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성숙도평가 개선을 위한 피평가자 인식현황 분석 및 평가항목 세분화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의환-
dc.contributor.author이종호-
dc.date.accessioned2019-10-21T07:31:56Z-
dc.date.available2019-10-21T07:31:56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26735-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227-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시스템공학과,2018. 2-
dc.description.abstract제조성숙도평가는 연구개발 단계에서 미성숙된 제조성으로 인한 사업상의 일정지연, 비용상승, 품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로써, 국내 방위산업에는 2012년에 제도적으로 반영되었다. 제조성숙도평가 제도가 도입된지 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군수품의 품질 수준이 개선되고, 양산 사업의 대한 준비 필요성 공감대 형성, 양산 시 위험요소 사전 식별 및 대응전략 수립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반면 개발 초기 단계부터 제조성과 양산성을 반영하고자 하는 평가의 근본적인 목적을 달성하는데는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의 제조성숙도평가 제도는 체계개발 완료 후 평가를 수행하여 제조성숙도 수준8 도달여부에 따라 양산단계 진입 여부를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피평가자는 개발 초기부터 선제적으로 제조 관련 위험성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평가자의 의도와 달리 제조성숙도평가 점수 자체를 우선시 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피평가자의 의사결정은 연속적으로 요구되는 활동을 일회성으로만 평가를 수행하는 제도적 한계, 제조성숙도평가를 고려한 개발 지침 및 절차의 부재, 평가자 중심의 제도 시행 및 평가항목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핵심 기능과 성능을 우선시 하는 국내 연구개발 현실에서 더욱 부각될 수 밖에 없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제약에서 제도의 개선방향 도출과 제조성과 양산성 반영의 주체인 피평가자의 평가수검을 위하여 제조성숙도평가에 대한 피평가자 인식현황을 분석하고 평가자 중심의 평가항목을 피평가자 중심의 수행업무로 세분화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제조성숙도평가 수검 경험이 있는 피평가자의 인식현황을 분석한 결과 제조성숙도평가를 양산준비를 위한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는 설문대상 피평가자의 인식전환을 위해 조직 차원의 교육이 필요하며, 피평가자의 개발단계 제조성숙도평가 고려를 위해 기술관리업무 실무지침서와 SE 기반 기술검토회의 가이드북 등의 관련 지침 및 절차에 대한 제조성숙도평가를 고려한 개선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평가점수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평가항목과 평가방법 및 평가결과에 대해서 명확성과 객관성의 확보가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평가항목에 대한 세분화 분석은 연구개발 경력 10년 이상의 피평가자 간 브레인스토밍과 품질기능전개를 통해 체계개발 단계에서 양산 단계 전환 시 요구되는 제조성숙도수준 8에 해당하는 75개 평가항목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별 평가항목별로 요구되는 활동, 증빙, 산출물 등을 식별하였으며 이를 국방 연구개발 수명주기와 프로세스에 할당하였다. 평가항목 분석결과는 제조성숙도평가 준비 시 소요되는 연구개발 분야의 소요 인력 및 시간에 대한 비교와 제조성숙도평가 수검경험이 있는 인원에 대한 인터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설문조사는 특정 집단의 최근 3년 내 제조성숙도평가 수검 경험이 있는 14명에 대한 설문이라는 통계적 제한이 있어 일반화를 위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하며, 평가항목 세분화 분석결과의 적용은 피평가자의 연구개발 환경에 따라 변경이 필요하다. 다만 본 연구는 제도적으로 제조성숙도평가를 도입한지 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피평가자 관점의 제조성숙도평가 개선을 위한 연구를 통해 피평가자의 현실을 고려한 제조성숙도평가 제도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피평가자의 제조성숙도평가 활동을 지원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1 제2절 연구 목적 및 방법 2 제2장 관련 연구 6 제1절 미국의 제조성숙도평가 6 제1항 도입 및 제도적 배경 6 제2항 MRL Working Group 10 제2절 국내 제조성숙도평가 11 제1항 도입 및 제도적 배경 11 제2항 제조성숙도평가 수준 및 항목 13 제3항 제조성숙도평가 절차 및 방법 25 제3절 제조성숙도평가 적용방안 연구 27 제4절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 31 제3장 제조성숙도평가 피평가자 인식현황 34 제1절 인식현황 분석의 필요성 34 제2절 인식현황 분석 결과 34 제3절 인식현황 분석의 결론 및 한계 47 제1항 인식현황 분석의 결론 47 제2항 인식현황 분석의 한계 49 제4장 제조성숙도 평가항목 세분화 분석 50 제1절 평가항목 분석방법 50 제2절 평가항목 분석결과 52 제3절 분석결과 적용사례 65 제4절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 67 제5장 결 론 7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제조성숙도평가 개선을 위한 피평가자 인식현황 분석 및 평가항목 세분화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eparedness for MRA through the Survey o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Appraisee and the Itemization of the Assessment List-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ong Ho-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시스템공학과-
dc.date.awarded2018.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800733-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35-
dc.subject.keyword제조성숙도평가-
dc.subject.keywordMRA-
dc.subject.keywordManufacturing Readiness-
dc.subject.keywordAssessment-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MRA(Manufacturing Readiness Assessment) is a process to check the maturity of manufacturability in the transition from development stage to mass production stage in order to prevent delays in business, cost rise and deterioration of quality. It was applied in 2012 in domestic military acquisition. Five year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MRA, research shows several positive effect. However, it might be insufficient to achieve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MRA originally intended to reduce the risks associated with manufacturability and producibility from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In domestic military acquisition, the MRA is performed only once after the completion of system development, and the result of MRA determines whether the mass production stage to be entered or not. So, the appraisee is more likely to prioritize the MRA score to pass itself against the intention of the evaluator to reduce the manufacturing-related risk preemptively. The appraisee's decision is caused by the institutional limitation of performing one-time evaluation of continuously required activities, lack of development guidelines and procedures considering MRA and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tems preferably focused on evaluators. In this study, the perceptions of the appraisees was analysed to derive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MRA and the evaluator-focused evaluation items were tried to be reorganized by the appraisees-focused task to support the preparation for assessment of the appraise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nderstanding of the appraisees who has experienced the MRA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level education is need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appraisees, an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relevant guidelines and procedures such as the guidebook of the technical management and review. And it is also required that evaluation items is needed to be clearer and evaluation method and the result are needed to be more objective. The evaluation items required by evaluators were analyzed using brainstorming and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As a results, the activities and evidences to be performed or prepared for each evaluation item were refined and suggested as the new preparation scheme. The usefulness of the suggested scheme was verified and validated positively through the interviews of the appraisee and the comparison of the required manpower and time resources of the R&D department for preparation of the MRA. The survey conducted in this study was 14 people who have experience in MRA so it can not be generalized to the whole of the appraisee. The application of the evaluation item analysis result needs to be modified reflecting the research environment of the each appraise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draw the improvement direiction of MRA considering the reality of the appraisees and to support the appraisee's MRA preparation activity.-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System Engineer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