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Risk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김경호 | - |
dc.contributor.author | Lee, Sewon | - |
dc.date.accessioned | 2019-10-21T07:25:11Z | - |
dc.date.available | 2019-10-21T07:25:11Z | - |
dc.date.issued | 2015-08 | - |
dc.identifier.other | 20369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8682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2015.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에 관한 통합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기업지배구조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기업이 어떻게 주주들의 이익을 보호하고 가치를 제고하는가에 대해 설명해 왔으나, 이러한 논의에서 제기된 연구 모델들은 보다 광범위한 이해관계자들에 대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것이 기업의 기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CSR이 기업지배구조 메커니즘 내의 구성원들의 동기와 의사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특히 이해관계자 관점을 적용하여 어떻게 CSR이 기업지배구조와 기업 위험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 모델은 소유집중(Concentrated ownership structure)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의 경영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5년에서 2010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215개 기업의 640개 기업-연도 불균형 패널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경영자 지분율, 외국인 지분율, 사외이사 비율, 이사회 규모가 기업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CSR이 기업 위험을 낮추는 데 유의한 효과를 지닐 것으로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각 지배구조 변수와 기업 위험의 관계에 대한 CSR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가설들을 검정하기 위하여 하우스만 검정에 따라 제안된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실증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유집중 구조에서 지분에 따른 경영자의 영향력이 기업 위험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투자자들은 기업 위험을 낮추는 데에 상당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사회 독립성을 나타내는 사외이사 비율의 효과가 기업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넷째, 이사회 규모가 큰 경우 이사회의 효율성이 높아져 기업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CSR은 사회적 자산을 창출하여 기업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CSR은 기업에 사회적 연결점을 제공하여 경영자의 사적 이해 추구를 통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경영자 지분율과 기업 위험에 대하여 조절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기업이 CSR을 수행할 때에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배구조 내에서의 역할에 충실하기보다 오히려 해이해지는 동기를 갖게 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여덟째, CSR이 사외이사 비율과 기업 위험의 관계에 대하여 조절효과를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CSR이 이사회 규모가 기업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사회 효율성이 독립적 감시자 역할보다는 자원 공급자로서의 역할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기업지배구조와 기업 위험에 대한 CSR의 다양한 조절효과에 대해 신중한 분석이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기업지배구조와 CSR의 통합 모델은 실제 기업 환경을 보다 적절히 반영할 뿐만 아니라, 어느 한 가지 접근법을 채택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학술적 한계를 보완하는 데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다양한 전략 이슈들을 통합하는 후속 연구가 기업의 역할과 기능을 설명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cknowledgement ⅰ Abstract ⅲ CHAPTER 1. INTRODUCTION 1 1. Research Question 1 2. Purpose of the Study 3 3. Structure of the Thesis 6 CHAPTER 2. LITERATURE REVIEW 8 1. Corporate Governance 8 1.1. Background 8 1.2. Theoretical Perspectives on Corporate Governance 9 1.2.1. Agency Theory 9 1.2.2. Stewardship Theory 11 1.2.3. Resource Dependence Theory 13 1.3. Ownership Structures and Firm Performance 14 1.3.1. Insider Ownership 14 1.3.2. Outside Ownership 16 1.4. Board of Directors and Firm Performance 18 2.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20 2.1. Concept of CSR 20 2.2. Theoretical Perspectives on CSR 21 2.2.1. Stakeholder Theory 21 2.2.2. Resource-Based View 24 2.2.3. Natural Resource-Based View 26 2.2.4. Institutional Theory 27 2.3. CSR and Firm Performance 29 3. Firm Risk 30 CHAPTER 3. HYPOTHESIS DEVELOPMENT 32 1.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Risk 32 1.1. Management Ownership and Firm Risk 33 1.2. Foreign Ownership and Firm Risk 34 1.3. Outside Director Ratio and Firm Risk 36 1.4. Board Size and Firm Risk 37 2.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Firm Risk 39 3. Moderating Rol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41 CHAPTER 4. METHODOLOGY 46 1. Conceptual Framework 46 2. Sample 47 3. Variables 49 3.1. Dependent Variable 49 3.2. Independent Variables 50 3.3. Control Variables 51 4. Analytic Method 52 CHAPTER 5. RESULTS AND DISCUSSION 54 1. Results 54 2. Discussion and Implications 60 3.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genda 68 CHAPTER 6. CONCLUSION 71 REFERENCES 73 국문초록 87 | - |
dc.language.iso | eng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Risk | - |
dc.title.alternative | 기업지배구조와 기업 위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 |
dc.date.awarded | 2015.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705414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369 | - |
dc.subject.keyword | Corporate governance | - |
dc.subject.keyword | firm risk | - |
dc.subject.keyword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is study introduces an integrated model of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Even though existing corporate governance studies have investigated how firms can effectively conduct roles to preserve the shareholder’s interests, these models cannot encompass the impact of firms’ social roles to satisfy interests from a wide range of stakeholders. This study assumes that CSR may influence the motivations of members and decision-making procedures in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Accordingly, this study applies stakeholder perspective to carefully explore how CSR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risk. Especially,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Korean business context that is characterized as concentrated ownership structure. This study employs an unbalanced panel dataset of 640 firm-by-year cases from 215 firms between 2005 and 2010. I predict that management ownership, foreign ownership, outside director ratio, and board size have significant effect on firm risk for the Korean companies. I also postulate that CSR alleviates firm risk.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CSR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risk. After conducting Hausman test, this study uses fixed-effects regression analysis to test hypotheses in question. The empirical work provide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ower of senior managers in concentrated ownership structure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firm risk. Second, the role of foreign shareholders is considerable in reducing firm risk. Third, the significance of board independence ensured from the large proportion of outside directors is obscure. Fourth, the large board size enhances effectiveness of corporate board and thereby mitigates firm risk. Fifth, CSR has decreasing impact on the firm risk as it creates social assets. Sixth, CSR can generate social connections to monitor managers’ self-interested behaviors, and thereby it decreasing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firm risk. Seventh, if superior CSR is perceived, foreign shareholders have incentives to be slack in their functions rather than devote their efforts for the functions. Eighth, the effect of CS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side director ratio and firm risk is not significant. Last, CSR strengthens the impact of board size on firm risk. These results imply that board effectiveness seems to be dependent on the role as provider of resources rather than its role as independent monitor. From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verse impacts of CS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risk be precisely investigated. The integr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and CSR research may not only more appropriately reflect the real world but also make up for theoretical limitations in choosing one approach over another. This study expects further research to reach comprehensive approach linking stakeholder perspective into other organizational issues to manifest firm’s role and function. | - |
dc.title.subtitle | The Moderating Rol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