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나타나는 '삶'과 '죽음'에 관한 은유 표현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Metaphorical Expressions for Life and Death in Korean and Chinese-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N JING-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5.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705672-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289-
dc.subject.keyword개념적 은유-
dc.subject.keyword관습적 은유-
dc.subject.keyword-
dc.subject.keyword시적 은유-
dc.subject.keyword죽음-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