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팬 커뮤니티와 팬 개인의 특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현존감과 동일시의 역할을 중심으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강민철 | - |
dc.contributor.author | 김종훈 | - |
dc.date.accessioned | 2019-10-21T07:23:35Z | - |
dc.date.available | 2019-10-21T07:23:35Z | - |
dc.date.issued | 2014-02 | - |
dc.identifier.other | 16757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8486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e-비즈니스MBA,2014. 2 | - |
dc.description.abstract | 오늘날, 전 세계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분야별로는 인터넷 관련 시장의 규모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컨텐츠 중에서 스타를 대상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컨텐츠가 큰 규모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들은 온라인 팬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소비 및 재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팬 커뮤니티에서는 온라인 매체가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팬(또는 사용자)들이 매개된 가상환경을 통해서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을 이루게 되는데, 온라인 상에서 팬들이 느낄 수 있는 사회적 현존감과 동일시는 온라인 팬 커뮤니티 및 이를 구성하는 팬 개인의 특성과 함께 온라인 팬 커뮤니티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산업에서 중요한 고객 중 하나인 온라인 팬 커뮤니티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현존감, 동일시의 역할과 함께 온라인 팬 커뮤니티의 특성 및 팬 개인의 특성이 온라인 팬 커뮤니티와 스타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에 대해서 검증을 진행하였다. 총 4개의 온라인 팬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2주 동안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거된 201부의 데이터가 통계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SPSS ver.19 와 Smart PLS를 통해서 탐색적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을 진행 하였다. 각 변수들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 되었고 경로 모형의 적합도 또한 0.483으로 높은 수준을 만족하였다. 구체적인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팬 커뮤니티의 특성인 사회적 유대감, 상호 공개성, 딥 프로파일링 모두 사회적 현존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팬 개인의 특성 중 자기 초점 주의와 공감성은 사회적 현존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 표현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온라인 팬 커뮤니티 특성뿐만 아니라 팬 개인의 특성도 사회적 현존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회적 현존감은 온라인 팬 커뮤니티 동일시와 스타 동일시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팬 커뮤니티 상황을 통해서 온라인 환경에서는 사회적 현존감이 동일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스타 동일시는 온라인 팬 커뮤니티 동일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의 다른 연구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스타 동일시는 온라인 팬 커뮤니티 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재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온라인 팬 커뮤니티 동일시는 온라인 팬 커뮤니티 충성도에, 스타 동일시는 스타 충성도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타 충성도는 온라인 팬 커뮤니티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시 효과의 경우처럼 충성도 역시 스타 충성도가 온라인 팬 커뮤니티 충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가장 중요한 발견은 온라인 팬 커뮤니티가 온라인 환경을 기반으로 스타 및 팬 커뮤니티 회원들과 교류 및 관계를 맺는 사회적 공간이기 때문에 온라인 환경에서의 중요한 요인인 사회적 현존감은 온라인 팬 커뮤니티와 팬 개인의 특성이 함께 고려 되어야 하며 동일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8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8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1 1. 연구 방법 11 2. 논문의 구성 11 제2장 이론적 고찰 13 제1절 셀러브리티와 팬덤 13 제2절 온라인 팬 커뮤니티 14 제3절 CMC 환경 16 제4절 사회적 현존감 19 1. 사회적 현존감 이론의 역사적 흐름 19 2. 사회적 현존감의 개요 20 제5절 동일시 23 제6절 충성도 25 제7절 온라인 팬 커뮤니티 및 팬덤의 관련된 속성 28 1. 온라인 팬 커뮤니티 특성 28 2. 팬 개인의 특성 33 제3장 연구설계 38 제1절 연구모형 38 제2절 연구가설 39 1. 온라인 팬 커뮤니티 특성과 사회적 현존감 간의 관계 39 2. 팬 개인의 특성과 사회적 현존감 간의 관계 40 3. 사회적 현존감과 동일시와의 관계 42 4. 스타 동일시와 온라인 팬 커뮤니티 동일시와의 관계 43 5. 스타 및 온라인 팬 커뮤니티의 동일시와 충성도 간의 관계 44 6. 스타 충성도와 온라인 팬 커뮤니티 충성도 간의 관계 45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46 1. 온라인 팬 커뮤니티 특성 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 50 2. 팬 개인의 특성 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 51 3. 사회적 현존감에 대한 조작적 정의 52 4. 스타, 온라인 팬 커뮤니티 동일시에 대한 조작적 정의 52 5. 스타, 온라인 팬 커뮤니티 충성도에 대한 조작적 정의 52 제4절 자료 수집 방법과 표본의 구성 53 1. 자료 수집 방법 53 2. 표본의 구성 53 제5절 분석방법 54 제4장 실증분석 56 제1절 자료의 기초 분석 및 표본의 일반적 특성 56 제2절 변수의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58 1. 내용 타당성 및 탐색적 요인 분석 58 2. 신뢰성 검증 및 분석 60 3. 타당성 검증 및 분석 61 4. 상관관계 분석 65 제3절 연구가설 검증 65 1. 연구모형 분석 65 2. 연구가설 검증 66 제4절 연구의 토의 70 제5장 결론 73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73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75 참고 문헌 77 설 문 조 사 서 94 ABSTRACT 103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온라인 팬 커뮤니티와 팬 개인의 특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현존감과 동일시의 역할을 중심으로 | - |
dc.title.alternative | Kim Jonghun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Jonghu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경영대학원 e-비즈니스MBA | - |
dc.date.awarded | 2014.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609465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757 | - |
dc.subject.keyword | Online fan community | - |
dc.subject.keyword | Star | - |
dc.subject.keyword | Social presence | - |
dc.subject.keyword | Identification | - |
dc.subject.keyword | Loyalty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