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흡수성 나사로 고정한 변형 마우 절골술의 치료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예연-
dc.contributor.author김상환-
dc.date.accessioned2019-10-21T07:25:32Z-
dc.date.available2019-10-21T07:25:32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20259-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8713-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2015. 8-
dc.description.abstract목적: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해 시행한 변형 마우 절골술 부위를 흡수성 나사로 고정하여 치료한 환자들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13년 5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환자 25명, 33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52±14.2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3.2±1.4개월이었다. 임상결과 평가를 위해서는 통증 VAS(visual analogue scale)점수, AOFAS(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점수와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를 위해 체중부하 단순 방사선 사진을 수술 전, 마지막 외래 추시에 촬영하였고 무지외반각, 중족골간각을 측정하여 무지외반 교정이 유지되었는지 확인하였다. 흡수성 나사와 관련된 합병증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결과: 수술 전 통증 점수는 평균 4.0±1.5에서 수술 후 1.7±1.3점으로 감소하였다(p<0.001). 미국 정형외과 족부족관절학회 평가점수는 수술 전 52.6±8.5에서 82.8±8.6으로 증가되었다(p<0.001). 수술 전 무지외반각과 중족골간각은 각각 31.2±7.8도와 13.9±3.4도에서 수술 후 5.2±3.7도와 6.2±4.0도로 교정되었다(p<0.001). 수술 후 합병증으로 창상감염 1예와 교정실패 1예가 있었다. 흡수성 나사 주위의 골융해, 낭종 형성과 심부 감염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흡수성 나사를 이용한 변형 마우 절골술은 수술 전과 비교하여 최종 추시에서 통증 감소되고 방사선학적으로도 교정이 유지되는 결과를 보였다. 무지외반증에서 유용한 수술 기법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A. 연구대상 1 B. 수술 기법 2 C. 통계 4 Ⅲ. 결과 4 Ⅳ. 고찰 6 Ⅴ. 결론 9 참고문헌 10 ABSTRACT 12-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생체흡수성 나사로 고정한 변형 마우 절골술의 치료 효과-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anghwan Kim-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5.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705558-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259-
dc.subject.keyword변형 마우 절골술-
dc.subject.keyword무지외반증-
dc.subject.keyword흡수성 나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Medicin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