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용언 구성 '-어지다'의 의미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박재연 | - |
dc.contributor.author | 조남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2:31:55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2:31:55Z | - |
dc.date.issued | 2013-08 | - |
dc.identifier.other | 15024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405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2013. 8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는 한국어의 보조용언 구성인 '-어지다'의 의미를 기본 의미, 양태 의미, 상 의미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면서 '-어지다'가 표현하는 의미의 속성을 전면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보조용언 구성 '-어지다'의 의미가 그와 결합되는 품사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점은 대부분 연구에서 확인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결합 형태에 대한 논의가 일치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예컨대 타동사와 '-어지다'의 결합형에 대해서는 이를 피동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취급하는 논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동 표현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견해도 대두되었다. 그리하여 '-어지다'의 기본 의미를 다시 설정하고, 이러한 의미가 각각 어떠한 환경에서 출현되는지를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로 한다. 2장에서는 '-어지다'의 의미에 대한 선행 연구를 기본 의미에 대한 것, 양태 의미에 대한 것, 그리고 상 의미에 대한 것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선행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어지다'의 기본 의미와 양태 의미에 대한 논의가 많이 축적되었으나 학자마다 가지는 입장이 달라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둘째, '-어지다'의 상 의미에 대한 언급한 연구가 있지만 이에 대해 본격적으로 분석하고 검토하는 연구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3장에서는 '-어지다'의 기본 의미에 초점을 두며, '-어지다'가 나타나는 기본 의미를 '피동'과 '상태의 변화'로 설정한 다음, 각각의 의미가 출현되는 환경을 고찰하였다. 이 가운데 '피동'의 의미가 나타난 환경을 타동사와 결합된 경우, 사동접미사가 개입된 경우로 나누었으며, '상태의 변화'의 의미가 드러낸 환경을 형용사와 결합된 경우, 자동사와 결합된 경우, 사동접미사가 개입된 경우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가 가지는 특징에 대해서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예를 들면, '-어지다'가 자동사와 결합할 때 자동사의 동작성이 강해질수록 '상태의 변화'의 의미가 표현되는 강도가 약해진다는 것이다. 4장에서는 '-어지다'의 기본 의미인 '피동'과 '상태의 변화'에서 각각 어떠한 양태 의미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어지다'의 '피동'의미에서 '강조'와 '객관적 기술'의 양태 의미가 드러나며, '-어지다'가 '가다'류 자동사와 결합하고 나타난 '상태의 변화'의 의미에서 화자의 '의외성'의 태도가 잘 파악된다. 아울러, '-어지다'의 양태 의미가 그의 기본적 의미와 어떠한 의미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해서도 밝혀보고자 하였다. 5장에서는 '-어지다'의 상 의미를 관찰한 것인데 '-어지다'의 '완료상'의 의미를 기본 의미 '피동'에서 드러난 것과 '상태의 변화'에서 드러난 것으로 분류하여 논술하였다. 마지막 6장은 결론으로서 이 글에서 펼친 논의를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차 례 <국문초록>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연구 대상 1.2. 연구 범위 1.3. 논의의 구성 2. 기존 연구 검토 2.1. '-어지다'의 기본 의미에 대한 연구 2.2. '-어지다'의 양태 의미와 상 의미에 대한 연구 3. '-어지다'의 기본 의미 3.1. '-어지다'의 기본 의미 설정 3.1.1. 피동 3.1.2. 상태의 변화 3.2. '-어지다'와 '피동' 3.2.1. '타동사+-어지다'의 경우 3.2.2. 사동접미사가 개입된 경우 3.3. '-어지다'와 '상태의 변화' 3.3.1. '형용사+-어지다'의 경우 3.3.2. '자동사+-어지다'의 경우 3.3.3. 피동접미사가 개입된 경우 4. '-어지다'의 양태 의미 4.1. '피동'에서 나타난 양태 의미 4.1.1. 기존 논의 및 문제점 4.1.2. 강조와 객관적 기술 4.2. '상태의 변화'에서 나타난 양태 의미 4.2.1. 기존 논의 및 문제점 4.2.2. 의외성 4.3. '-어지다'의 양태 의미와 기본 의미의 관계 5. '-어지다'의 상 의미 5.1. 상의 정의와 분류에 관한 기존 논의 5.2. '피동'에서 나타난 상 의미 5.3. '상태의 변화'에서 나타난 상 의미 6. 결론 <참고문헌> <中文摘要>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보조용언 구성 '-어지다'의 의미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Meanings of Auxiliary Verb Construction '-eo jida'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ZHAO NA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 |
dc.date.awarded | 2013.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71099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024 | - |
dc.subject.keyword | 기본 의미 | - |
dc.subject.keyword | 양태 | - |
dc.subject.keyword | 의미 속성 | - |
dc.subject.keyword | 피동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